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으로 본 박근혜 대통령 1968년 호주 방문

박근혜 대통령이 처음 외국 여행을 한 것은 언제일까? 기록에 따르면 16세(성심여고 2학년) 때인 1968년 9월 15일부터 25일까지 故 박정희 대통령의 호주와 뉴질랜드 방문 시 비공식 수행원으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해외순방에 동행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1968년 10월, 당시 문화공보부가 발행한 라는 책과 1968년 12월 25일 동아출판사가 문화공보부의 협조를 얻어 발간한 이라는 책자에서 사진과 내용을 발췌, 톱 뉴스가 1968년 박근혜 대통령의 호주 방문을 사진으로 정리했다.
1) 김포공항 출발
박정희 대통령이 호주와 뉴질랜드 방문길에 오르던 1968년 9월 15일 오전, 김포공항에는 700여명의 환송객으로 붐볐다. 박정희 대통령 내외가 환송객들과 인사를 나누는 동안, 장녀인 박근혜 대통령은 배웅 나온 학우들과 잠시 출발인사를 나눴다. 이후 대통령 일행은 11시 노스웨스트 특별전세기편으로 호주 캔버라로 향했다. 당시까지도 한국은 대통령 전용기가 없었다.
박정희 대통령이 트랩에 오르면서 뭔가 흥미로운 장면을 보고 미소 지으며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육영수 여사와 박근혜 대통령이 활짝 웃고 있다.
2) 호주 캔버라 방문
박정희 대통령 일행은 9월 16일 오전 10시 호주 캔버라의 페어베언(Fairbairn) 공군기지에 도착하여 존 고튼(John Gorton, 1911~2002) 총리 내외 그리고 3부요인의 영접을 받았다. 이날 박정희 대통령의 숙소는 캔버라 렉스(Rex) 호텔 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호텔에서 고튼 총리 내외를 접견하고, 곧 이어 리처드 케이시(Richard Casey, 1890~1976) 총독을 예방했다. 이어 호주 주재 각국 외교단을 접견하고, 저녁에는 케이시 총독이 주최한 만찬에 참석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9월 17일 오전 8시 40분 전쟁기념비에 헌화하고, 오전 9시부터 1시간 동안 고튼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양국 정상은 월남지원문제, 아시아•태평양 지역각료이사회(ASPAC) 강화문제, 한국과 호주의 경제협력강화와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 공산위협에 대처할 안전보장문제를 폭넓게 협의했다.
또한 이날 호주 국회의사당에서 개최된 고튼 총리 주최 오찬회에는 호주의 3부 요인을 비롯해 600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이어서 박정희 대통령은 호텔로 찾아온 호주 야당의 고프 휘틀램(Gough Whitlam, 1916~2014) 의원을 접견하는 등 바쁜 일정을 보내는 동안, 故 육영수 여사는 아침 일찍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아동보호소를 방문하는 등 별도의 일정을 보냈다.
3) 멜버른 방문
특히 박근혜 대통령은 9월 17일 이동환 주호주 한국대사의 딸과 함께 멜버른으로 이동, 1772년 호주를 발견한 캡틴 쿡 기념관, 올림픽 경기장, 천주교 계통의 학교인 세이크리드 하트 걸스 칼리지(Sacred Heart Girls College, 1957년 개교), 멜버른 동물원을 방문했다.


4) 시드니 방문
박정희 대통령 일행은 9월 18일 오전 10시 45분 시드니에 도착했다.
9월 18일 점심 식사 후, 박정희 대통령과 장녀인 박근혜 대통령은 시드니 항만시설을 둘러보았으며, 이어 육영수 여사와 같이 시드니의 콩코드 병원을 방문해 18년 동안 병상에 누워있는 한국전참전 상이용사 9명을 위문하기도 했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시드니 시내를 한 바퀴 돌아본 뒤, 박정희 대통령에게 “물건은 우리나라와 수준이 같은데, 포장이 잘 되었어요”라는 소감을 피력했는데, 박정희 대통령은 우리 상품이 호주를 비롯한 세계시장을 개척하는 데 참고할 만한 지적을 해준 딸을 대견해했다.
9월 18일 밤을 시드니 소피텔 웬트워드(Sofitel Wentworth) 호텔에서 지낸 박정희 대통령 내외와 박근혜 대통령 9월 19일 오전 10시 30분, 시드니 일정을 마치고 뉴질랜드로 향했다.
기사제공 : 호주 TOP NEWS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중국이 아니라 변화가 두렵다” — 한국 내 반중 감정의 진짜 이유
[동포투데이]서울 명동의 한 카페. 28세 직장인 지수 씨는 휴대전화에 뜬 ‘중국 전기차, 한국 시장 점유율 15% 돌파’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며 인상을 찌푸렸다. 그리고 곧장 ‘화나요’ 버튼을 눌렀다. “또 시장을 뺏긴다는 건가요?” 이런 반응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낯설지 않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
일본행 경고 하루 만에… 중국 항공사들 일제히 ‘전액 무료 환불’
[동포투데이]중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을 자제하라고 공식 경고한 지 하루 만에, 중국 주요 항공사들이 일본 노선을 대상으로 한 ‘특별 조치’를 일제히 발표했다. 15일 오후 5시(현지시간) 기준 에어차이나,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하이난항공, 쓰촨항공 등 5개 항공사는 12월 31일까지 일본 출·도착 항공...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동포투데이]“AI 도시 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베이징, 항저우, 선전이 선두권을 형성하며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새로운 삼국지를 그리고 있다. 최근 발표된 ‘중국 10대 인공지능 도시’에는 베이징, 항저우, 선전, 상하이, 허페이, 우한, 광저우, 난징, 쑤저우, 청두가 이름을 올렸다. ... -
‘중국에서 가장 깨끗한 도시’ 웨이하이
[동포투데이]중국 산둥(山東)성의 항구도시 웨이하이(威海)는 ‘중국에서 가장 깨끗한 도시’로 불린다. 거리엔 먼지 하나 없고, 공공의자에 그냥 앉아도 옷이 더러워질 걱정이 없다. 일본 관광객조차 “중국에 이렇게 청결한 도시가 있을 줄 몰랐다”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한다. 그러나 이 청결의 배경엔, 수십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다카이치, 야스쿠니 10차례 이상 참배…난징대학살 부정까지 논란 확산
-
외신 “다카이치 사나에 궁지에 몰릴 수도”…대중 관계 악화에 우려
-
연변 전통마을, 조선족 민속 체험 여행지로 주목
-
日, 대만 코앞 섬에 미사일 배치 추진… 中 “군국주의 부활 절대 불가”
-
日 총리의 대만 개입 언급, 전후 질서 부정 논란 재점화
-
日企·재중 일본인 수 감소, 무역·민간 교류는 여전
-
일본 공항, 중국인 귀국 행렬로 ‘북적’…항공권 가격도 급등
-
중국, 일본 전방위 압박…다카이치 발언 후 외교·경제·안보 영역 긴장 고조
-
상하이, 2025 글로벌 혁신 지수 세계 10위권 진입
-
국제사기 연루 일본인 14명, 말레이시아서 체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