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
中 무형문화재 대표 종목에 조선족 '해금예술'과 '백종절' 선정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12.25 15:01
-
용정 제11회 중국조선족농부축제 개막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10.01 21:49
-
연변 용정 만무 과원 “사과배 따기 한창”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29 20:17
-
용두레 우물에 묻힌 옛 동네의 이야기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9 16:34
-
용이 살던 마을 와룡동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06 21:02
-
[포토] 170년 된 연변 조선족 전통가옥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6 15:49
-
한 농예인의 동상 그리고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7.27 20:50
-
용두레 우물과 포대 그리고 장성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7.18 13:05
-
소가죽 한장의 전설 - 간도일본총영사관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6.26 21:52
-
연변, 폭력배 악세력 ‘보호우산’ 14명 조사처리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24 09:43
-
[김정룡 칼럼] 귀 빠진 날과 미역국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6.21 11:57
-
연변자치주 용정시 ‘창업·혁신’ 산업단지 건설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14 13:43
-
올 1월부터 5월까지 中 연길시 공기질 우량율 98%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10 21:03
-
[특별기획] 장백산하 해란강반에 울려 퍼지는 '탈빈공략'의 새노래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6.05 15:55
-
中 전국정협 개막, 조선족 위원들은 누구?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5.22 07:35
-
中 무형문화재 대표 종목에 조선족 '해금예술'과 '백종절' 선정
[동포투데이] 중국 문화관광부가 5차 국가무형문화재 대표 종목 추천 명단을 발표한 가운데 연변주 연길시에서 신청한 조선족 해금예술(전통음악), 용정시에서 신청한 조선족 백종절(민속)이 이름을 올렸다. ▲연길시에서 신청한 조선족 해금예술(전통음악)ⓒ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12.25 15:01
-
용정 제11회 중국조선족농부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9월 29일, 2020년 중국농부풍수축제 계열활동인 용정 제11회 중국조선족농부축제 및 제5회 김치문화관광축제가 비암산문화관광풍경구에서 개막했다.-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10.01 21:49
-
연변 용정 만무 과원 “사과배 따기 한창”
[동포투데이]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용정시의 사과배는 수확의 계절에 접어들었다. 용정시는 예로부터 “사과배 고향”이라는 미명을 가지고 있다. 해마다 꽃피는 봄이 오면 만무(万亩)과원에는 하얀 배꽃들이 서로 앞다투어 피여나면서 아름다운 풍경이 연출된다. 황금빛이 출렁이는 가을이면 각지에서 온...-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29 20:17
-
용두레 우물에 묻힌 옛 동네의 이야기
●김호림 “그게 무슨 말이냐” 하고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정말이지 봉창을 두드리는 소리 같기 때문이었다. 용정은 1886년 조선인들이 지은 이름이지만 최초의 주민은 조선인이 아니었다고 한다. 동네 지명 역시 이 용정이 첫 이름이 아니라고 한다. 용정에 처음으로 조선인 마을이 생긴 것...-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9 16:34
-
용이 살던 마을 와룡동
