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온스당 3508달러까지 치솟아

  • 화영 기자
  • 입력 2025.09.02 23:2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스크린샷 2025-09-02 232619.png

 

[동포투데이] 9월 2일, 런던 현물 금값이 온스당 3,500달러 선을 넘어 최고 3,508.69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시각 기준 런던 현물 금값은 온스당 3,490.66달러로, 하루 상승률은 0.44%를 기록했다. 국제 금값은 이날로 6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금값 상승의 배경으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단기적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9월 2일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 FedWatch 도구에 따르면, 9월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10.3%로 떨어졌고, 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은 89.7%로 높아졌다. 10월 연준 동결 확률은 5%에 불과하며, 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49%, 0.50%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46%로 전망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올해 초 재취임 이후 연준에 금리 인하 압박을 지속하며 재정 완화 정책과 연계할 것을 요구했고, 연준 의장 제롬 파월을 해임하겠다는 경고를 반복했다. 독립 금속 트레이더 타이 웡(Tai Wong)은 “트럼프의 압력으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더 빠르게 금리를 인하하고 장기간 저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금값 상승에 우호적 환경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FOMC는 오는 9월 16~17일 회의를 예정하고 있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달러화 약세가 꼽힌다. 9월 1일 달러 가치는 5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현물 금값은 이미 33% 이상 상승했으며, 4월에는 온스당 3,500달러를 넘어선 바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과 연준 독립성 약화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중앙은행 금 매수 등 복합적 요인으로 금값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은행은 2026년 상반기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으며, 모건스탠리는 올해 말 금값 목표치를 3,675달러로, 내년 초 4,000달러 도달 가능성을 제시했다. RJO퓨처스의 수석 시장전략가 다니엘 파빌로니스는 금값이 올해 말까지 3,7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한편, 세계금협회(WGC)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중국 투자자들은 글로벌 금 시장에서 두드러진 구매력을 보였다. 금괴와 금화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115톤으로, 2013년 이후 2분기 최대 수요를 기록했다. 이 같은 수요 증가로 상반기 중국 내 소매 금 투자량은 239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늘어났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퇴임 앞둔 프랑스군 총참모장, “분열된 유럽은 강대국 먹잇감 될 수도”
  • 서정원 매직, 펠리피 폭발+웨이스하오 쇼타임…유스 듀오 데뷔골까지 ‘5-1 완승’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공산당 축구 관리’ 본격화…심양, 37억 쏟아 대련 추격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 ‘해삼 군단’의 몰락, 스스로 무덤을 판 중국 축구
  • 황영웅, 네티즌 어워즈 남자가수상 ‘독주’…팬미팅도 1분 매진
  • ‘세계인의 축제’ 월드게임, 중국 청두서 개막…문화와 스포츠의 향연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온스당 3508달러까지 치솟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