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짱예딴샤 지질공원
중국명: 张掖丹霞地质公园
외국명: Zhangye Danxia National Geological Park
소속지구: 중국 깐수성
면적: 약 510평방킬로미터
기후: 온대 대륙성 건조기후

2005년 11월 중국지리잡지사와 전국 34개 매체에서는 공동으로 “중국의 가장 아름다운 지방” 평선활동을 조직, 이 활동에서 짱예딴샤 지질공원은 “중국의 가장 아름다운 7대 단하”로 평의되었다.

짱예딴샤 지질공원에는 단하지형이 도합 780여 곳이 있으며 주로 동남부와 서남부 및 서북부 지대에 위치, 중국 건조지구에서 가장 전형적이고도 면적이 큰 단하 지형경관을 이루고 있다.
지리적 위치
짱예딴샤 지형은 린저현 경내에 위치, 짱예시와는 40킬로미터 떨어져 있으며 사방 100 평방킬로미터의 치렌산 북부 구릉지대인 깐난위구족 자치현 바인향(肃南裕固族自治县白银乡)을 중심으로 해발 고도가 2000미터 내지 3800미터 사이이다.
짱예딴샤 지형에는 주로 두개의 무늬지형 분포구가 있는데 한곳은 동쪽으로부터 금탑사와 마제사(马蹄寺)와 서쪽으로 향한 옌썬(西延)으로부터 훙산촌(红山촌), 마제, 훙산만, 바이인(白银), 다허(大河), 훙산촌 분포구이고 다른 한곳은 동쪽으로부터 훙시후(红四湖)일대로서 훙시후, 훙쵄즈(红圈子). 판쵸우(板桥), 허리(合黎)까지의 분포구인바 가장 독특한 곳은 훙산만과 바이인 일대 그리고 훙쵄즈일대이다.

“알란라그다(적색의 산이라는 뜻)”라고 부르고 있다.
기후특점
짱예딴샤 지역은 대륙깊이에 위치, 전형적인 온대대륙성 건조기후에 속하며 일조시간이 길고 광열자원이 풍부하다.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뜨거운 것으로 사계절이 분명하며 연 평균 강수량은 130밀리미터 좌우에 달한다. 평균 기온은 영상 7도 좌우이고 매년 6월부터 9월까지 강수량이 집중되며 이 기간이 또한 여행하기 가장 훌륭한 계절이다.
관광지침
70세 이상의 노인은 무료이고 학생, 군인은 해당 증서에 따라 50% 할인값으로 티켓을 구매할 수 있다.
1.2미터 이하의 아동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개방시간
여름: 5시 30분부터 20시 30분까지
겨울: 8시부터 18시까지
(다음 계속)
동포투데이 김민 기자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동포투데이] 백두산 천지를 마주한 뒤, 발걸음을 옮겨 백두폭포(중국명 장백산폭포)로 향했다. 천지에서 흘러내린 물길은 가파른 절벽을 타고 떨어지며 웅장한 포효를 만들어냈다. 높이 68미터, 너비 30미터에 달하는 폭포는 가까이 다가갈수록 마치 대자연의 심장을 두드리는 듯한 굉음을 쏟아냈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극우, 이제는 때려잡아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