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미 항공우주국(NASA)은 현지시간 8월 29일 오전, 당초 같은 날 예정됐던 차세대 달 로켓 발사가 기술적인 문제로 연기됐다고 밝혔다. 해리스 미 부통령도 발사장 연설을 취소했다.
이에 앞서 NASA는 아르테미스 1호 발사 계획에 많은 의미를 부여했다. 반세기 만에 달 탐사를 재개한 것은 유인 달 착륙 프로그램의 시작이자 우주 분야에서의 미국의 리더십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8월 28일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가 성공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또 '우주 경쟁'을 거론하며 중국의 달 자원 선점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CNN방송은 알테미스 1호는 NASA가 중국과의 달 탐사 경쟁에서 조기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20여 개국이 미국이 주도하는 달 탐사 프로그램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방송은 조지 워싱턴대 공간정책연구소 스콧 페이스 소장의 말을 인용해 "우리가 우주로 보내는 것은 기계나 우주인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치관도 있으며 법치·민주·인권·자유시장경제 같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문가는 스스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미국적 가치관의 투사"라며 "난폭한 깃발 꽂기 경쟁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주는 전 인류의 영지이며, 중국은 우주를 탐험하고 이용할 권리가 있다. 하지만 나는 그들이 우리보다 먼저 그곳에 착륙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뿐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 항공우주기술 전문가인 황지청은 29일 글로벌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측 관리들의 발언은 악의적"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최근 몇 년간 '딜레마'에 빠진 미국은 NASA를 비롯한 미국의 명문 학술기관 중 일부는 더 이상 전략적 비전을 가진 전문가가 아닌 일부 이념적 미국 정치인이 이끌고 있다"며 "과학적 원칙에 위배되는 발언은 미국 과학 연구 기관의 전문성이 점차 상실되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BEST 뉴스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1회 발표회 성료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원장 김재욱)이 공동 주최한 ‘제11회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발표회’가 7월 14일 오후 1시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대 대학원 강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디아스포라와 세계시민을 잇는 정체성 교육’을 주제로 열린 이번 ... -
더불어민주당 “모스탄 푸대접으로 한미관계 파탄? 국민의힘 가짜뉴스 비호 그만해야”
[동포투데이]더불어민주당은 17일 국민의힘 이준우 대변인이 모스 탄(Moss Tan) 씨에 대한 ‘푸대접’이 한미관계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준우 대변인의 발언이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이냐”며 공개 질의했다. 김 대변인은...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7월 중국 자동차 판매 14.7%↑… 전기차·수출이 성장 견인
-
미·중 경쟁 속 중국 조선업 질주… 합병으로 '세계 최강' 예약
-
中 ‘부동산 빅5’ 화남성, 법원 명령으로 청산… 헝다 이후 최대 규모
-
미-인 무역갈등 격화… 인도서 ‘맥도날드·애플 불매’ 확산
-
‘푸른 하늘’의 신흥 강자, 중국 안후이성 항공우주 경제 비상
-
레이쥔, 샤오미 YU7 ‘스탠다드 모델’ 명칭 변경 투표 제안
-
中 제조업, ‘메이드 인 차이나’ 고도화로 질적 전환 가속
-
中, 금 매수 계속할 듯
-
‘소림사 주지’의 추락…불교계 권위와 윤리 무너뜨린 스캔들
-
“지리차, 르노 외피 입고 한국서 판매 폭발…중국 브랜드 정체성은 숙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