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최근 중국 언론은 한반도의 저명한 음악가이며 동요 ‘반달’의 작사, 작곡가 윤극영을 소개했다.
   
윤극영의 본관은 조선 해평이고 1903년 대한제국 서울의 한 선비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윤극영의 아버지 윤정말(尹政末)은 당시 조선의 어느 한 군의 군수였다. 윤극영은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영리하여 4살 때 이미 ‘천자문’을 줄줄 외울 수 있었다.
   
윤극영은 16살이 되던 해에 결혼했다. 당시 조선은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상황이었다. 그 시기 윤극영은 일본으로 건너가 공부하게 되었다. 워낙 그는 법률공부를 지망했으나 어찌어찌하여 음악을 배우게 되었다. 1923년 당시 윤극영은 도쿄에서 우연히 방정환(조선의 유명한 민족운동 인사)를 만났다. 그 때 방정환은 윤극영한테 아동작품를 창작해 볼 것을 건의하면서 “아동은 내일의 희망이지만 현재 조선에는 아동가요가 거의 없다”라고 했다. 방정환의 말에서 윤극영은 많은 계발을 받았으며 그 때로부터 그는 동요창작에 매진하기 시작했다. 한편 윤극영은 도쿄에서 색동회(色動會-일종 아동문학을 연구하는 동인회)에도 가담하였다.
   
1923년 관동대지진(관동대지진은 점심 식사시간에 발생하면서 취사도구들이 뒤번져지면서 깨어지고 도쿄시에서는 대규모의 화재도 발생했다. 화재 후 당시 도쿄에서는 조선인들이 일부러 불을 질렀다는 요언히 나돌았으며 이를 계기로 도쿄 시민들이 대규모로 조선인들한테 보복하는 사건으로 되고 말았다) 후 윤극영은 조선으로 되돌아 왔다.
   
한편 윤극영이 돌아오자 부친 윤기선은 그에게 후원에 차린 서숙을 맡겼다. 그 서숙의 이름은 바로 ‘일성당(一聲堂)’이다. 1924년 윤극영의 매형이 사망하였다. 그 뒤 윤극영은 누나가 늘 고독하게 천공의 반달을 쳐다보는 것을 목격하고는 몹시 가슴이 아팠다. 후에 윤극영은 누나가 남편을 잃은 슬픔과 일제에 국토를 잃은 고통을 그 유명한 동요 ‘반달’의 선율에 담았던 것이다.
수 십 년이 지난 뒤 윤극영은 당시를 회고하면서 ‘반달’의 창작에서 가장 어려웠던 것은 마지막 구절인 ‘샛별의 등대란다, 길을 찾아라’였다고 털어놓았다. 이 새별의 등대란 가사는 희망은 영원히 존재한다는 뜻을 담았다고 한다.
   
당시 윤극영은 일본군의 조선어 금지령을 무시하고 몰래 조선어로 동요를 가르치다가 여러 차례 일본군에 잡혀 수감됐다.
윤극영은 1925년 두 번째 부인과 결혼했으며 얼마 뒤 그는 두만강을 건너 만주국 간도의 용정으로 갔으며 그 곳에서 교편을 잡았다.
   
중국에 머문 지 10년이 되었다. 중국에 있을 때의 어느 날 윤극영은 용정의 광명중학교에서 익숙한 노랫소리를 듣게 됐다. 자세히 들어보니 자신이 만든 ‘반달’이란 동요였다. 이 노래가 이미 중국에까지 퍼졌는지 의아해 할 수밖에 없었다. 또 한 번은 윤극영이 교편을 잡고 있는 학교에 일본 노래 홍보팀이 와서 일본어판 ‘반달’을 불렀다. 자기가 만든 노래를 일본인들까지 즐겨 부르다니 처음에는 몰래 흐뭇했던 윤극영이었으나 나중에 이 홍보팀 대표는 ‘반달’을 일본노래라고 자랑했다. 윤극영은 어이가 없었고 그저 쓴 웃음만 나올 뿐이었다.
1945년 조선은 광복되었으나 남북으로 분단됐고 윤극영은 우여곡절 끝에 고향으로 돌아갔으며 이어 포목점을 내고 장사를 하는 한편 계속 작곡하면서 적지 않은 유명 동요를 남겼다.
   
