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거리는 노랗고 붉게 물들어 완연한 가을이다. 오가는 차들과 아름다운 거리를 거니느라니 한국에 온지 어언간 여섯번째 가을을 맞는 이시각 저도 모르게 숨 쉴 틈도 없이 달려 온 자기를 뒤돌아 보게 된다.
결혼하여 가정을 이룬후 무던하고 말수가 적은 남편은 언 제나 저의 의사를 잘 따라 주었으며 시골에서 아들들의 공부 뒤바라지를 하느라고 경제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언제나 든든한 버팀목이 되여준 그였다. 힘들고 벅찬 나날들을 다 넘기고 출국이 자유로와 지면서 남편이 먼저 고령 동포로 입국하여 시골에서 토마토 농장에서 일한 석달 노임 270만원은 사장이 잠적하여 못받기도 하고 나주의 뱀장어 양식장에서 일하기도 하다가 만 삼년이 되여 고향에 갔다 온 후에는 천안의 양돈 회사에서 열심히 일하여 체류 자격을 변경하고 그 곳에서 계속 일하고 있다.
매일 굴암퇘지와 새끼 돼지 백 여마리를 먹이를 주고 돼지우리를 청소하고 설사를 하는 돼지 새끼들은 제때에 주사도 놓으면 정성 들여 키워야 함은 물론이고 돼지 분변 냄새가 코를 찌르는 돈사에서 일하기란 쉽지 않다. 다행이도 남편은 비염이 심해서 어지간한 냄새는 모르고 지독하게 냄새가 나야 아니 그나마 참을만 한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여지껏 살아 오면서 난 그이를 잘 안다고 생각했지만 아직도 그의 내심 세게와 그에 대한 관심이 적다고 생각하며 마음이 알짝지근해 난다. 내 마음속엔 아들들의 전도만 생각하고 일군으로만 생각한 내가 야속하고 그렇게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여 번 돈은 응당하다고 받아 들이고 가정의 계획과 노후 준비를 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작년 가을부터 남편을 생각하여 홍삼정을 사서 보내 주었으며 봄과 가을에 주기적으로 복용하고 하였다.
우리 가난이 지겨워 고국에 와 돈을 벌어 경제적으로 부를 이루어 아파트를 사고 자식들의 교육비도 대면서 좋은 것을 얻었지만 단란하게 모여 살지 못하고 서로 그립고 고독한 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비일비재다. 오늘 생각해 보니 얻은 것도 많고 희생도 있다고 생각한다.
오늘도 열심히 일한 남편에게 수고 많으시다고 사랑의 메세지 전하고 싶다.
감 천
2013년 10월 30일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동포투데이] 백두산 천지를 마주한 뒤, 발걸음을 옮겨 백두폭포(중국명 장백산폭포)로 향했다. 천지에서 흘러내린 물길은 가파른 절벽을 타고 떨어지며 웅장한 포효를 만들어냈다. 높이 68미터, 너비 30미터에 달하는 폭포는 가까이 다가갈수록 마치 대자연의 심장을 두드리는 듯한 굉음을 쏟아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