●김호림 창동학교는 8.15광복을 맞은 후 다시 와룡동에 부활한다. 이때 마을 사람들은 서쪽 산비탈의 옛 터를 버리고 마을 북쪽의 평지에 따로 학교 건물을 세웠다. 김동욱옹은 어릴 때 새로 지은 이 창동 학교를 다녔다고 한다. 그때 그가 학교를 내놓고 또 과...-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06 21:02
-
[포토] 170년 된 연변 조선족 전통가옥
[동포투데이] 사진은 연변조선족자치주 북흥촌 조선족 전통민가의 모습이다. 지난 2014년 길림성중점문물보호단위로 확정된 이곳 전통가옥은 용정시 삼합진 북흥촌 천수툰의 두만강 서안에 위치해있으며 전통적인 팔간토목구조의 기와집이다. 길이 13미터, 폭 6미터로 면적이 78평방미터인 이 전통가옥은 헐...-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6 15:49
-
한 농예인의 동상 그리고
●김 혁 찜통더위에 꺼둘린 7월 22일, 용정시 로투구진 용진촌 소기마을에서 최창호 선생 조각상 설립식이 조촐하게 펼쳐졌다. 허물어져가던 ‘사과배선조나무기념비’가 보수되었고 최창호 선생의 100년 고택도 다시 손길이 닿아 초옥의 운치를 보이는 가운데 그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7.27 20:50
-
용두레 우물과 포대 그리고 장성
●김호림 마을 한복판에는 우물이 하나 있었다. 반듯한 돌로 둘레를 쌓아올렸고 용두레를 잣아 드레 박으로 물을 퍼서 올렸다. “물이 많고 맑았는데 맛 또한 좋았지요.” 최흥수씨는 우물처럼 깊은 기억을 퍼서 다시 눈앞에 떠올렸...-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7.18 13:05
-
소가죽 한장의 전설 - 간도일본총영사관
▲ 간도일본총영사관 유적지 [동포투데이] 기유년에 생긴 일이다. 일제는 청정부를 윽박질러 용정에 총영사관을 세우기로 했다. 그런데 지을 바에는 크게 지어 한치라도 중국 땅을 더 삼키고 싶었던 영사는 못된 궁리를 꾸며냈다. 일본영사는 국자가에 자리 잡고 있는 청나라 도태부에 있는 윤대인을 만...-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6.26 21:52
-
연변, 폭력배 악세력 ‘보호우산’ 14명 조사처리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인대 상무위원회 원 당조서기, 주임 최헌이 최근 당적과 공직을 박탈당하고 사법기관에 이송 되었다고 중국 관영 인민망이 23일 보도했다. 조사결과 최헌은 용정시공안국 국장, 시위원회 상무위원, 정법위원회 서기, 시인대 상무위원회 주임을 담...-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24 09:43
-
[김정룡 칼럼] 귀 빠진 날과 미역국
●김정룡(중국동포사회문제연구소장) 중국어가 영어에 비해 표현력이 4.5배란다. 하긴 한문자체가 이 세상에서 유일한 뜻글자(표의자, 表意字)이기에 충분히 그럴 수 있겠다. 중국을 이웃한 우리 말 어휘 중 75%가 한자어라고 하니 한문 신세를 단단히 지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한자어를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6.21 11:57
-
연변자치주 용정시 ‘창업·혁신’ 산업단지 건설
▲연변자치주 용정시 전경ⓒ연변일보 [동포투데이] 올해 연변자치주 용정시에서는 해란강대학성(海兰江大学城) 기술인재 ‘창업·혁신’ 산업단지 대상 건설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14일 현지 매체 연변일보에 따르면 이 산업단지의 건설 목적은 현대화 경제체계와 과학기술의 발전 추세...-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14 13:43
-
올 1월부터 5월까지 中 연길시 공기질 우량율 98%
ⓒ연변일보 [동포투데이] 9일, 연변주 생태환경국에서 입수한 공기질 통계자료에 의하면 올 1월부터 5월까지 주요도시 연길시의 공기질 우량일수는 149일로 우량율 98%를 기록했다고 현지 매체 연변일보가 10일 보도했다. 주내 기타 현(시)을 보면 1...-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10 21:03
-
[특별기획] 장백산하 해란강반에 울려 퍼지는 '탈빈공략'의 새노래
편집자의 말: 6월 3일, 중국 관영 매체인 신화통신은 탐방기 <장백산하의 새 노래 편 ㅡ 길림성 연변주 탈빈공략 관찰(长白山下唱新篇——吉林延边州脱贫攻坚观察)>를 큰 편폭으로 할애하여 실었다. 연변 조선족의 <탈빈공략> - 이는 오래 전부터 꿈꿔왔던 프로젝트였지...-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6.05 15:55
-
中 전국정협 개막, 조선족 위원들은 누구?
