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미국 트럼프 정부가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업 딥시크(DeepSeek)에 대한 기술 수출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미국 정부는 딥시크가 미국 기술을 활용해 중국의 AI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막기 위해 해당 기업의 미국 기술 구매 금지, 미국인의 기술 사용 차단, AI 반도체 공급 중단 등 '다각적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6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하원 '중국문제특별위원회'는 같은 날 "딥시크가 미국 기술을 도용해 개발됐다"며 "미국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딥시크가 "정보 검열 및 조작", "중국에 데이터 유출", "사용자 보안 취약성 유발" 등을 한다는 근거 없는 주장을 담았으며, 지난 2월부터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위원회는 보고서 발표와 동시에 엔비디아의 아시아 지역 AI 반도체 판매 조사에 착수했다. 엔비디아가 중국에 수출이 금지된 반도체를 딥시크에 공급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위원회는 엔비디아에 2주 내 조사에 응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정부는 이번 주 내로 엔비디아의 중국 등 특정 국가에 대한 AI 반도체 수출을 추가 제한하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며, 전임 바이든 정부가 도입한 AI 칩 수출 규제 조치도 강화해 시행할 계획이다. NYT는 "워싱턴이 중국의 AI 기술력이 미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불안감에서 이러한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기업연구소(AEI)의 클론 키친 국가안보·기술 전문가는 "미국이 AI 반도체 제조 및 시스템 구축 분야의 우위를 활용해 동맹국들을 포섭하려는 전략"이라고 지적했지만, 일방적인 규제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 충격을 주고 있다.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가 지난주 중국 시장용 특수 칩(H20) 수출을 제한하면서 55억 달러(약 7조 5,000억 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AMD 역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매출 감소를 우려했으며,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기업 ASML도 장비 주문량이 예상치에 미치지 못했다고 시인했다. 이들 기업의 주가는 16일 5% 이상 급락했다.
한편,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는 지속적으로 대중 수출 규제 반대 입장을 밝혀왔다. 그는 "중국 시장 고객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중국을 떠나면 AI 칩 시장을 화웨이에 내주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 CNBC도 "엔비디아의 H20 칩 수출 제한은 재정적 손실보다 전략적 타격이 더 크다"며 "화웨이가 엔비디아의 시장 점유율을 위협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외교부는 트럼프 정부의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계획에 대해 "미국이 반도체 문제를 정치화·안보화하며 중국을 억압하는 행위는 글로벌 산업 발전을 저해하고 결국 자충수가 될 것"이라며 강력히 비판한 바 있다.
한편, 딥시크는 지난 1월 저비용·고성능 AI 시스템을 공개하며 세계를 놀라게 했고, 이는 미국 정부의 경계심을 더욱 고조시켰다. 키친 전문가는 "딥시크의 등장은 미국 정책의 핵심이 붕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우려를 표했다.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美 알래스카 호텔서 美·러 정상회담 기밀문서 발견…일정·좌석표·선물 내용까지 노출
-
트럼프·푸틴, 알래스카서 3시간 회담…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합의’는 불발
-
트럼프, 알래스카서 ‘최고 예우’로 푸틴 영접 예정
-
멕시코, "미군 개입 절대 용납 못해" 주권 수호 의지 재확인
-
“즉각 사퇴하라”… 트럼프, 인텔 CEO 직격에 주가 급락
-
"상응관세" 글로벌 무역 지도 재편, 세계 경제 "탈미국" 가속화
-
“기술 유출 걱정하다 추월당했다”… 美 화이자 CEO, 中 바이오 굴기에 경고
-
“희토류로 중국에 도전?”…美, 수십 년 뒤처진 현실만 확인
-
뉴욕증시 급등…다우 585포인트 상승, 연준 금리인하 기대 반영
-
플로리다 '악어 교도소', 미국의 불편한 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