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시작은 어디이며 끝은 어디인지, 그리고 꿈틀거리는 룡마냥 중화대지에 련련히 뻗어간 만리장성에 어떤 력사가 깃들어 있는지, 그 일부인 팔달령장성을 통해 알아봅니다.
(팔달령장성의 인파)
팔달령장성
만리장성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거대한 성벽입니다.
험준한 산과 협곡,사막까지 이어진 만리장성은 동쪽 산해관에서 서쪽으로 감숙성 가욕관까지 약 6000키로메터가 보존되여 있습니다.
1969년 최초로 달에 착륙했던 우주비행사들이 달에서 지구를 바라보니 가장 선명하게 보인 인공건축물이 민리장성이였다고 증언하기도 했는데 장성은 여러 측면에서 사람들의 놀라움을 자아내는 인류의 문화유산입니다.
(팔달령장성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관광객들)
그래서 세계 각국의 많은 사람들이 앞을 다투어 만리장성을 찾고있고 오늘 팔달령장성을 찾아온 관광객들도 이렇게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습니다.
사면팔방으로 통할수 있다는 뜻인 "사통팔달"에서 유래한 팔달령장성은 베이징중심에서 서북쪽으로 75키로메터쯤 떨어진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만리장성의 대부분이 그러하듯이 팔달령장성도 명나라때 건설된것입니다
이 장성은 단순한 장성이 아닌 종합적인 군사시설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명나라 개국황제인 주원장은 제위에 오른 첫해인 1368년에 북경 린근 팔달령에서 시작해서 하북성에 이르기까지 거대한 장성을 보수하고 증축했습니다.
여기 팔달령장성에서 보게 되는 봉화대가 만리장성 전 구간에 걸쳐 총3000개가 있고 망루와 마차가 달릴수 있는 길이 모두1만 여리를 넘는다고 하니 정말 놀라지 않을수 없습니다. 만리장성중에 팔달령 장성에는 특별히 규모가 큰 망루,봉화대,성문이 많습니다.
그것은 팔달령이 황제가 있는 베이징으로 통하는 주요 길목이기때문에 어느 곳보다 더 튼튼하게 방어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팔달령장성은 주변을 잘 볼수 있는 릉선을 따라 벽돌로 쌓은 성벽입니다. 그런데 장성을 쌓은 벽돌에 얼마나 많은 관광객들의 이름이 낙서로 새겨 져 있는지 다 읽어보자고 해도 눈이 아플 지경입니다.
만일 만리장성을 쌓는데 피와 땀을 흘린 약 30여만명의 군사와 백성의 이름이 써있다면 눈뿌리가 뽑아져도 보고 또 보련만 성돌에 새겨진 글들이 부질없이 여겨져 서운하기만 합니다.
(팔달령장성)
팔달령성벽우에 만들어놓은 이 길로 말 5필과 마차가 자유롭게 이동할수 있었다고 합니다.
길이 평탄하고 넓지만 망루와 루각,도로사이에 계단이 있어 마차가 과연 달릴수 있었을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팔달령장성에서 기념사진)
해발 1015메터에서 험준한 산세를 따라 멀리까지 뻗어간 견고한 팔달령장성을 바라보면 <만리장성에 오르지 않으면 사나이라고 말할수 없다>는 모택동주석의 명구가 떠오릅니다.
만리장성에서 사람들은 중국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래일까지 내다보며 중화민족의 넋과 정신을 깊이 새기고 있습니다.
BEST 뉴스
-
대림동, 극우 반중 시위…시민단체 맞불 집회로 충돌 일촉즉발
[동포투데이] 서울 최대 중국인 밀집 지역인 대림동에서 7월 11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 등 극우 성향 인사 약 40명이 반중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태극기와 성조기, ‘Only 尹’(윤석열 복직 요구)이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중국은 물러가라”는 등 혐오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고, 중국계 주민들... -
“중국공산당 당원 수 1억 27만 1천 명…젊고 학력 높은 당원, 조직도 촘촘히 확장”
[동포투데이] 중국 공산당 당원 수가 지난해 말 기준 1억 27만 1천 명에 이르며, 전년보다 약 109만 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율은 1.1%다. 공산당 중앙조직부는 7월 1일, 창당 104주년을 앞두고 공개한 보고서에서 “당 조직의 규모가 꾸준히 확장되고 있으며,...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1회 발표회 성료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원장 김재욱)이 공동 주최한 ‘제11회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발표회’가 7월 14일 오후 1시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대 대학원 강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디아스포라와 세계시민을 잇는 정체성 교육’을 주제로 열... -
“가슴 깊이 울린 그 소리” — 장쿤·궁한린, 연변서 조선족 전통문화 체험
[동포투데이] 중국곡예가협회 전 회장이자 대중에 친숙한 국민 예술가 장쿤(姜昆)과 배우 궁한린(巩汉林) 등 원로 예술인들이 최근 연변을 찾아 조선족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지역 문화산업의 현황을 살폈다. 이들은 단순한 방문객이 아니라, 문화를 몸소 익히고자 하는 참여자로서 현장에 녹아들었다. ... -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로이터 “내란죄 수사 탄력받아”
[동포투데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등 국헌 문란을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혐의로 7월 10일 재수감됐다고 로이터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은 “서울중앙지방법원이 특별검사팀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발부하면서 윤 전 대통령은 다시 서울구치소로 돌아가게 됐다”고 전했다. ...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中 남부 도시 푸산, 치쿤구니야열 대확산...4천 여명 감염
-
대만, 야당 의원 24명·시장 1명 ‘소환투표’ 돌입…정국 주도권 두고 격돌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
시진핑 “중국-EU 관계, 다음 50년도 더 밝게”…협력·신뢰 강조
-
“냉면에 담긴 민족의 맛”…연길서 ‘세계 냉면대회’ 개최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
중국산 톤급 eVTOL 상용화 성큼…'V2000CG 캐리올' 첫 인도
-
“중국과 잘 지내도 괜찮아”…트럼프, 마르코스 면전서 이례적 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