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에서 '조선족'이라는 호칭이 특정 맥락에서 비하적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래의 의미와 다르게 왜곡된 인식에 기인한 것으로, 조선족 호칭 자체는 비하적 표현이 아니다. 사회 전반에서 조선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조선족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
조선족은 주로 중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등 동북 지역에 거주하는 한민족 후손들을 가리키는 용어다. 이들은 19세기 말부터 일제 식민지 시기까지 한반도를 떠나 중국으로 이주한 한국인의 후손들로, 중국 내 소수민족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중국 사회에서 조선족은 독자적인 문화와 언어를 지키며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왜곡된 인식의 문제점
일부 한국 사회에서는 '조선족'이라는 용어가 부정적 맥락으로 사용되면서 이들에 대한 편견이 생겨났다. 이는 주로 불법 체류나 범죄 문제와 관련된 뉴스에서 조선족을 언급할 때 발생한 것으로, 특정 개인의 행위가 집단 전체의 이미지로 일반화되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고정관념이며, 조선족 대다수는 성실하게 삶을 영위하며 법을 준수하고 있다.
올바른 인식의 중요성
조선족에 대한 비하적 표현 사용은 단순한 용어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다문화를 수용하는 데 걸림돌이 되며, 나아가 국제적 윤리와 인권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조선족이라는 용어에 내포된 부정적 편견을 해소하고, 이들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존중이 필요하다.
인식 개선을 위한 실천 방안
첫째, 교육과 미디어를 통해 조선족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 교육과 대중 매체는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공존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둘째, 조선족 커뮤니티와의 교류를 확대하여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편견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역사회 차원의 문화 교류나 공동 프로젝트 추진은 이들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만남에서 열린 마음을 가지고 대하며, 차이를 존중하고 배울 수 있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조선족이라는 호칭은 비하적 표현이 아님을 인식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요구된다. 올바른 이해와 존중이야말로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BEST 뉴스
-
극우, 이제는 때려잡아야 할 때
극우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국내의 한 극우 청년단체가 미국에서 첫 공개 활동을 열었다는 소식은 가벼운 해프닝이 아니다. 그들이 쏟아낸 말은 정부에 대한 저급한 욕설, 선거가 조작됐다는 허무맹랑한 주장, 종교를 빌미로 한 선동뿐이었다. 사실은 실종되고 증거는 사라졌다. 남은 것은 음모론과 분열의 광기뿐이다. ... -
인천 앞바다의 선택, 인간애가 남긴 울림
며칠 전 인천 앞바다에서 있었던 구조 소식은 제 마음을 오래 붙들었습니다. 34살 해경 이재석 경장은 새벽 바다에 뛰어들어 위기에 처한 중국인 노인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끝내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한밤중의 차가운 바다, 거센 파도 속에서 그는 왜 그런 결정을 내렸을까요...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