[동포투데이]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3기 전국위원회 제3차 회의가 5월 21일 베이징에서 개막했다. 이번 대회에는 9명의 조선족 위원들이 참가했다. 이들은 2018년 제13기 전국정협위원으로 당 선되었다. 전철수 1952년 3월생, 길림성 용정 출신, 중국공산당 당원, 연구생 학력.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5.22 07:35
-
中 무형문화재 대표 종목에 조선족 '해금예술'과 '백종절' 선정
[동포투데이] 중국 문화관광부가 5차 국가무형문화재 대표 종목 추천 명단을 발표한 가운데 연변주 연길시에서 신청한 조선족 해금예술(전통음악), 용정시에서 신청한 조선족 백종절(민속)이 이름을 올렸다. ▲연길시에서 신청한 조선족 해금예술(전통음악)ⓒ 문화관광부는 2019년부터 5차 국가급 무형문화유산 대표 종목 추천 사업을 추진했다. 2020...-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12.25 15:01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12.25 15:01
-
용정 제11회 중국조선족농부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9월 29일, 2020년 중국농부풍수축제 계열활동인 용정 제11회 중국조선족농부축제 및 제5회 김치문화관광축제가 비암산문화관광풍경구에서 개막했다.-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10.01 21:49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10.01 21:49
-
연변 용정 만무 과원 “사과배 따기 한창”
[동포투데이]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용정시의 사과배는 수확의 계절에 접어들었다. 용정시는 예로부터 “사과배 고향”이라는 미명을 가지고 있다. 해마다 꽃피는 봄이 오면 만무(万亩)과원에는 하얀 배꽃들이 서로 앞다투어 피여나면서 아름다운 풍경이 연출된다. 황금빛이 출렁이는 가을이면 각지에서 온 관광객들은 사과배 따기 체험을 하며 풍작의 기쁨을 만끽한다. 사과배는 이웃 나라들에 수출되는 주요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29 20:17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29 20:17
-
용두레 우물에 묻힌 옛 동네의 이야기
●김호림 “그게 무슨 말이냐” 하고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정말이지 봉창을 두드리는 소리 같기 때문이었다. 용정은 1886년 조선인들이 지은 이름이지만 최초의 주민은 조선인이 아니었다고 한다. 동네 지명 역시 이 용정이 첫 이름이 아니라고 한다. 용정에 처음으로 조선인 마을이 생긴 것은 1877년 봄이었다. 조선 평안북도의 김언삼, 함경북도의 장인석, 박윤언 등의 식솔 열네 가구가 이곳에 초...-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9 16:34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9 16:34
-
용이 살던 마을 와룡동
●김호림 창동학교는 8.15광복을 맞은 후 다시 와룡동에 부활한다. 이때 마을 사람들은 서쪽 산비탈의 옛 터를 버리고 마을 북쪽의 평지에 따로 학교 건물을 세웠다. 김동욱옹은 어릴 때 새로 지은 이 창동 학교를 다녔다고 한다. 그때 그가 학교를 내놓고 또 과외처럼 즐겨 다니던 곳이 있었다. 그와 또래들은 예배를 보는 날이면 학교 북쪽에 있는 교회당으로 반달음...-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06 21:02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06 21:02
-
[포토] 170년 된 연변 조선족 전통가옥
[동포투데이] 사진은 연변조선족자치주 북흥촌 조선족 전통민가의 모습이다. 지난 2014년 길림성중점문물보호단위로 확정된 이곳 전통가옥은 용정시 삼합진 북흥촌 천수툰의 두만강 서안에 위치해있으며 전통적인 팔간토목구조의 기와집이다. 길이 13미터, 폭 6미터로 면적이 78평방미터인 이 전통가옥은 헐산식(歇山式) 지붕을 갖추고 있다. 가옥 기둥의 탄화 정도를 분석해본 결과 북흥촌 전통가옥은 지은지 170...-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6 15:49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6 15:49
-
한 농예인의 동상 그리고
●김 혁 찜통더위에 꺼둘린 7월 22일, 용정시 로투구진 용진촌 소기마을에서 최창호 선생 조각상 설립식이 조촐하게 펼쳐졌다. 허물어져가던 ‘사과배선조나무기념비’가 보수되었고 최창호 선생의 100년 고택도 다시 손길이 닿아 초옥의 운치를 보이는 가운데 그 고택의 뒤쪽 언덕배기에 ‘사과배의 선구자’로 정평되는 농예인 최창호 선생의 한백옥 흉상(胸像)이 건립되...-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7.27 20:50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7.27 20:50
-
용두레 우물과 포대 그리고 장성
●김호림 마을 한복판에는 우물이 하나 있었다. 반듯한 돌로 둘레를 쌓아올렸고 용두레를 잣아 드레 박으로 물을 퍼서 올렸다. “물이 많고 맑았는데 맛 또한 좋았지요.” 최흥수씨는 우물처럼 깊은 기억을 퍼서 다시 눈앞에 떠올렸다. 그는 이 우물 근처의 동네에서 집을 짓고 살던 사람이다. 예전에 우물은 동네방네 소...-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7.18 13:05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7.18 13:05