1950년 당시 중국 북경에서 거주하던 조선인 김철남(민족운동가)과 김정평은 ‘반달’을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중국판 ‘반달’의 제목은 ‘샤오바이촨(小白船)’이다.
   
중국어로 된 ‘샤오바이촨’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藍藍的天空銀河裏,有隻小白船
船上有顆桂花樹,白兔在遊玩
槳兒槳兒看不見,船上也沒帆
飄呀飄呀,飄向雲天
渡過那條銀河水,走向雲彩國
走過那個雲彩國,再向哪兒去?
在那遙遠的地方,閃着金光
晨星是燈塔,照呀照得亮
윤극영은 여러 시대를 살아온 우리 민족의 음악가이다. 대한제국과 일제식민지 그리고 만주국에서의 한 단락의 삶과 대한민국에서의 마지막 인생, 말 그대로 만고풍상을 겪으면서 살아온 인생이었다.
1988년 11월 15일, 우리 민족이 낳은 걸출한 음악가 윤극영은 자신이 남긴 유명한 동요와는 상관없이 자기를 낳아준 고국에서 조용히 눈을 감았다. 향년 85세였다.
BEST 뉴스
- 
									
										
										교과서 밖으로 나온 국가 유산, 바다 건너 호치민 아이들을 품다
[동포투데이]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김명환)가 한국의 국가유산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는 국가 유산 교육 체험 행사 ‘이어지교’를 재외교육기관 최초로 개최한다.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는 10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한국 국가유산청(청장 허민)과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의 지... - 
									
										
										전 세계 한글학교, 민화로 하나되다
△제14회 발표회(10.20) 개최식 기념촬영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전통문화원에서 제14회 발표회를 열고, 한국 민화를 주제로 한글학교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 
									
										
										북한, ‘국방발전–2025’ 전격 공개… 극초음속 무기 앞세워 군사 자신감 과시
[동포투데이] 북한이 더는 숨기지 않았다. 평양에서 열린 ‘국방발전–2025’ 무장장비전시회에서 고체연료 기반의 신형 미사일과 극초음속 무기를 대거 공개하며, 사실상 군사기술의 ‘총결산전’을 펼쳤다. 이번 전시회는 북한이 전략무기 분야에서 이룬 성과를 전면에 드러내며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 - 
									
										
										2025 노벨 생리의학상, 브룬코·램스델·사카구치 공동 수상
2025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왼쪽부터 메리 E. 브룬코, 프레드 램스델, 사카구치 시몬.(사진=노벨위원회 홈페이지) [동포투데이] 스웨덴 스톡홀름 —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미국의 메리 이. 브룬...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민화와 한글, 세계를 잇다”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4회 발표회 10월 20일 개최
[동포투데이] 문화가 무르익는 10월, 한류의 새로운 기둥으로 주목받는 한국 민화와 전 세계 한글학교, 그리고 동포 차세대가 한자리에 모인다.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한국전통문화원(원장 홍종진)과 함께 오는 10월 20일(월) 오후 1시, 서울 강남구 삼성로 642의 4층...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열 달간 사랑한 그녀는 조카였다”…40대 남성의 황당한 ‘가짜 연애 사기극’
					 - 
				
					
中 국가안전부, 청년 대상 간첩 포섭 사례 공개 “학술 교류·취업 빙자 주의”
					 - 
				
					
북한 김영남 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별세…향년 97세
					 - 
				
					
연길 ‘빈허윈랑(滨河云廊)’ 개통…도시 남북 잇는 새로운 문화관광 명소로
					 - 
				
					
‘금 유용 혐의’ 베트남 여배우 쯔엉응옥아인 체포…수천 냥 금 행방 묘연
					 - 
				
					
中, 사망자 급증 시대 진입…인구 감소 본격화
					 - 
				
					
연길의 가을, 오색빛으로 물들다
					 - 
				
					
中, 농작물 유전자 빼돌린 해외 간첩단 적발
					 - 
				
					
상하이 지하철 황당 사건…노인, 여성 승객 무릎 위에 착석
					 - 
				
					
“더 밝은 아시아태평양과 세계를 향해” — 시진핑 주석 APEC 정상회의 연설, 국제사회 큰 반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