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문명기적 시리즈(20) 씨엠립유적
씨엠립유적의 자료
소속대륙: 아시아, 소속국가: 캄보디아, 지점: 프놈펜 서북부 되는 곳
함의: 세계에서 가장 큰 종교건축군
기원 9세기 초엽, 캄보디아의 씨엠립왕조는 선후로 쎄엠립굴을 대표로 한 수백개의 인도교와 불교건축풍격의 절과 불탑을 수건하였다. 1431년, 태족군대가 캄보디아를 점령하면서 씨엠립절당은 버려졌고 후에는 수림속에 감춰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19세기 말에 들어 이 씨엠립은 탐험자들에 의해 발견되고 다시 볕을 보게 되었다. 씨엠립유적 앙코르(吴哥遗址)은 씨엠립성, 씨엠립굴 및 일부 사원들로 구성되었으며 “고대동방의 4대 기적”의 하나로 1992년 “세계문화재명록”에 들어가게 되었다.
왕의 성곽 ㅡ 씨엠립성곽
씨엠립성곽은 “대씨엠립”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이 곳은 기원 9-15세기에 줄곧 캄보디아의 수도였다. 씨엠립성은 하나의 정방형으로 된 도시로 부지면적이 9만제곱미터에 달한다. 씨엠립성에는 도합 5개의 성문이 있는데 매개 성문은 기실 모두 높이가 20여 미터가 되는 불탑으로 되어있고 역시 사방을 향한 보살의 머리모습이 그려져있어 “사면불”로 불리기도 한다. 그리고 성곽밖에 있는 도랑호 다리에는 27개의 신조각상이 있고 성내에는 사당, 보탑과 황궁 등 건축물이 있다.
천년 씨엠립굴
크메르어중에 씨엠립굴은 “사원성”이란 뜻으로 씨엠립유적 중 규모가 가장 큰 건축물은 “작은 씨엠립”이라고도 한다. 이는 씨엠립왕조의 시리아 왈만 2세가 영을 내려 지은 것으로 부지면적이 2080제곱미터이고 외곽에 도랑호가 있는가 하면 서항도(西巷道), 삼중회랑(三重回廊)과 오좌첨탑(5座尖塔) 등으로 구성되었다. 전반 건축물은 하나하나의 큰 돌로 돼있으며 돌가루와 시멘트가 없고 못과 기둥은 더욱 없는바 옛사람들의 높은 건축수준을 충분히 체현하였다.
【동포투데이 리포터 김철균 제공】
BEST 뉴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허 훈 최근 한국에서 발표된 한 여론조사 결과가 중국 온라인 공간에서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다. 한국 청년층의 다수가 중국을 ‘가장 비호감 가는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마치 이웃이 적의를 품고 노려보는데도, 정작 당사자는 시선조차 주지 않는 기묘한 장면처럼 ...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허 훈 가난한 사람을 다루는 드라마를 네 나라, 한국·미국·중국·일본의 작품을 함께 놓고 본다면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네 나라 중 유독 한 곳만, 가난이 너무도 ‘예쁘게’ 포장돼 있다. 바로 중국이다. 요즘 중국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미드·한드·일드나 본다”는 말이 유행처럼 ...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미국 언론이 “미국과 이란이 충돌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이, 테헤란의 폐허가 된 거리에서는 한 청년이 무너진 벽에 이렇게 적었다. “우리에겐 시간이 있고, 제국에겐 최후통첩뿐이다.” 이 짧은 문장은, 대결 국면의 중심에서 중국을 지목하는 서방의 담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허 훈 | 칼럼니스트 “디아스포라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 지난 6월 23일 서울 종이나라박물관에서 열린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0회 발표회에서 전후석 다큐멘터리 감독이 던진 이 말은 한글교육의 본질과 미래를 깊이 성찰하게 하는 표현이었다. 한글교육은 더 이상 단순한 문자 교육...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각 시대마다 역사 흐름을 바꾸는 탁월한 인물들이 등장해왔다. 이들은 그 지혜와 능력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신과 같은 존재’로 불리며 사회와 문명의 발전을 이끌었다. <삼국연의>로 널리 알려진 제갈량은 이러한 인물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지만, 실제 역사 속에서는 그조차도 ‘신인’ 순위의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실시간뉴스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단동의 밤, ‘해당화’ 식당에서 피어난 이념의 그림자
-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역사 바로보기] 중국사 속 3대 허위사실…'주유왕 봉화사태'부터 '강건성세'까지
-
국경을 초월한 영웅, 이다 스케오의 희생과 평화의 메시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8개 현·시 지명에 스민 역사와 문화의 숨결
-
1960년대 북-중 관계의 악화와 저우언라이 방북
-
중국 5대 종교 중 신도가 가장 많은 종교는?
-
중국 유명 역사 이야기 10편 01 : 와신상담 (卧薪尝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