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5(일)
 
 
 
BIN0001.jpg

"한국에서 '조선족'이라고 호명되는 존재들은 중국에서 '조선족'이라고 불리는 존재와 다르다."고 말하면 어리둥절해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른다. 중국의 다수자인 한족 입장에서 '조선족'이라는 이름은 '조선민족'과 동일한 것이고, 조선족과 한민족은 동일한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아는 조선족을 알아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럴 때는 반드시 '중국조선족'이라고 검색해야 한다. 조선족에게 확고한 국가 정체성이 부여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지난 26일 저녁 영등포글로벌센터 교육장엔 밤 늦도록 어른들의 랑랑한 낭독소리가 울렸다. 제5회 이주와 정착 독서포럼에 참가한 20여 명 이주민과 지역주민들이 신현준 박사가 쓴 '귀환 혹은 순환-아주 특별하고 불평등한 동포들'을 읽고 있었다. 참가자 한 사람 한 사람씩 큰 소리로 책의 한구절한구절을 읽어가는 동안 다른 사람들은 조용히 경청하며 책 내용을 반추하고 있었다. 40여 분 동안 릴레이 읽기를 마치고 나서 휴식도 없이 저자와의 대화가 이어졌다.  

이주와 정착독서포럼에 네번 참가했다는 이규호씨가 먼저 서두를 뗐다. 내가 어떤 민족인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미국에도 가보고 미국에서 살 수 있었지만 굳이 한국에 온 이유는 내가 한민족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할아버지 고향 한국에 와서 할아버지세대보다 더 잘 살고 싶지만 쉽지 않다. 내에게 있어 당면한 과제는 어떻게 한국에서 잘 정착할 것인가이다. 책속에서 길이 있다고 생각하고 독서포럼에 참가하게 되었다. 혹시 저자가 답을 갖고 있으면 조언 부탁드린다고 주문했다.  

장만동(전 재한동포연합총회 부회장)은 책을 통해 동포사회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특히 국내 동포단체들의 형성과 활동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잘 썼다며 중국동포에 관심 있는 내국인들에게 동포사회를 정확히 알리는 좋은 책으로 동포 한 사람으로서 저자에게 고맙게 생각하며 한편으로 걱정도 된다고 했다. 문제는 국내체류 동포가 많아질수록, 동포사회가 커갈수록 동포사회와 한국사회의 갈등의 골이 깊어가고 있다. 어떻게 한국사회와 동포사회가 융화되어야 하는가가 동포단체에 주어진 새로운 과제이며 이를 극복하고 해결할 리더가  필요하다며 독서소감을 발표했다.  

이에 신현준 교수는 독자들의 쏟아지는 조언과 질의에 차분히 답변하면서 또 연구자로서 갖고 있는 의문을 되묻기도 하였다.  "한국사회가 중국동포들에게 온정을 베풀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온정을 베풀어야 한다면 한국인은 정이 많아서. 이런 논리로는 곤란합니다."

강성봉(동북아신문 편집국장)은 중국동포에 대한 이해는 역사적인 측면에서, 인권적 차원에서 그리고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무조건적인 온정주의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고 덛붙였다.  

'귀환과 순화' 책 제목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 책에서 '정착'에 대한 내용이 없다. 저자는 중국동포들이 한국사회에 꼭 융화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보는지 의문이라며 이러한 인식에 대해 중국동포들이 스스로 답을 찾아보길 바란다며 연구의 과제를 남겼다 .  

'이주와 정착'독서포럼은 지난 5월부터 월례행사로 진행해 왔다. 취업을 걱정하는 20대부터 아직도 '순환이주'중이라는 30대, 불혹의 40대, 그리고 윗세대 아래세대 눈치를 보는 50~60대 샌드위치세대,  강제이주, 귀화 그리고 정착의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같은 70대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하는 소통의 공간이었다. 또한 이주배경을 가진 중국동포와 오래 동안 한곳에 뿌리내리고 살았던 지역주민들과의 만남은 서먹서먹하지만 서로 마주 앉아 같은 책을 읽고 함께 토론하면서 만리정을 쌓아가고 있었다.  

'이주와 정착'독서포럼은 이주민들에게 인문학적 감수성을 부여하고 한국사회에서 행복하게 사는 길을 모색하고 공유하는 자리이며, 지역주민에게는 이주민들을 더 잘 이해할수 있는 화합과 소통의의 자리이기도 하다.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다. 산과 들에 울긋불긋 단풍이 든 이 가을에 독자들의 가슴에도 단풍이 무르익길 기원한다.  
  /문민 글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귀환인가, 순환인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