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화는 시대 상황을 생생하게 재연하면서 한 개인의 문제와 역사적 사건을 따로 떼어 놓지 않고, 주인공의 운명과 민족의 운명을 현실문제까지 연관지어 표현한 점이 돋보인다. 북한영화로는 보기 드물게 유명배우가 총출연하고 막대한 제작비와 수천명의 조연배우들이 동원, 특히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역사의 현장인 중국 하얼빈에서 촬영해 사실성이 뛰어나는 등 조선영화 가운데서도 수작으로 꼽히고 있다.
안중근의 세례명 “도마”로 이름 한 영화는 이또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이 감옥에 수감 된 뒤 수사 과정에서 검찰관과 나누는 대화를 통해 그의 삶을 되돌아 보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안중근이 왼 손 약지를 잘라 “단지동맹”을 뭇고 독립에 대한 결의를 다지며 마침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게 된 과정을 연대 순으로 보여 주면서 의협심과 용기 있는 행동으로 자신의 사명을 끝까지 수행하는 안중근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풀어 낸다.
한국 개그맨 출신 MC인 서세원이 시나리오를 직접 쓰고 연출을 맡았고 유오성, 고두심 등 유명배우들이 출연, 역시 중국에서 현지 촬영을 했다.
민족독립운동의 화신 격인 안중근의 역사적인 의거를 스크린에 올리는 작업은 그 오랜 이전 부터 시작됐다.
일찍 1928년에 벌써 안중근을 소재로 한 영화 “애국 혼”이 제작되였다.
“한국 항일영화의 효시”로 지칭 되는 영화 “애국혼”은 한국 영화인들이 중국에서 제작, 상영했다. 당시 일제의 영화 검열이 강화되자 정기탁 등 한국의 영화인들이 중국의 상해로 이주 해 영화운동을 전개했는 데 “애국혼”이 그 작품 가운데의 하나다. 전창근이 각본을 쓰고 정기탁이 감독과 주연을 맡았다.
영화는 안의사의 민족혼을 생생하게 묘사해 반일감정이 높아가던 당시 중국 관객에게도 큰 호응을 얻었다.
다음1946년 안중근의 일대기를 서술 한 전기영화 “안중근 사기”가 상영되였다.
한국이 국권을 회복한 뒤 처음 선보인 영화는 애국지사 안중근의 의거를 소재로 일제의 압제에서 벗어 난 우리 민족이 그의 독립정신을 회상하며 민족재건의 동력을 얻고자 했다.
그 뒤로도1959년에는 “고종 황제와 의사 안중근”, 1972년에는 “의사 안중근” 을 제작, 대아의 삶을 살다 간 민족영웅의 일대기는 영화인들이 다투어 제작한 소재었다.
북한의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의 경우 영화의 진행은 설명이 많고 평면적이다.
중요한 대목에서 반드시 주인공의 대사나 나레이션으로 상황을 설명하면서 교육과 선전의 효과를 강조하고 극대화 하고 있는데 이는 영화의 전반 흐름을 흐트러 뜨리고 몰입도를 방애한다.
한국의 “도마 안중근”은 더구나 관객들로부터 물의를 빚었다.
영웅 안중근을 그려내려 했으나 안중근의 인간적인 고민이나 풍모가 충분히 드러나지 않고 오로지 인물의 신화화에만 골몰 한다. 게다가 독립투사가 쌍 권총을 쏘며 애써 쿨한 모습을 짓는 향항 갱영화에서나 볼법한 장면들이 이어진다. 안중근을 인격적인 실존 인물이 아니라 액션 영웅처럼 천박하게 부각한 데서 실존 인물의 사실감과 영화의 격은 휘발되고 말았다.
삼척동자도 다 아는, 민족이 애대하는 영웅을 소재로한 작품이라 그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이라 할가? 상기 영화들에 대해 관객들로서는 낙공 (落空)의 실패작으로 보면서 커다란 유감을 표하고 있다.
중국 화인채널은 지난 달, 중국에서 열린 행사에서 중한 양측이 1억 위안(각 5000만 위안)을 투자해 안중근을 영화로 제작하기로 합의했다.
제작사 “즐거운 상상”은 현실감과 사실성을 높이기 위해서 안중근의 고향 황해도 해주 지역과 백두산 촬영을 추진할 계획이며 영화 ”동승”으로 베를린국제영화제에 진출한 주경중 감독이 메가폰을 잡게된다고 밝혔다.
굵직한 사건 등을 배경으로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응징하고 뤼순감옥에서 숨질 때까지의 이야기와 암살 전 일주일간의 긴박했던 기간을 중심으로 드라마틱하게 다룰 계획이다.
한·중·일 삼국의 역학관계에 안중근 의사가 뜨거운 이슈로 떠 오르고 있는 시점에서 그를 소재로 중국과 한국 나아가 아시아가 공감, 공조의 뉴대로 삼을 수 있는 좋은 영화가 나오기를 바란다.
- “청우재(聽齋雨)”에서
BEST 뉴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허 훈 최근 한국에서 발표된 한 여론조사 결과가 중국 온라인 공간에서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다. 한국 청년층의 다수가 중국을 ‘가장 비호감 가는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마치 이웃이 적의를 품고 노려보는데도, 정작 당사자는 시선조차 주지 않는 기묘한 장면처럼 ...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허 훈 가난한 사람을 다루는 드라마를 네 나라, 한국·미국·중국·일본의 작품을 함께 놓고 본다면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네 나라 중 유독 한 곳만, 가난이 너무도 ‘예쁘게’ 포장돼 있다. 바로 중국이다. 요즘 중국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미드·한드·일드나 본다”는 말이 유행처럼 ...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미국 언론이 “미국과 이란이 충돌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이, 테헤란의 폐허가 된 거리에서는 한 청년이 무너진 벽에 이렇게 적었다. “우리에겐 시간이 있고, 제국에겐 최후통첩뿐이다.” 이 짧은 문장은, 대결 국면의 중심에서 중국을 지목하는 서방의 담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허 훈 | 칼럼니스트 “디아스포라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 지난 6월 23일 서울 종이나라박물관에서 열린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0회 발표회에서 전후석 다큐멘터리 감독이 던진 이 말은 한글교육의 본질과 미래를 깊이 성찰하게 하는 표현이었다. 한글교육은 더 이상 단순한 문자 교육...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각 시대마다 역사 흐름을 바꾸는 탁월한 인물들이 등장해왔다. 이들은 그 지혜와 능력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신과 같은 존재’로 불리며 사회와 문명의 발전을 이끌었다. <삼국연의>로 널리 알려진 제갈량은 이러한 인물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지만, 실제 역사 속에서는 그조차도 ‘신인’ 순위의 다섯 손가락 안에 들...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중국인 아이돌의 한마디에 ‘집단 분노’… 한국 사회의 불안한 자화상
-
중국 축구, 끝없는 추락에 해체론 재점화
-
“감독만 바꾸면 나아질까”…中 축구, ‘20년 책임 전가’의 민낯
-
‘홍대 중국인 커플 폭행’, 언제까지 외국인 혐오에 눈 감을 것인가
-
“억제”의 환상, 전쟁의 불씨가 된 서태평양…수천만 생명 위협하는 핵 시나리오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
'축구 굴기'의 허상, 국가 통제 축구의 비극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