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연일 폭우로 신샹(新鄕)은 물론 산하 현의 여러 향(鄕)·촌(村)이 큰 피해를 입고 주민들이 고립됐다. 현재 사방팔방에서 신샹을 지원하는 구조 역량이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다.
24일 허난(河南)성 신샹(新鄕)시 무예(牧野)구 한 초등학교에 있는 한 이재민 대피소를 찾은 차이나데일리 기자는 구조대와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둘 다 고립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 2박 2일동안 무예구 왕촌진사(王村鎭寺) 좡딩(莊頂)촌 이재민들은 무사히 무예구 링위안 초등학교 대피소로 옮겨졌다.

이날 오후 찾은 대피소에는 이재민들이 일사불란하게 생활하고 있었고, 일부 이재민들은 웃음꽃을 피우며 웃고 있었다.
마을 주민 샤원야(夏文雅)씨는 “자원봉사자 3명이 침수된 집안에서 92세의 시아버지를 구조해 구명정에 태웠으며 이들이 대피소에 도착했을 때 여러 곳에서 기증한 식수와 음식은 물론 건강검진을 하는 의사들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기자에게 이곳 사람들은 따뜻하고, 물과 전기가 있고 잘 돌봐준다며 "아무렴 공산당이 좋지"라고 감격스레 말했다.

현재 이 대피소에는 200여 명이 머물고 있으며 500명 정도가 배치될 것으로 알려졌다. 취재 도중 대형 트럭을 통해 마을 주민들이 속속 들어오는가 하면 구호물자를 실은 차량들이 줄을 이었다.
친광후이(秦光輝) 친젠궈산약(建國山藥) 회장은 "신샹의 피해 소식을 듣고 밤잠을 설치며 이재민 생활을 걱정하고 자그마한 힘이라도 보태기로 했다"고 전했다. 그는 라면, 생수, 햄, 약품 등 수백 상자를 보내왔다.

17일 8시부터 23일 7시까지 신샹에 평균 830㎜, 최대 965.5㎜의 비가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15시 기준 긴급 대피 인구128만8,075명, 긴급 이송 배치 인구 11만4011명 등 이재민이 발생했다.농작물 피해 면적은 12만1657.98ha이다.
BEST 뉴스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1회 발표회 성료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원장 김재욱)이 공동 주최한 ‘제11회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발표회’가 7월 14일 오후 1시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대 대학원 강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디아스포라와 세계시민을 잇는 정체성 교육’을 주제로 열린 이번 ... -
더불어민주당 “모스탄 푸대접으로 한미관계 파탄? 국민의힘 가짜뉴스 비호 그만해야”
[동포투데이]더불어민주당은 17일 국민의힘 이준우 대변인이 모스 탄(Moss Tan) 씨에 대한 ‘푸대접’이 한미관계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준우 대변인의 발언이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이냐”며 공개 질의했다. 김 대변인은...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반중’ 외치는 거리, 중국산으로 돌아가는 공장… 한국 사회의 기묘한 역설
[동포투데이] 서울에서 반중(反中) 시위가 거세게 일어나고 있지만, 현실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아이러니’가 계속되고 있다. 거리에서는 “중국인 물러가라”는 구호가 울려 퍼지지만, 산업 현장과 소비자 시장에서는 중국산 제품이 여전히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다. &n...
NEWS TOP 5
실시간뉴스
-
中 제조업, ‘메이드 인 차이나’ 고도화로 질적 전환 가속
-
中, 금 매수 계속할 듯
-
‘소림사 주지’의 추락…불교계 권위와 윤리 무너뜨린 스캔들
-
“지리차, 르노 외피 입고 한국서 판매 폭발…중국 브랜드 정체성은 숙제”
-
76초에 한 대…샤오미 공장이 바꾼 제조의 풍경
-
"AI, 챗봇 넘어 '공장'으로…中, 지능형 생산모델로 세계 시장 재편"
-
갈등 넘은 첫 발걸음… 모디 총리, 5년 만에 중국 방문
-
소문으로만 알던 땅, 마음이 머문 곳… 장쑤 청년이 만난 ‘연변’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맥도날드 중국, '현지화 속도'로 1만 개 매장 시대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