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윤동주 집안이 1886년 종성군 동풍면 상장포에서 북간도의 자동紫洞 현재의 자동子洞으로 이주하였다는 설법을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이 견해는 자동紫洞과 자동子洞을 동일한 지명으로 착각한 그릇된 주장이다. 사실 자동紫洞은 지배굽이 현재 개산툰을 말하고 자동子洞은 자동골을 말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지리적 공간을 뜻한다.
오랜 옛적부터 개산툰 기차역으로부터 종이공장일대에 이르는 산굽이를 따라 바위너덜이 수직절벽을 이루며 병풍처럼 둘러서있었다. 초라한 땅막집과 농막집들이 띄엄띄엄 들어앉았고 북으로 앞 물학성(지금은 폐촌)과 뒤 물학성 사이에 국시당 언덕이 자리하고 봄이 오면 과일 꽃들이 구름처럼 만발하였다. 옛 선인들은 일찍 이 일대를 지배 혹은 지배굽이라고 불러왔다. 오늘날에 와서 지배굽이라는 땅이름은 역사 뒤안길에 사라진 죽은 지명으로 되어 있지만 먼지가 두텁게 쌓인 문헌자료에서 확실한 증거를 끄집어 낼 수 있는 귀중한 단서를 제공한다. 『계림유사』에는 紫曰質背이라는 글이 적혀있는데 자색을 뜻하는 옛 사람들의 말은 지배質背였다는 것이다. 지배 소리와 근접한 제비는 중국 고서에서 紫燕으로 적혀있고 제비꽃은 그 빛깔이 자주색과 보라색으로 피어난다. 지배굽이 바위들을 유심히 관찰하여 보면 특유의 붉은 자색 빛깔이 눈에 띤다. 먼 옛날부터 차곡차곡 쌓이고 깎이고를 반복한 자색바위마다에는 파란만장한 선인들의 골곡 진 삶이 묻어나 그 부스러기마저 신비의 징표로 느껴진다.
두만강 유역에는 안주인을 부르는 호칭으로 호세미라는 낱말이 오래 동안 사용되어 왔다. 호세미는 여자 집주인을 높이 이르는 말로 알려지고 있으나 원래는 점쟁이 무당 비구니를 말한다. 골짜기마다 삼밭과 뽕나무가 자라고 집집마다 베틀로 베와 명주를 짜는 소리가 들려왔던 두만강 유역에서 호세미들의 발놀림, 손놀림에 쿵터덕 쿵, 척 소리를 내며 돌아가는 베틀에서 나오는 명주천은 흔히 보라색 물감으로 염색한다. 이들이 오래전부터 자색 옷을 선호하게 된 것은 두만강 유역 재가승들이 승려를 존귀한 존재로 여기고 자색 옷을 입으면서 유래된다. 민간에서도 여자들의 저고리 자색 옷고름과 동정. 자색 댕기, 이불깃과 베개의 붉은 자색 헝겊, 손발톱에 물들이는 봉선화 보라색 빛깔 등은 모두 불교에서 말하는 축귀와 벽사의 의미가 담겨있다.
화학염료가 등장하기 이전에 오랜 역사흐름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우리선인들은 풀뿌리로 재가승들은 진주조개로 염색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인근 사찰과 놀랄 정도로 한데 뒤얽혀 있는 지배굽이 지명은 불교적 색채가 짙게 깔려있다.
”자주고름 입에 물고 이별가를 불러주던 못 잊은 사람아“ 고향을 떠나 타향살이를 하는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는 ”찔레꽃’노래는 오늘날에 와서 2절까지만 불리지만 원래는 3절까지 있었다. “연분홍 봄바람이 돌아드는 북간도 아름다운 찔레꽃이 피었습니다 꾀꼬리는 중천에서 슬피 울고 호랑나비 춤을 춘다 그리운 고향아.” 연변과 함경도에서는 노루를 놀가지라고 부르듯이 찔레꽃을 찔구배꽃이라 말한다. 노래 작사가가 황해도 신천군 태생임을 감안하고 우에 가사에서 꾀꼬리는 예조리(노질이)로 바꾸어 음미하여 보면 “찔레꽃”노래는 그 옛날 알구배꽃 천지꽃 백살구꽃이 흐드러지게 피어나 연분홍 봄 물결이 흘려들던 지배바위와 비슷한 두만강연안의 풍경을 펼쳐 보여주고 있음은 분명하다.
세월의 무게가 두텁게 쌓이고 쌓인 지배바위굽이에서 우리 선인들의 이민사가 힘겹게 걸어 나왔다. 아무리 위대한 역사도 그 역사를 지킬 능력과 의지가 있는 후손이 있어야 만이 가능한 일이다. 그릇된 역사에 끌려가다 보면 우리 역사는 결국 빈껍데기만 남게 될 것이다. 오늘도 훼손 방치되어 빛을 보지 못하는 이주역사의 일번지 지배바위굽이는 잡초만 무성한 채 내버려져 있어 바라보는 사람들의 마음 한켠이 아려온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극우, 이제는 때려잡아야 할 때
극우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국내의 한 극우 청년단체가 미국에서 첫 공개 활동을 열었다는 소식은 가벼운 해프닝이 아니다. 그들이 쏟아낸 말은 정부에 대한 저급한 욕설, 선거가 조작됐다는 허무맹랑한 주장, 종교를 빌미로 한 선동뿐이었다. 사실은 실종되고 증거는 사라졌다. 남은 것은 음모론과 분열의 광기뿐이다. ...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인천 앞바다의 선택, 인간애가 남긴 울림
며칠 전 인천 앞바다에서 있었던 구조 소식은 제 마음을 오래 붙들었습니다. 34살 해경 이재석 경장은 새벽 바다에 뛰어들어 위기에 처한 중국인 노인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끝내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한밤중의 차가운 바다, 거센 파도 속에서 그는 왜 그런 결정을 내렸을까요...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