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글로벌 증시가 5일(현지시각) 일제히 반등했다.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585.06포인트(1.34%) 오른 44,173.64포인트에 마감하며 전 거래일의 낙폭을 되돌렸다. 나스닥지수는 403.45포인트(1.95%) 상승한 21,053.58포인트를 기록했고, S&P500지수는 91.93포인트(1.47%) 오른 6,329.94포인트에 거래를 마쳤다.
특히 테슬라(2%), 메타(3.5%), 엔비디아(3.6%) 등 주요 기술주가 상승세를 주도했으며, 중국 관련 종목이 포함된 나스닥 중국금룡지수도 1.3% 상승했다. 중국 EV업체 샤오펑자동차는 4.4% 오르며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고, 전자상거래 기업 징둥닷컴도 2.3% 상승 마감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세를 보였다. 독일 DAX30지수는 1.23% 상승한 23,759.73포인트를 기록했고, 영국 FTSE100지수는 0.56% 오른 9,119.65포인트에 마감했다. 프랑스 CAC40지수는 1.14% 오른 7,632.01포인트, 유로스톡스50지수는 1.52% 상승한 5,243.95포인트를 나타냈다. 이탈리아 FTSE MIB지수는 1.87% 급등해 유럽 주요국 중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1.25% 하락한 반면, 한국 코스피는 0.91% 상승했고, 인도네시아 종합지수는 0.97% 하락 마감했다.
외환시장에서는 미국 달러화가 약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6% 하락한 98.786을 기록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1.1566달러로 전일 대비 상승했고, 파운드/달러도 1.3276달러로 강세를 보였다. 반면, 달러/엔화는 146.95엔으로 약세였고, 스웨덴 크로나 대비 달러도 하락했다.
국제 유가는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 대비 1.04달러(1.54%) 하락한 배럴당 66.29달러에 마감했고, 런던 ICE거래소의 10월물 브렌트유는 0.91달러(1.31%) 내린 배럴당 68.7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가격은 상승세를 보였다. 현물 금은 온스당 3,373.81달러로 0.33% 올랐다. 씨티그룹은 미국 경기 둔화와 인플레이션 전망을 근거로, 향후 3개월 금값 전망치를 기존 3,300달러에서 3,500달러로 상향 조정했으며, 거래 예상 구간도 3,300~3,600달러로 확대했다.
가상자산 시장도 상승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은 0.66% 올라 114,967.2달러를 기록했고, 이더리움은 5.9% 급등해 3,709.51달러까지 올랐다.
미국의 제조업 지표는 둔화 흐름을 보였다. 6월 공장 주문은 민간 항공기 주문 급감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4.8% 감소했으며, 5월 수치는 기존 8.2% 증가에서 8.3%로 상향 조정됐다. 제조업이 미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2% 수준으로, 여전히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런 가운데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 매리 데일리는 “고용시장 둔화와 관세 인플레이션 압력의 부재를 고려할 때, 금리 인하 시점이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은 한 회기를 더 기다릴 수 있지만, 영원히 기다릴 수는 없다”며, 올해 두 차례 이상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현재 시장은 9월 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80%, 10월 역시 75% 이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달 말 열리는 잭슨홀 중앙은행 심포지엄이 향후 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개별 종목 중에서는 아메리칸이글(AEO.US) 주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에 힘입어 23.65% 급등했다. 트럼프는 해당 브랜드의 광고를 “가장 핫한 광고”라고 표현했으며, 이는 이 회사 주가에 밈 주식(meme stock) 특유의 단기 급등 현상을 불러왔다.
금융권에서는 UBS가 자회사였던 크레디트스위스(CS)의 과거 서브프라임 관련 법적 분쟁을 마무리하며 미국 법무부에 3억 달러의 합의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UBS는 지난해 CS를 인수한 이후, 잇단 정리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5월에도 조세 회피 관련 사건에 대해 5억1,100만 달러 벌금을 부과받은 바 있다.
한편 모건스탠리는 이날 엑슨모빌(XOM.US)의 목표주가를 134달러에서 135달러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중국이 아니라 변화가 두렵다” — 한국 내 반중 감정의 진짜 이유
[동포투데이]서울 명동의 한 카페. 28세 직장인 지수 씨는 휴대전화에 뜬 ‘중국 전기차, 한국 시장 점유율 15% 돌파’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며 인상을 찌푸렸다. 그리고 곧장 ‘화나요’ 버튼을 눌렀다. “또 시장을 뺏긴다는 건가요?” 이런 반응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낯설지 않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동포투데이]“AI 도시 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베이징, 항저우, 선전이 선두권을 형성하며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새로운 삼국지를 그리고 있다. 최근 발표된 ‘중국 10대 인공지능 도시’에는 베이징, 항저우, 선전, 상하이, 허페이, 우한, 광저우, 난징, 쑤저우, 청두가 이름을 올렸다. ... -
대만 민심 “전쟁 피하려면 무기보다 대화”…58.3% “양안 협상 재개해야”
[동포투데이]대만 국민 다수가 중국과의 무력 대비보다 대화 복원을 통한 평화 유지가 더 효과적이라고 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만의 여론조사기관 메이리다오(美丽岛) 전자신문이 23일 발표한 10월 정기 조사에 따르면, “대만의 안전을 지키고 양안(兩岸) 전쟁을 피하려면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인...
실시간뉴스
-
“사회주의자” 조란 맘다니, 뉴욕시장 선거서 승리… 美 정치지형 흔들
-
트럼프 “중국은 위협 아냐… 협력 통해 미국 더 강한 나라 될 것”
-
美 상원, 트럼프 ‘전면 관세 정책’ 종료 결의안 통과…하원 통과는 불투명
-
미국 ‘마약과의 전쟁’ 격화… 항공모함까지 카리브해 진입
-
유럽 신용평가사 스코프, 미 국채 신용등급 ‘AA-’로 하향
-
당파 싸움이 ‘헝거 게임’으로...외면당한 4천만 명의 배고픔
-
美 ‘노킹스’ 시위, 다국으로 확산…정책 불만과 사회 분열 가시화
-
美 국채, 사상 첫 38조 달러 돌파…셧다운 장기화로 재정 위기 심화
-
美 관세 전가 가속화…소비자가 최종 부담자로 떠올라
-
美 의회, 머스크 ‘스타링크’ 조사 착수… “미얀마 사기 조작의 조력자 됐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