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이트진로㈜, 오송국제바이오산업엑스포 공식후원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바이오산업은 21C 국가경제를 좌우하는 중요한 산업으로 2000년대 이후 급속히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분야로써, 경제적 파급효과가 가장 크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 받고 있다.
오송국제바이오산업엑스포는 2014년 9월 26일부터 10월 12일까지 17일간에 걸쳐 충북 오송생명과학단지(유휴부지 17만㎡)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군 공동 개최로 열린다. 이번 행사는 국비 67.3억원, 지방비 113.7억원, 수익사업 51억원을 포함하여 총사업비 232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주요 행사내용으로는 개·폐막식을 비롯한 D-day행사(D330, D-200)등 공식행사, 바이오미래관(주제관), 바이오 건강체험관, 바이오뷰티마켓 등 전시 운영, 국내외 우수 바이오기업이 참여하는 기업관 및 산업관 운영, 바이오관련 학술회의 및 초청강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3면 3D 주제영상쇼 및 첨단 건강관리체험, 유전자검사 프로그램 등 다양하고 특별한 이벤트로 관람객들의 볼거리와 체험거리 제공으로 국내 최고의 바이오 축제의 장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오송국제바이오산업엑스포조직위원회(공동위원장 이시종, 오영교)는, 지난달 30일 하이트진로㈜(대표 박문덕)를 공식후원사로 선정하고 설문식 충청북도 경제부지사, 하만욱 하이트진로㈜ 충청강원권역본부장 등 엑스포조직위원회와 기업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후원협약을 도청 소회의실에서 체결했다.
하이트진로㈜는 금번 협약을 통해 현금 2천만원의 후원과 소주병 라벨(1억병), 포스터, 앞치마, 볼펜 등 2억8천만원 상당의 홍보물품을 제작하여 시중에 배포할 계획이며, 오송바이오엑스포의 재정적 지원은 물론 엑스포 사전홍보에 힘써 나가겠다고 밝혔다.
BEST 뉴스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동포투데이] 28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의 기자회견에서 외빈 명단이 공개됐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26개국 국가원수 및 정부 수반이 이번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참석 예정 인사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 -
중국인만 노린 폭행…혐오 범죄에 면죄부 있어선 안 된다
[동포투데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사건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쉽게 혐오와 차별의 늪에 빠져드는지를 보여준다. 중국어를 쓴다는 이유만으로 낯선 이들을 뒤쫓아 욕설을 퍼붓고, 심지어 소주병으로 머리를 내려친 행위는 단순한 폭력이 아니라 명백한 혐오 범죄다.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1일, 중국인 관광... -
갯벌 고립 중국인 노인에 구명조끼 내준 해경, 끝내 순직
△해양경찰관 고 (故)이재석 경사. 인천해경 제공 [동포투데이] 인천 앞바다에서 고립된 중국인 노인을 구하려던 해양경찰관이 끝내 순직했다. 위험에 처한 이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건네고 물살에 휩쓸린 그는 몇 시간 뒤 숨진 채 발견됐다. 11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영... -
이재명 대통령 “명동 혐중 시위, 표현의 자유 아닌 깽판”
[동포투데이]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오후 국무회의에서 최근 서울 명동 일대에서 이어지고 있는 반중 집회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그는 해당 집회를 “관광객을 모욕하는 깽판”으로 규정하며, 단순히 ‘표현의 자유’로 치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외국에 가서 ‘어글리 코... -
“미국, 더 이상 매력 없다”…관광객 급감에 125억 달러 손실 전망
△ 뉴욕 맨해튼에는 '간세부르트 페닌슐라' 해변 (사진/중국신문망 랴오판 제공) [동포투데이] 미국의 강화된 입국 규제가 외국인 관광객을 발길을 돌리게 하면서 관광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중국신문망 보도에 따르면, 2025년 1~7월 미국을 찾은 해외 관... -
“임금 떼먹기, 여전히 심각”…올해 피해 노동자 17만 명 넘어
[동포투데이] 노동자의 땀과 삶을 갉아먹는 임금체불이 여전히 근절되지 못한 채 반복되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17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제때 임금을 받지 못했고, 체불액은 1조 3400억 원을 넘어섰다. 체불 피해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서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대도시의 고용구조 불안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