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최근 발간된 ‘중국 인구보편조사 연감-2020’은 31개 성 전체 인구의 성비와 각 성 남녀 인구의 구체적인 데이터를 공개했다.
중국 인구는 전반적으로 ‘남다여소(男多女少)’이다. 제7차 전국 인구보편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남성 인구는 7억2334만 명으로 51.24%, 여성 인구는 6억8844명으로 48.76%를 차지해 남성이 여성보다 3490만 명이 더 많다. 총인구 성비(여성 100, 남성 대 여성 비율)는 100/105.07이다. 반면 2021년 국민경제와 사회발전통계공보에 따르면 성별 구성은 남성 7억2311만명, 여성 6억8949만 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3362만 명이 더 많았으며 총인구의 성비는 104.88(여성 100)이다. 전체적으로 남성는 많고 여성는 적지만 2021년 남성 인구는 이미 줄어들기 시작했다.
동북의 인구 성비는 ‘와지(洼地)’
지방 차원에서 ‘중국 인구보편조사 연감-2020’에 따르면 31개 성 중 총인구 성비가 100 이하인 성이 2개 성, 100~105인 성이 17개 성, 105~110인 성이 9개 성, 110 이상인 성이 3개의 성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총인구 성비가 100 이하인 성은 지린(吉林-99.69)과 랴오닝(辽宁-99.7)으로 ‘여다남소)’다. 구체적으로 지린의 인구는 남성 1201만8319명, 여성 1205만5134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3만6000명이 더 많았고 랴오닝은 남성 2126만3529명, 여성 2132만7878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6만4000명이 더 많다. 그리고 헤이룽장(黑龙江)의 전체 인구 성비는 100.35/100명으로 남녀 인구도 비슷해 큰 차이가 없다. 전체적으로 동북 3성은 전체 인구 성비의 ‘와지’로 전국 평균보다 훨씬 낮다. 전체 인구 성비가 낮을 뿐 아니라 출생 인구 성비도 106.3/100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고 정상 범위이다.
전문가는 “동북이 인구 성비가 ‘와지’인 이유는 주로 인구 유출, 특히 남성 인구의 유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몇 년간 경제성장과 일자리 문제 등으로 동북지방에서 많은 인구가 빠져나갔고, 특히 남성 청년층이 두드러졌다. 조사연구에서도 동북지역의 임금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남성들은 경제적으로 더 발전된 지역으로 가서 더 높은 소득을 올리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조사연구에서도 대학 졸업 후 동북지역으로 돌아가 취업을 원하는 사람은 대부분 여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지역은 소득은 적지만 생활이 상대적으로 편해 일부 여성의 취업에 적합하다.
광동성의 총인구 성비 가장 높아
‘중국 인구보편조사 연감-2020’에 따르면 광둥(广东)의 총인구 성비는 113.08/100로 가장 높아 110 이상에 달했다. 광둥성 인구는 남성 6687만3646명, 여성 5913만8864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773만명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둥은 왜 총인구 성비가 비교적 높을까? 이는 남성 인구의 유입과 관련이 깊다.
전문가는 “경제발달 지역인 광둥은 개혁·개방 이래 줄곧 주요 인구 유입지였으며 대량의 젊은 유동인구가 광둥으로 흘러갔다”고 분석했다.
최근 몇 년간 유동인구의 모니터링 데이터와 실제 조사 상황을 보면 유동인구 중 남성이 전체적으로 큰 폭을 차지했다. 특히 장거리 이동 중 남성 비율이 더 높았으며 대량의 남성 인구가 유입됨에 따라, 광둥의 총인구 성비도 어느 정도 높아지게 되었다.
BEST 뉴스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
마닐라, 화려함 뒤 숨은 외국인 여행객 울리는 ‘바가지 현실’
-
자율주행 배송차가 여는 스마트 물류 시대
-
日 우익, “중국의 반일감정은 공산당 조작” 왜곡 발언
-
일본 농림수산상, 광복절에 야스쿠니 참배…이시바 내각 첫 사례
-
북·러 정상급 교류 속…평양서 ‘해방 80주년’ 대회 열려
-
중국 대사 “반중 집회는 정치적 날조…양국 민중이 허위 가려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