■ 김철균
일전, 중국조선족커뮤니티“중국조선족대모임”에는 “중국 인민대표, 여성의 출산휴가 3년으로 연장 제안”이란 신화사 기사가 번역되어 게재되었다.
…밤에 빈번히 일어나고 낮에 제시간에 출근해야 하며 할 수 없이 아이를 부모님이나 가정부한테 맡기고…이 것은 대부분 직장 여성들이 출산 후 직면하고 있는 현상이다. 왕유쥔(王幼君) 베이징시 인민대표대회 대표, 베이징워치奇)테이터시스템주식회사 CEO가 여성의 출산휴가를 3년으로 연장하고 사회보험은 3년의 출산보조금을 제공하거나 재정부에서 보장 자금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아 가정의 긴장한 생활현상을 개선할 것을 제안했다…
여성의 출산휴가 98일을 3년으로 늘이자는 제의안 놀랍고도 획기적인 제안이었다. 당분간 가능할지는 알 수 없으나 아주 훌륭한 제안인 것은 틀림없으며 이를 제안한 인대 대표의 시각이 서민층 특히 애를 낳아 키우는 여성들한테 돌려졌다는 것이 보다 귀감으로 되고 있다.
헌데 이 기사가 발표되자 인터넷을 통한 찬반양론이 불거지면서 공방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허다한 댓글들은 그냥 찬반양론으로 자신의 일가견을 피로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기와 견해가 맞지 않은 상대를 속된 말로 비난하거나 나중에는 인신공격도 서슴치 않아 몹시 유감스러웠다.
인터넷에 댓글을 달아 자신이 견해를 표현하는 건 아주 정상적이며 누구나 다 그럴 자격이 있다. 하지만 인터넷을 통해 서로 비방중상하고 인신공격까지 하는 건 어디까지나 용속적인 표현이며 그 자신의 자질과 인격을 나타낼뿐이다. 특히 서로 헐뜯는 우리 민족의 열근성이 노출되는 것 같아 더욱 안타까웠다.
기실 인민대표대회에서 제안되는 것이라 해서, 또한 합리한 것이라 해서 그 전부가 통과되고 실행되는 것이 아니다. 오늘 제안한 것이 그 자리에서 통과되고 래일 실행에 옮겨지는 것이 있는가 하면 3년 후 혹은 5년 후에 통과되고 실행되는 것도 수두룩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인민대표대회에서 제안된 사항들을 보면 그 제안이 합리한 것 여하가 첫째일 것이고 둘째로는 그 것이 현실적으로, 나라 및 지방에서 실행이 가능한가 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될 것이며 급한 것과 급하지 않은 것 역시 선후구분이 따로 있을 것이다.
필자가 인정하건대 왕유쥔 베이징시 인대 대표의 제안이 가능여하를 떠나서 그 제안이 확실히 국민대중의 실제 생활을 담았다는 것만은 틀림 없다. 그리고 그 제안이 가능성은 적어도 50% 이상이라고 전망한다. 현재 우리 중국은 크게 발전했다. 불과 20여년 전까지만 해도 자전거로 출퇴근을 하면서 우리 세대에는 영원히 자가용과 인연이 없을줄로 알았었지만 그 것이 요 몇년째 현실화로 되고 있다. 또 인류의 발전은 바야흐로 우주관광의 시대까지 열 전망이다. 그러니 여성한테 베푸는 출산휴가 3년이란 제안은 완전히 가능한 일이며 다만 3년내의 일인가 아니면 5년내의 일인가 하는 시간적, 세월적 차이만 있을뿐이라는 생각이다.
그외 여성에 대해 특히 출산여성에 대해 나라적으로, 사회적으로 관심하는 무드가 조성돼야 한다는 일가견이다. 그제날 모저우둥(毛泽东)이 여성을 “절반하늘”이라고 평가한 진정한 뜻을 잘 모르겠다. 진짜 남성들과 똑 같이 하늘 절반씩 떠메고 있다고 한 건지? 아니면 남성들이 전반 하늘을 메고 있을 때, 여성은 전반 하늘의 절반 정도를 떼멜 수 있다는 뜻인지? 또 그 것도 아니라면 남성과 여성의 인구가 엇비슷하니 그냥 여성들의 인권상 절반 권리는 있다고 해서 그렇게 말한 것인지?…
하지만 필자의 생각으로는 정치적으로나 인권상으로는 몰라도 여성들이 약자인 것만은 사실이다. 많은 작가들이 “여성은 약하나 어머니는 강하다”는 말을 많이 인용해왔으나 어머니가 강하다는 건 정신상, 특히 자녀를 보호하고 양육하는 것에서는 강하지만 신체적으로도 강하다고 하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현재 사회적으로 관심과 보호를 받아야 할 부류는 노인과 아동 그리고 장애인과 여성인 것으로 알고 있다. 그렇다고 할 때 출산여성은 더욱 관심과 보호를 받아야 할 것이다. 그 것도 말로만이 아니라 출산휴가 늘이기 등으로 실제적으로 관심과 보호를 받아야 할 것이다.
현재 나많은 우리 조선족 여인들한테는 다른 민족 여인들에 비해 등이 굽었거나 풍습 혹은 류마티스로 다리 등을 잘 쓰지 못해 고생하는 여인들이 특히 많다. 이는 우리 조선족 여인들이 자녀를 출산한 뒤 가정의 시부모나 남편의 관심과 보살핌을 잘 받지 못했다는 것을 잘 말해준다. 출산 뒤 늘어났던 골격들이 제자리에 자리잡기 전부터 쌀을 일고 청소하고 빨래하고 하다보니 다 그렇게들 된 것이 아닐까?
가령 여성들의 “출산휴가 3년 제안”을 극구 반대하는 이가 있다면 혹시 여성들한테서 큰 상처를 받은 남성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부분적 여인의 그릇된 행위를 갖고 전반 여성들을 몰아세우는 것은 지적인 남성들이 취할 자세가 아니다. 적어도 가정에 등이 굽었거나 류마티스 등으로 고생하는 어머니 혹은 할머니가 계시는 사람이라면 도무지 그런 반대주장은 할 수 없을 것이다.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동포투데이] 백두산 천지를 마주한 뒤, 발걸음을 옮겨 백두폭포(중국명 장백산폭포)로 향했다. 천지에서 흘러내린 물길은 가파른 절벽을 타고 떨어지며 웅장한 포효를 만들어냈다. 높이 68미터, 너비 30미터에 달하는 폭포는 가까이 다가갈수록 마치 대자연의 심장을 두드리는 듯한 굉음을 쏟아냈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