-
소가죽 한장의 전설 - 간도일본총영사관
▲ 간도일본총영사관 유적지 [동포투데이] 기유년에 생긴 일이다. 일제는 청정부를 윽박질러 용정에 총영사관을 세우기로 했다. 그런데 지을 바에는 크게 지어 한치라도 중국 땅을 더 삼키고 싶었던 영사는 못된 궁리를 꾸며냈다. 일본영사는 국자가에 자리 잡고 있는 청나라 도태부에 있는 윤대인을 만났다. 웃음 속에 칼을 품고 있는 일본영사는 속으로 엉큼한 생각을 하면서도 겉으로는 웃음을 살살 발라가면...-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6.26 21:52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6.26 21:52
-
연변, 폭력배 악세력 ‘보호우산’ 14명 조사처리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인대 상무위원회 원 당조서기, 주임 최헌이 최근 당적과 공직을 박탈당하고 사법기관에 이송 되었다고 중국 관영 인민망이 23일 보도했다. 조사결과 최헌은 용정시공안국 국장, 시위원회 상무위원, 정법위원회 서기, 시인대 상무위원회 주임을 담당하는 기간 장기적으로 팽수춘(彭守春)을 우두머리로 한 폭력배 악세력을 위해 ‘보호우산’역할을 맡아 폭력...-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24 09:43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24 09:43
-
[김정룡 칼럼] 귀 빠진 날과 미역국
●김정룡(중국동포사회문제연구소장) 중국어가 영어에 비해 표현력이 4.5배란다. 하긴 한문자체가 이 세상에서 유일한 뜻글자(표의자, 表意字)이기에 충분히 그럴 수 있겠다. 중국을 이웃한 우리 말 어휘 중 75%가 한자어라고 하니 한문 신세를 단단히 지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한자어를 제외한 순수 우리 낱말들은 삶의 정서를 표현하는 기능이 너무 풍부해서 세상에서 으뜸이라 나는 생각한다.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6.21 11:57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6.21 11:57
-
연변자치주 용정시 ‘창업·혁신’ 산업단지 건설
▲연변자치주 용정시 전경ⓒ연변일보 [동포투데이] 올해 연변자치주 용정시에서는 해란강대학성(海兰江大学城) 기술인재 ‘창업·혁신’ 산업단지 대상 건설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14일 현지 매체 연변일보에 따르면 이 산업단지의 건설 목적은 현대화 경제체계와 과학기술의 발전 추세, 산업 발전의 수요와 취업시장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직업교육사업에 대한 기업들의 적극적인 지원 및 참여...-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14 13:43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14 13:43
-
올 1월부터 5월까지 中 연길시 공기질 우량율 98%
ⓒ연변일보 [동포투데이] 9일, 연변주 생태환경국에서 입수한 공기질 통계자료에 의하면 올 1월부터 5월까지 주요도시 연길시의 공기질 우량일수는 149일로 우량율 98%를 기록했다고 현지 매체 연변일보가 10일 보도했다. 주내 기타 현(시)을 보면 1월부터 5월까지 총 152일중 안도현의 공기질 우량일수가 152일로 우량율 100%를 기록했고 도문시, 화룡시,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10 21:03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6.10 21:03
-
[특별기획] 장백산하 해란강반에 울려 퍼지는 '탈빈공략'의 새노래
편집자의 말: 6월 3일, 중국 관영 매체인 신화통신은 탐방기 <장백산하의 새 노래 편 ㅡ 길림성 연변주 탈빈공략 관찰(长白山下唱新篇——吉林延边州脱贫攻坚观察)>를 큰 편폭으로 할애하여 실었다. 연변 조선족의 <탈빈공략> - 이는 오래 전부터 꿈꿔왔던 프로젝트였지만 잘 안되던 프로젝트이기도 했다. 그 원인은 여러 가지이다. 우선 환경적으로 그닥 부유하지 못한 북한이...-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6.05 15:55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6.05 15:55
-
中 전국정협 개막, 조선족 위원들은 누구?
[동포투데이]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3기 전국위원회 제3차 회의가 5월 21일 베이징에서 개막했다. 이번 대회에는 9명의 조선족 위원들이 참가했다. 이들은 2018년 제13기 전국정협위원으로 당 선되었다. 전철수 1952년 3월생, 길림성 용정 출신, 중국공산당 당원, 연구생 학력. 전국정협 제13기 전국위원회 상무위원, 전국정협 민족종교위원회 부주임. 공현우 1959년 7월생, 흑...-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5.22 07:35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5.22 0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