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하버드 대학의 일각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최근 유엔 교육기구는 2019년도 세계 100대 명문대학 랭킹을 발표, 대륙별로는 유럽이 35개소로 가장 많았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21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아시아는 12개소로 미국 1개 나라의 수자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우리가 가장 관심하는 아시아 국가 중 중국은 베이징대학과 칭화대학이 입선하였으나 한국은 1개소 대학도 입선하지 못했다. 일본은 5개소 대학이 입선,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많았다.
다음은 세계 100대 명문대학 랭킹, 소속국가 및 개교년도이다.
세계 100대 대학
1 하버드 대학교 미국 1636
2 스탠포드 대학교 미국 1885
3 옥스포드 대학교 영국 12 세기 중반
4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국 1209
5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1861
6 일본 도쿄 대학교 1877
7 컬럼비아 대학교 미국 1754
8 파리 대학교 프랑스 중세기
9 예일대학 미국 1701
10 프린스턴 대학 미국1746
11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분교 미국 1868
12 모스크바 대학 러시아 1755
13 하이델베르크 대학 독일 1386
14 코넬 대학 미국 *
15 에든버러 대학교 영국 1583
16 시카고 대학교 미국 1880
17 루벤 대학 벨기에 1425
18 라이덴 대학 네덜란드 1575
19 포홍 대학 독일 1964
20 브라운 대학 미국 *
21 마드리드 대학 스페인 18세기 말엽
22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미국 1920
23 폴레니아 대학 이탈리아 1087
24 와세다 대학 일본 1882
25 괴팅겐 대학 독일 1737
26 파리 사범 대학 프랑스 1755
27 존 홉킨스 대학 미국 *
28 게이오 대학 일본 1858
29 피터스 버그 대학 러시아 1819
30 코임브라 대학 포르투갈 1290
31 런던 대학 영국 1828
32 다트머스 대학 미국 *
33 뮌헨 대학 독일 1472
34 로마 대학 이탈리아 *
35 비엔나 대학 오스트리아 1365
36 베이징 대학 중국 1898
37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 캐나다 1908
38 라이스 대학교 미국 *
39 스톡홀름 대학교 스웨덴 1878
40 더블린 트리니티 대학교 아일랜드 1592
41 코펜하겐 대학교 덴마크 1479
42 파리이공대학 프랑스 1793
43 베를린 기술대학 독일 1799
44 시드니 대학교 호주 1850
45 아이츠하르 대학 이집트 1983
46 듀크 대학 미국 1838
47 칭화 대학 중국 1911
48 남캘리포니아 대학 미국 *
49 토론토 대학 캐나다 1827
50 피자고등사범학원 이탈리아 *
51 아테네 대학 그리스 1837
52 영국 런던 대학 1967
53 교토 대학 일본 1897
54 프랑스국립행정학원 프랑스 1945
55 프랑크푸르트 대학 독일 20세기 초엽
56 맥길 대학 캐나다 1829
57 싱가폴 국립대학 싱가포르 1980
58 앙카라 대학교 터키 1946
59 출라 롱콘 대학교 태국 1917
60 노스 웨스턴 대학교 미국 *
61 보 코니 대학교 이탈리아 1902
62 살라망카 대학교 스페인 1218
63 비엔나 음악 및 표연예술대학 오스트리아 *
64 헬싱키 대학 핀란드 *
65 스웨덴 왕립공과대학 스웨덴 1827
66 바르샤바 대학교 폴란드 *
67 아마스터 대학 미국 *
68 베를린 자유 대학 독일 1948
69 진나 대학 파키스탄 1965
70 펜실베니아 대학교 미국 *
71 쓰쿠바대학교 일본
72 아이슬란드 대학교 아이슬란드 1911
73 퍼두 대학 미국 1869
74 브라질리아 대학교 브라질 1963
75 밴더빗 대학 미국 *
76 보스턴 대학교 미국 *
77 브뤼셀 대학교 벨기에 1834
78 델라웨어 대학교 미국 *
79 로찬고등공과대학 스위스 1853
80 미시간 대학교 미국 1817
81 유타 대학교 미국
82 카이로 대학교 이집트 1908
83 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 대학 미국 *
84 자바하라니흐루 대학 인도 1969
85 베이루트 미국대학교 레바논 85
86 소피아 대학교 불가리아 1878
87 조지 워싱턴 대학교 미국 *
88 코르도바 대학교 아르헨티나 1613
89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 스위스 1855
90 뮌스터 대학교 독일 1780
91 조지 메이슨 대학교 미국 1957
92 일리노이 대학 미국 1867
93 델리 대학 인도 1922
94 필리핀 대학 필리핀1908
95 파리 광산 대학 프랑스 1783
96 카운티 대학 미국 1846
97 호주 국립 대학 호주 *
98 조지 타운 대학 미국 *
99 카타르 대학 카타르 1973
100 펀자브 대학 파키스탄 *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대림동, 극우 반중 시위…시민단체 맞불 집회로 충돌 일촉즉발
[동포투데이] 서울 최대 중국인 밀집 지역인 대림동에서 7월 11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 등 극우 성향 인사 약 40명이 반중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태극기와 성조기, ‘Only 尹’(윤석열 복직 요구)이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중국은 물러가라”는 등 혐오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고, 중국계 주민들...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1회 발표회 성료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원장 김재욱)이 공동 주최한 ‘제11회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발표회’가 7월 14일 오후 1시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대 대학원 강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디아스포라와 세계시민을 잇는 정체성 교육’을 주제로 열... -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로이터 “내란죄 수사 탄력받아”
[동포투데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등 국헌 문란을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혐의로 7월 10일 재수감됐다고 로이터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은 “서울중앙지방법원이 특별검사팀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발부하면서 윤 전 대통령은 다시 서울구치소로 돌아가게 됐다”고 전했다. ... -
더불어민주당 “모스탄 푸대접으로 한미관계 파탄? 국민의힘 가짜뉴스 비호 그만해야”
[동포투데이]더불어민주당은 17일 국민의힘 이준우 대변인이 모스 탄(Moss Tan) 씨에 대한 ‘푸대접’이 한미관계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준우 대변인의 발언이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이냐”며 공개 질의했다. 김 대변인은...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NEWS TOP 5
실시간뉴스
-
中 후난 도심서 무차별 칼부림… 2명 사망·3명 중상
-
뉴욕증시 급등…다우 585포인트 상승, 연준 금리인하 기대 반영
-
“중국 봉쇄, 자멸로 끝날 것”…삭스, 미국 패권 전략에 일침
-
“결혼은 사치?”…중국, 결혼 기피 확산에 정책 고심
-
1만번째 외자기업…중국 ‘작은 도시’ 이우, 글로벌 상권의 심장으로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
태국 고위급 승려 성추문에 불교계 흔들…국왕까지 이례적 공개 질타
-
캄보디아 “태국군 또다시 영토 침입…철조망 설치까지”
-
“기차로 만나는 중국”…고속철이 바꾼 여행의 방식
-
중공중앙 정치국, 경제 자신감 강조…‘반내권’ 언급은 빠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