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뉴욕증시 급등…다우 585포인트 상승, 연준 금리인하 기대 반영

  • 허훈 기자
  • 입력 2025.08.05 11:3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 글로벌 증시가 5일(현지시각) 일제히 반등했다.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585.06포인트(1.34%) 오른 44,173.64포인트에 마감하며 전 거래일의 낙폭을 되돌렸다. 나스닥지수는 403.45포인트(1.95%) 상승한 21,053.58포인트를 기록했고, S&P500지수는 91.93포인트(1.47%) 오른 6,329.94포인트에 거래를 마쳤다.

 

특히 테슬라(2%), 메타(3.5%), 엔비디아(3.6%) 등 주요 기술주가 상승세를 주도했으며, 중국 관련 종목이 포함된 나스닥 중국금룡지수도 1.3% 상승했다. 중국 EV업체 샤오펑자동차는 4.4% 오르며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고, 전자상거래 기업 징둥닷컴도 2.3% 상승 마감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세를 보였다. 독일 DAX30지수는 1.23% 상승한 23,759.73포인트를 기록했고, 영국 FTSE100지수는 0.56% 오른 9,119.65포인트에 마감했다. 프랑스 CAC40지수는 1.14% 오른 7,632.01포인트, 유로스톡스50지수는 1.52% 상승한 5,243.95포인트를 나타냈다. 이탈리아 FTSE MIB지수는 1.87% 급등해 유럽 주요국 중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1.25% 하락한 반면, 한국 코스피는 0.91% 상승했고, 인도네시아 종합지수는 0.97% 하락 마감했다.

 

외환시장에서는 미국 달러화가 약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6% 하락한 98.786을 기록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1.1566달러로 전일 대비 상승했고, 파운드/달러도 1.3276달러로 강세를 보였다. 반면, 달러/엔화는 146.95엔으로 약세였고, 스웨덴 크로나 대비 달러도 하락했다.

 

국제 유가는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 대비 1.04달러(1.54%) 하락한 배럴당 66.29달러에 마감했고, 런던 ICE거래소의 10월물 브렌트유는 0.91달러(1.31%) 내린 배럴당 68.7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가격은 상승세를 보였다. 현물 금은 온스당 3,373.81달러로 0.33% 올랐다. 씨티그룹은 미국 경기 둔화와 인플레이션 전망을 근거로, 향후 3개월 금값 전망치를 기존 3,300달러에서 3,500달러로 상향 조정했으며, 거래 예상 구간도 3,300~3,600달러로 확대했다.

 

가상자산 시장도 상승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은 0.66% 올라 114,967.2달러를 기록했고, 이더리움은 5.9% 급등해 3,709.51달러까지 올랐다.

 

미국의 제조업 지표는 둔화 흐름을 보였다. 6월 공장 주문은 민간 항공기 주문 급감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4.8% 감소했으며, 5월 수치는 기존 8.2% 증가에서 8.3%로 상향 조정됐다. 제조업이 미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2% 수준으로, 여전히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런 가운데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 매리 데일리는 “고용시장 둔화와 관세 인플레이션 압력의 부재를 고려할 때, 금리 인하 시점이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은 한 회기를 더 기다릴 수 있지만, 영원히 기다릴 수는 없다”며, 올해 두 차례 이상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현재 시장은 9월 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80%, 10월 역시 75% 이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달 말 열리는 잭슨홀 중앙은행 심포지엄이 향후 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개별 종목 중에서는 아메리칸이글(AEO.US) 주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에 힘입어 23.65% 급등했다. 트럼프는 해당 브랜드의 광고를 “가장 핫한 광고”라고 표현했으며, 이는 이 회사 주가에 밈 주식(meme stock) 특유의 단기 급등 현상을 불러왔다.

 

금융권에서는 UBS가 자회사였던 크레디트스위스(CS)의 과거 서브프라임 관련 법적 분쟁을 마무리하며 미국 법무부에 3억 달러의 합의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UBS는 지난해 CS를 인수한 이후, 잇단 정리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5월에도 조세 회피 관련 사건에 대해 5억1,100만 달러 벌금을 부과받은 바 있다.

 

한편 모건스탠리는 이날 엑슨모빌(XOM.US)의 목표주가를 134달러에서 135달러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세계인의 축제’ 월드게임, 중국 청두서 개막…문화와 스포츠의 향연
  • “우승 위해 왔다”…손흥민, LAFC 전격 합류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 바르셀로나, 4400만 유로 ‘콩고 후원’ 논란…“재정인가, 도덕인가”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 ‘축구굴기’는 실패했다…중국, 이제 아마추어에 열광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뉴욕증시 급등…다우 585포인트 상승, 연준 금리인하 기대 반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