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한덕수 총리 탄핵 기각…윤 대통령 탄핵 향방에도 영향 미칠까?

  • 허훈 기자
  • 입력 2025.03.24 11:4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헌법재판소가 24일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기각함에 따라, 그는 87일 만에 공식 직무에 복귀했다. 재판부는 8명의 재판관 중 5명이 기각, 1명이 인용, 2명이 각하 의견을 제시하며 "법 위반이 국민 신임 배반에 해당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다수 의견을 근거로 최종 결정을 내렸다. 


이번 탄핵 소추는 지난해 12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야당 주도로 통과된 뒤 3개월 간의 심리 과정을 거쳤다. 국회는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 행위' 방조 ▲헌법재판관 3명 임명 거부 ▲김건희 여사 특검법·해병대 사망 사건 특검법 처리 방해 등 5대 혐의를 근거로 제기했다. 특히 우원식 국회의장이 탄핵안 표결 시 국무위원 기준(151석) 정족수를 적용한 점이 논란이 됐으나, 재판부 6인은 "대통령 권한대행이라도 본래 직위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며 절차적 하자를 부인했다.

 

1000017203.jpg

 

재판부의 기각 결정에는 문형배 헌재장 권한대행을 포함한 5명의 재판관이 참여했다. 이들은 ▲내란 공모 증거 부재 ▲특검법 처리 권한은 행정부 고유 권한 ▲한동훈 전 대표와의 '공동 국정' 시도는 정책 협의 수준이라는 점을 주요 판단 근거로 제시했다. 다만 헌법재판관 임명 거부와 관련해선 내부적 의견 분열이 있었는데, 문형배·이미선·김형두·정정미 재판관은 "헌법 제66조(총리의 국회 동의 요건) 위반"이라 진단한 반면, 김복형 재판관은 "임명 권한 행사는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 반박했다. 유일한 인용 의견을 낸 정계선 재판관은 "국가적 혼란 수습 의무를 저버렸다"며 파면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재판부는 이번 결정에서 '12·3 비상계엄령의 위법성'에 대한 판단을 의도적으로 회피했다. 이는 향후 예고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과의 연계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며, 헌재가 대통령 탄핵 사유에 대한 기준을 엄격히 적용할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계 일각에선 "총리 탄핵 기각이 윤 대통령 탄핵안의 청신호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으나, 헌재의 판결문에 명시된 '직무 위반과 국민 신임 배반'에 대한 엄격한 해석 기준이 향후 사건에 그대로 적용될지 주목된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현대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손에 달렸다...美 긴급 대응
  • 조선족 출신 최상, 300:1 경쟁 뚫고 CCTV 메인 앵커로 우뚝
  • 베트남, 여성갑부에 사형 선고... 검찰 “살겠으면 110억 달러 반환하라”
  • 박태일 시/근들이술
  • 중국공산당은 악의 모체? 조선족간부는 악의 실천자? 황당주장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사, 양이원영 의원
  • 2023 연변관광상품대회·제6회 연길관광상품대회 시상식 개최
  • [단독 인터뷰] 강창일 전 주일대사 “일본은 하나를 준다고 똑같이 하나를 내주는 나라가 아니야”
  • 한중수교 “50년”을 이야기한다
  • 법무부, 단기방문(C-3) 및 전자비자 발급 재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한덕수 총리 탄핵 기각…윤 대통령 탄핵 향방에도 영향 미칠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