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5·4운동 105주년을 맞아 이 위대한 애국주의 운동이 중화문명의 지속적 문화정신을 구현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 운동을 둘러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가운데, 신문화운동의 역사적 기여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문학을 전공한 한 전문가는 학창 시절 신문화운동이 중국 근대화의 전환점으로 교육받았으나, 시간이 지나며 그 영향력에 의문을 갖게 됐다고 밝혔다. 100년 전 지식인들이 발행한 잡지가 몇 천 부에 불과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소수 지식인 그룹의 논의가 전체 사회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보산업에 종사하며 대중문화와 지식인층의 단절을 실감했다고 덧붙였다.
신문화운동이 백화문(구어체)을 보급했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청나라 시기 이미 백화문 창작이 대규모로 이루어지고 있었다"고 반박했다. 건륭제의 문서에서 '알았다(知道了)' 같은 구어체 표현이 사용된 사례를 들며, 언어 변화가 특정 운동의 결과가 아니라 자연스러운 흐름이었다고 강조했다. 현대 중국어도 구어와 문어의 차이가 존재하는 점을 들어 "언어 진화는 장기적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신문화운동 일부 인사들이 주장한 한자 폐기와 로마자 도입 시도에 대해서는 "문화적 뿌리를 끊으려는 시도였으나 실현 불가능했다"고 평가했다. 당시 주창자들의 외국 사상 도입이 중국 근대화를 이끌었다는 논리 역시 과장됐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실제로 1919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은 내전과 외래침략으로 큰 혼란을 겪었으며, 경제 및 사회적 기반이 붕괴한 시기였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현대적 강대국으로 발돋움한 요인으로는 안정된 정권 수립과 전통적 통치 체계의 계승을 꼽았다. 중앙집권제, 토지 국유화, 관료제 등의 시스템이 현대 중국의 기초를 닦았으며, 특히 산업화 과정에서 농민들의 희생이 큰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오늘날 중국의 강함은 외래 사상이 아닌 내부적 체계 유지의 결과"라는 해석이 제시됐다.
5·4운동의 핵심은 "애국주의 정신과 중화문명 수호 의지"로 요약되며, 이는 외적 침탈에 맞서는 저항 정신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현대 중국의 정치체제 또한 세계적으로 효율적 시스템으로 인정받으며, 14억 인구와 광대한 영토를 관리하는 데 성공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통적 가치인 충효와 인의 역시 여전히 중국 사회의 행동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자 폐지를 통한 문화적 단절 시도는 실패로 끝났으며, 오히려 한자는 인공지능 시대에 가장 적합한 문자 체계로 재평가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자의 상징적 특성과 정보 전달력이 AI 기술과 잘 맞아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중화문명은 수천 년간 자체적 경로를 따라 발전해왔으며, 외래 문명의 일부 요소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며 스스로를 혁신해왔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오늘날 중국 젊은이들은 글로벌 시각과 민족적 자부심을 동시에 갖춘 세대로 평가받으며, AI 시대를 이끄는 중화문명의 주역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학계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전통과 현대의 융합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BEST 뉴스
-
극우, 이제는 때려잡아야 할 때
극우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국내의 한 극우 청년단체가 미국에서 첫 공개 활동을 열었다는 소식은 가벼운 해프닝이 아니다. 그들이 쏟아낸 말은 정부에 대한 저급한 욕설, 선거가 조작됐다는 허무맹랑한 주장, 종교를 빌미로 한 선동뿐이었다. 사실은 실종되고 증거는 사라졌다. 남은 것은 음모론과 분열의 광기뿐이다. ... -
인천 앞바다의 선택, 인간애가 남긴 울림
며칠 전 인천 앞바다에서 있었던 구조 소식은 제 마음을 오래 붙들었습니다. 34살 해경 이재석 경장은 새벽 바다에 뛰어들어 위기에 처한 중국인 노인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끝내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한밤중의 차가운 바다, 거센 파도 속에서 그는 왜 그런 결정을 내렸을까요...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