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법무부는 합리적 사유 없이 출국을 거부하는 장기 불법체류 외국인에 대한 강제퇴거 조치를 강화한다고 13일 밝혔다. 중앙아시아 출신 불법체류자 A씨는 강제퇴거 명령을 받은 후 약 2년(735일) 동안 본국 여행증명서 발급을 거부하고 서류를 파기하는 등 송환 절차를 방해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국내 체류 허가를 요구하며 출국을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보호시설 내에서 다른 외국인에게 욕설과 위협을 가하는 등 시설 운영을 방해한 것으로 전해졌다.
법무부는 해당국 대사관과의 협력을 통해 A씨의 여행증명서를 확보한 뒤 지난 12일 출입국관리공무원이 직접 A씨를 본국까지 호송하며 강제퇴거를 완료했다. 이번 조치는 강제퇴거 명령을 받고도 고의적으로 절차를 방해하는 외국인에 대한 단호한 대응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법무부는 여행증명서 신청 거부나 항공기 내 난동 등으로 퇴거가 지연되는 사례를 줄이기 위해 각국 대사관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 서류를 신속히 확보하고, 출국을 거부하는 외국인을 전문적으로 호송하는 '국외호송 전담반'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체류가 바람직하지 않은 외국인을 신속히 송환한다는 방침이다.
김석우 법무부장관 직무대행은 "체류 외국인 300만 시대를 맞아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지속 가능한 이민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며 "불법체류자에 대해서는 국외호송 강제퇴거를 적극 집행해 엄정한 체류질서를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법무부는 최근 5년간 강제퇴거 대상자 중 약 3%가 여행증명서 미발급 등으로 송환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분석하며, 이번 정책을 통해 장기 보호 사례 감소와 체류질서 강화를 기대하고 있다.
BEST 뉴스
-
"조국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일본 국적 화교의 고민
[동포투데이] 도쿄 이케부쿠로의 한 중식당. 손님들의 웃음소리와 중국어 주문 외침이 뒤섞이며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지만, 그 이면에는 고민과 불안이 숨어 있다. 일본 국적을 가진 일부 화교들은 식탁 위의 마파두부를 맛보면서도, 이 맛을 고국으로 가져갈 수 있을지 고민한다. 일본의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면... -
임금체불 피해 외국인, 강제퇴거 두려움 벗는다
[동포투데이]법무부가 외국인 근로자의 권익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임금체불 피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통보의무 면제 제도’를 11월 6일부터 시행한다. 이로써 불법체류 신분 때문에 임금체불 피해를 신고하지 못했던 외국인 근로자들도 강제퇴거 우려 없이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게 됐다. 법무부(장관 ... -
법무부, 동포 체류·정착·통합 정책 개선 방안 모색
[동포투데이]법무부(장관 정성호)는 13일 서울남부·출입국외국인사무소 대강당에서 선문대학교, 한국연구재단과 공동으로 ‘국내외 동포의 체류와 정주, 그리고 통합’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 거주 동포 증가와 700만 재외동포 시대를 맞아, 국내외 체류 동포의 출입국·거주 현황을 점... -
입국 단계별 촘촘한 검증… 노동부 “외국인 근로자 한국어시험 부정행위 원천 차단”
[동포투데이]고용노동부가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EPS) 한국어능력시험의 부정행위를 입국 과정 전 단계에서 차단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지난 9월 조선비즈가 “외국인 노동자 한국어시험 부정행위가 연간 수백건 적발된다”고 보도한 데 따른 공식 설명이다. 노동부에 따르면 한국어시험 부정 응시자는 ▲원...
실시간뉴스
-
입국 단계별 촘촘한 검증… 노동부 “외국인 근로자 한국어시험 부정행위 원천 차단”
-
법무부, 동포 체류·정착·통합 정책 개선 방안 모색
-
임금체불 피해 외국인, 강제퇴거 두려움 벗는다
-
"조국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일본 국적 화교의 고민
-
단기체류 외국인 숙박신고제 10월 24일부터 시행…APEC 정상회의 대비 보안 강화
-
“두 개의 신분증, 한 세상은 끝났다”… 호주 교민, 중국서 ‘이중국적 단속’에 막혀 출국 불가
-
일본 국적 화교 귀환 움직임…중국 국적 회복, 쉽지 않은 절차
-
“정부, 중국 단체관광객 한시 무사증 시행…‘관광 활성화·불법체류 차단 병행’”
-
“단체 관광은 무비자, 자유여행은 장벽 그대로”…中 관광객들 불만 고조
-
“중국서 아이 낳으면 국적 자동 취득?”… 까다로운 중국 국적법의 현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