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30(목)
 
u=3944743806,3880427991&fm=23&gp=0.jpg

50년 전인 1962년10월에 중국과 인도는 전쟁을 발발했다. 히말라야 산맥 영유권분쟁이 그 동기로 되었었다. 여태까지 아시아의 가장 크고 율동적으로 발전하는 이 대강국들의 관계는 이 문제로 흐린 상태이다. 인도-중국 국경의 총 길이는 3천500킬로미터에 이르고 있으며 경계의 각 부분 분쟁 동기는 서로 다른 것이다.


50년 전인 1962년10월에 중국과 인도는 전쟁을 발발했다. 히말라야 산맥 영유권분쟁이 그 동기로 되었었다. 여태까지 아시아의 가장 크고 율동적으로 발전하는 이 대강국들의 관계는 이 문제로 흐린 상태이다.

인도-중국 국경의 총 길이는 3천500킬로미터에 이르고 있으며 경계의 각 부분 분쟁 동기는 서로 다르다.

약 1600킬로미터에 달하는 현재 인도의 잠무카쉬미르주와 티베트를 포함한 신장 사이의 서방부분 경계는 1890년대에 영국과 중국의 친 왕국이 지정한 것이다. 친 왕국은 당시 카라코룸과 아크사이 친 지역들에 대한 이의를 제기했다. 타협의 결과 중국은 요구한 것보다 현저히 적은 지역을 받았으나 인도가 독립국으로 된 뒤 그의 영지 약 3만3천 킬로미터에 대한 영유권을 제기했다.

국경의 중앙부분은 약 640킬로미터에 이르고 있으며 1954년에 인도와 중국의 티베트지역 간 무역관계협정 체결에 의해 지정되었다. 그러나 중국은 오늘현재 인도의 영지 거의 2천 평방 킬로미터에 대한 영유권을 제기하면서 이 지역들이 오래 전부터 티베트의 현지당국의 통제 아래 있었으며 이 지역의 주민도 거의 모두 티베트 사람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인도-중국 경계의 동쪽 부분은 이른바 맥마곤 선을 따라 지정되어 있으며 이 경계는 1913-1914년에 인도의 시믈라에서 열린 영국-티베트-중국 등 3방 회의에서 영국 측을 대표한 대변인의 이름을 땄던 것이다. 중국은 시믈라 회의가 불법적이라고 하면서 경계를 맥마곤 선이남 100킬로미터로 히말라야산맥 기슭으로 지정할 것을 요구하면서 거의 9만 평방 킬로미터의 영지에 대한 영유권을 제기했다.

1949년부터 인도와 중국은 히말라야에서의 위치를 강화하기 위한 일부 조치들을 제안했다. 인도는 시킴 통제를 수립하고 부탄과 네팔과 우호관계에 관한 조약을 서명했다. 중국은 한편 1950년에 군대를 티베트에 침입했으며 1951년5월23일에는 베이징에서 <중국 중앙인민정부와 티베트정부 사이의 티베트의 평화적 해방조치들에 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협정은 <중국의 중앙정부의 지도아래>티베트민족자치제 수립을 선포했다.

1950년대 초엽으로부터 중국은 인도의 현저한 지역과 그리고 시킴, 부탄, 네팔과 일부 기타 지역들이 중국영지로 표시된 지도들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1959년1월23일에는 당시의 중국국무원 주은래 총리가 인도 총리에게 보낸 서한에서 처음으로 인도-중국 경계는 언제나 정식 규정된 적 없으며 중국과 인도 정부들이 서명한 문서들도 존재하지 않고 있다고 공식 선언했다.

중국-인도관계는 1959년3월에 티베트에서 발생한 폭동으로 한층 더 첨예화되었다. 폭동이 중국군대에 의해 진압된 뒤 티베트종교수장인 달라이-라마와 또 수천 명의 티베트 사람들이 인도로 망명했으며 이것이 또 중국의 불만을 자아내지 않을 수 없었다. 인도-중국 경계에서 무장충돌들이 자자해졌으며 그 과정에 중국 군부대들이 아크사이 친 지역을 점령했다. 1960년4월 뉴델리 공식방문 때 중국의 주은래 총리는 인도에 타협을 제안하면서 중국이 맥마곤 선을 국제경계선으로 인정하는 대가로 인도가 아크사이 친 영토를 중국의 영지로 보전할 것을 요구했다. 자와하르날 네루와 인도정부의 여타 각료들은 이런 제안을 배척했으며 국경충돌은 계속되었다.

1962년 여름과 봄에 유혈충돌이 자자해졌다. 10월20일 경에는 경계선 서쪽과 동쪽 전반에서 중국군대의 집중침입이 시작되었다. 10월20일부터25일 간에만도 인도병사 2500명이 목숨을 잃었고 중국 측의 정보가 없었으나 그들의 피해가 수백 명을 헤아리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밝혔다. 군사작전 결과 중국은 1만4천 평방 킬로미터의 지역, 인도가 자국 영지로 인정하는 주로 아크사이 친 지역을 점령했다. 네루는 인도국민에 대한 발언에서 나라는 독립 선포 이후의 가장 신중한 위협에 직면케 되었다고 선언했다.

인도와 중국 간 전쟁은 미국과 영국에서 신중한 불안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들은 중국의 행동을 규탄했다. 모택동의 기대에 거슬리게 중국의 행동을 당시 소련이 지지하지 않았다. 국제압력으로 중국당국은 1962년11월21일에 일방적으로 정화에 대해서 선포했다.
 (외신종합)
 
다음에 계속~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50년전 중국과 인도, 어떻게 싸우게 됐는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