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미중 양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AI 분야에서 우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으로 유학 온 중국 대학생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미국 싱크탱크의 분석이 나왔다.
닛케이 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의 폴슨 연구소(Paulson Institute) 내부 싱크탱크인 매크로폴로(MacroPolo)의 분석 보고서는 미국의 기업과 연구 기관에서 최고의 AI 연구자 중 거의 40%가 중국 대학 출신이라고 발표했다. 중국 대학 졸업생의 비율은 심지어 미국 내 졸업생 비율을 초과했다.
여기에는 유명 스탠퍼드 대학 교수이자 월드랩스(World Labs) 공동 창립자인 리페이페이(Fei-Fei Li)와 마이크로소프트 AI 수석 과학자인 덩리(Li Deng)가 포함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에는 미국의 주요 AI 전문가 중 27%가 중국 대학 출신이었다. 2022년에는 이 비율이 38%로 증가해 미국 대학 출신인 37%를 초과했다. 이 연구자들은 중국에서 학부 과정을 마친 후 미국에서 대학원 과정을 밟고, 결국 미국에서 취업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일본 이화학연구소 책임자 스기야마 마사시(Masashi Sugiyama)는 “분명히 중국에는 상당수의 우수한 젊은 연구자들이 미국 기업과 기관의 AI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현재 미국은 여전히 AI 연구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24년 노벨 물리학상과 화학상은 모두 AI와 관련된 연구에 수여되었고, 대다수의 수상자는 미국 출신이다.
매크로폴로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AI 학술 대회인 NeurIPS의 2022년 발표 논문의 저자를 배경 조사한 결과, 이 AI 전문가들이 소속된 10개 기관 중 7개가 미국에 있었으며, 구글과 스탠퍼드 대학교가 포함되었다. 중국은 그 뒤를 쫓고 있으며, NeurIPS에서 중국 논문의 채택이 늘어났고, 칭화대학교와 베이징대학교가 상위 10위 안에 들어갔다.
만약 중국 정부와 기업이 1990년대 이후의 “해외 귀국 정책”이나 “천인 계획”을 본받아 해외 인재를 유치한다면 AI 분야에서 더 큰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가시적인 미래에도 지배적 위치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주요 IT 기업과 선도 연구 기관이 미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여전히 중국 전문가들에게 매력적이다. 매크로폴로의 분석에 따르면, 약 80%의 외국 박사 과정 학생들이 졸업 후 미국에 남아 일을 선택하고 있다.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미중 간의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2022년 경부터 미국은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 등의 제품 수출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중국 AI 기업인 딥씨크(DeepSeek)는 최근 저비용으로 개발된 인공지능 비서를 출시했으며, 발표한 오픈소스 모델인 DeepSeek-R1은 세계 기술 업계를 놀라게 했고, 미국 정부의 관심을 끌기도 했다. 미국 정부는 DeepSeek가 규제된 반도체를 사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 반도체가 여러 국가를 통해 중국으로 반출되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현재 미국 내에서는 수출 규제를 강화하라는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학술 전문 출판사인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가 2024년에 실시한 연구 기관 순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기관들은 국제 협력보다 독립 연구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중국의 개인 연구 성과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글로벌 협력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하다.
혁신 연구는 종종 국경을 초월한 협력에 의존한다. 비록 중국의 많은 우수한 연구자들이 미국에서 일하고 있지만, 과학 연구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중국은 여전히 미국과 영국에 뒤처져 있다.
BEST 뉴스
-
“미국, 이란 핵시설 전격 타격… 진짜 위기는 지금부터”
[동포투데이] 미국이 마침내 이란을 향해 군사적 행동에 나섰다. 그것도 전격적으로, 예고 없이, 그리고 깊이 타격했다. 현지시간 6월22일 새벽,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폭격기가 이란 포르도, 나탄즈, 이스파한의 핵시설을 공격해 임무를 완수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모든 항공기가 무사히 귀환했고, 폭... -
“극우 댓글부대, 초등 교육까지 침투”…민주당, ‘자손군·리박스쿨’ 긴급 진상조사 촉구
[동포투데이]더불어민주당 ‘진짜 대한민국 중앙선대위’는 6월 1일 오전 중앙당사에서 긴급 회의를 열고, 극우 유튜브 채널과 연계된 댓글조작팀 ‘자손군’과 극우 교육단체 ‘리박스쿨’에 대해 “민주주의와 교육현장을 뒤흔드는 중대한 선거공작”이라며 긴급 진상조사와 전면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윤호중 총... -
이재명의 외교 방향, ‘중국 카드’는 어떻게 펼쳐질까
[동포투데이]제21대 대통령선거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승리로 마무리된 가운데, 중국 매체는 이재명 정부의 외교 방향, 특히 대중(對中) 정책에 대해 신중한 관찰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 관영 매체 관찰자망(观察者网)은 4일, “이재명의 진짜 대중 태도를 판단하려면 향후 몇 가지 사안의 처리 방식에 주목해야 ... -
"러-우크라이나 2차 평화협상, 전쟁 종식 향한 첫걸음 될까?"
사진 제공 : 스푸트니크통신 [동포투데이]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2일(현지시각)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린 제2차 평화협상을 약 1시간가량 진행한 뒤 종료했다. 러시아 대통령 보좌관이자 협상 대표단장인 블라디미르 메딘스키는 회담 직후 “전선 일... -
中전문가 “한중관계, 실용 외교로 새 전기 마련해야”
[동포투데이]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6월 3일 치러진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사실상 당선을 확정지으며 한국 사회는 새로운 정치의 출발점에 서게 됐다. 지난해 12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긴급 계엄령’을 선포하고 올해 4월 헌법재판소로부터 탄핵 결정을 받으면서 2년 앞당겨진 이번 조기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이재명 대통령 당선에 축전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4일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에게 축전을 보내 당선을 축하하며, 한중 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지속적 발전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축전에서 “한국은 중국의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트럼프, 중국 방문 추진…머스크·알트먼 등 CEO 대거 동행할 듯
-
첩보 대신 쇼잉? CIA, SNS에 ‘스파이 구인광고’
-
“사회주의자 시장, 자본주의 심장부에 등장할까”
-
뉴욕 타임스퀘어에 이란 국기 게양, 전미 17개 지역서 이란 공습 규탄 시위 격렬
-
커피, 적당히 마시면 생존률↑…커피와 사망률의 뜻밖의 상관관계
-
트럼프 이란 공격 검토에 美 민주당 "의회 동의 없인 절대 불가" 강경 입장
-
美, 오클라호마에 ‘광물 전초기지’ 구축…중국에 도전장
-
트럼프, G7 정상회의 조기 퇴장 이유 두고 마크롱 주장 반박
-
트럼프, G7 작심비판… “러시아 쫓아낸 건 대형 실수, 중국도 끼워라”
-
美 주지사 “중동 평화 중재, 중국만 가능”…보수진영 강력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