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중국 군용기 일본 영공 침범...목적은 일본의 대응시간 테스트

  • 화영 기자
  • 입력 2024.08.27 21:2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77.png

 

[동포투데이] 중국 군용기가 26일 일본 영공을 침범한 사실이 확인됐다. 일본은 즉각 중국에 항의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일본 방위성은 월요일(8월 26일) 오전 11시 29분부터 31일(현지 시간) 사이에 중국 Y-9 정보 수집 항공기가 나가사키현 고토시 단조군도 앞바다의 일본 영공을 침범했다고 밝혔다. 이는 1958년 일본 자위대가 영공 침범에 대한 조치를 시작한 이래 중국 군용기의 영공 침범이 확인된 첫 사례이다.


일본 외무성은 성명을 통해 오카노 마사타카 외무성 사무차관이 이날 오후 5시경 중국 대사관의 스융(施泳) 임시 대리대사를 외무성으로 불러 이번 사건에 대해 강력히 항의하고 유사 사건의 재발 방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스융은 해당 사안을 본국에 보고하겠다고 답했다.


일본 공영방송 NHK 중국 군용기가 오전 10시 40분경 단조군도 남동쪽 해안 상공을 처음 선회했다고 보도했다. 오전 11시 29분경에는 단조군도 해안에서 동쪽으로 약 22km 떨어진 곳에서 일본 영공으로 진입해 약 2분간 비행을 계속했다. 이후 군용기는 일본 영공을 벗어난 후에도 오후 1시 15분경 중국으로 돌아갈 때까지 주변을 계속 선회했다.


사건 당시 일본 항공자위대 뉴타바루 기지(미야자키현)의 F-15와 쓰이키 기지(후쿠오카현)의 F-2가 출격해 중국 군용기에 경고를 발령하며 대응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 측은 플레어건 등 무기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NHK 방송이 보도했다.


한편 일본 당국은 중국 군용기의 영공 침범 동기를 분석하고 있다. 관측통들은 중국이 일본의 대응 시간을 테스트하기 위해 영공을 침범한 것으로 보고 있다.


NHK는 과거 군용기 외에도 중국의 비군용 항공기가 영공을 침범한 사건이 두 차례 있었다고 전했다. 센카쿠 열도(중국에서는 댜오위다오) 주변에서 2012년 중국 국가해양국의 고정익 항공기가 영공을 침범했고, 2017년에는 중국 해안경비대 선박에서 소형 드론이 발사됐다.


특히 센카쿠 열도에서는 분쟁 지역에서 일본과 중국 선박이 대치하는 등 외교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이들 섬에 대한 베중국의 영유권 주장은 더욱 강경해졌고, 일본은 중국 해안 경비대 함정, 해군 함정, 심지어 핵 추진 잠수함도 이 지역에서 활동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일본은 미국과의 안보 관계를 강화하고 국방비를 늘리며 이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한 '대항'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동시에 일본은 필리핀 및 한국과의 군사적 유대를 강화하고 있다


일본은 거의 매년 러시아 항공기의 영공 침범을 확인했다. 가장 최근 때는 지난해 10월 러시아 항공기로 추정되는 헬기가 홋카이도 네무로반도 앞바다에서 일본 영공을 침범한 사건이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 ‘축구굴기’는 실패했다…중국, 이제 아마추어에 열광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中 외교부가 극찬한 배우, 유역비의 조용한 선행 17년”
  • [클럽월드컵] 우라와·울산, 나란히 완패… 아시아 축구, 세계 무대서 또 굴욕!
  • “연봉 더 깎으면 누가 축구하나?”...中 전 국가대표의 궤변
  • 새로운 시작, 문화와 통합의 시대를 열며...
  • 유역비, 37세에도 ‘요정 미모’ 과시…“나이는 숫자일 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중국 군용기 일본 영공 침범...목적은 일본의 대응시간 테스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