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한 노인이 성매매 업소에서 성행위를 하다 경찰에 붙잡혔다. 경찰은 가족에 통보했고 경찰서에 도착한 노인의 며느리는 시아버지만 행복하면 된다며 담담하게 말했다.
⠀
경찰은 이에 크게 놀랐고, 며느리는 시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셨고, 남편도 돌아가셨는데 재가하지 않고 수년간 시아버지를 돌봐왔다고 설명했다.
⠀
어느날 밤, 68세의 노인은 성매매로 붙잡혔고, 경찰은 그의 가족에게 연락했다. 전화를 받은 사람은 노인의 며느리 이씨로, 소식을 듣고 잠시 침묵한 뒤 "알겠어요, 제가 갈게요"라고 담담하게 말했다.
⠀
경찰서에 도착했을 때 이씨는 노인이 고개를 숙이고 민망한 표정으로 구석에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 그는 다가가 부드럽게 "아빠, 괜찮아요, 집에 가자요"라고 말했다. 노인은 놀람과 죄책감으로 가득 찬 눈으로 이씨를 쳐다보며 "너... 화 안 났어?" 라고 묻자 이씨는 미소를 지으며 고개를 저었다. "아버지, 아버지가 행복하시니 좋네요. 인생은 짧고 아버지는 늙으셨으니 마음대로 사세요." 이 말에 노인의 눈에는 이슬이 맺혔다.
경찰은 이 장면을 보고 의아해하지 않을 수 없었다. 가족들이 발끈할 줄 알았던 이들은 며느리 이씨가 이렇게 담담하게 받아들일 줄은 몰랐다. 이 사건은 곧 동네에 퍼졌다. 이웃들은 이씨의 행동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 어떤 사람들은 그녀의 관대함에 감탄했으며, 어떤 사람들은 그녀의 접근 방식에을 반대했다. 한 이웃은 이씨에게 " 당신이 그렇게 생각하는 건 옳지 않아. 효성은 무조건 양보하고 용인하는 것이 아니야. 때때로 적절한 조언과 관리가 진정한 효성이야."라고 말했다.
⠀
한편, 동네의 한 노인은 이씨를 칭찬하며 "이 며느리 참 좋다! 다른 사람이라면 벌써 화를 냈을 텐데, 이렇게 노인을 배려하는 것은 정말 드문 일이야!"라고 말했다.
이것이 과연 효도일까요?
BEST 뉴스
-
새로운 시작, 문화와 통합의 시대를 열며...
지난 시기, 우리 사회는 그야말로 격랑의 시간을 지나왔다. 헌정 질서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한 초유의 사태와 정치적 불안정, 그로 인해 국제사회에서 추락한 국격은 국민 모두에게 깊은 상처와 실망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우리는 알고 있다. 위기는 언제나 새로운 기회의 문을 연다는 사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허 훈 최근 한국에서 발표된 한 여론조사 결과가 중국 온라인 공간에서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다. 한국 청년층의 다수가 중국을 ‘가장 비호감 가는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마치 이웃이 적의를 품고 노려보는데도, 정작 당사자는 시선조차 주지 않는 기묘한 장면처럼 ...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미국 언론이 “미국과 이란이 충돌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이, 테헤란의 폐허가 된 거리에서는 한 청년이 무너진 벽에 이렇게 적었다. “우리에겐 시간이 있고, 제국에겐 최후통첩뿐이다.” 이 짧은 문장은, 대결 국면의 중심에서 중국을 지목하는 서방의 담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 -
눈감은 리더십, 침몰하는 중국 축구…‘자격 없는 자’의 민낯
● 허훈 중국 축구 팬들이 마침내 인내의 한계를 넘어섰다. 전국 각지에서 터져나온 “郑智(정즈) 퇴진하라”는 외침은 단순한 성적 부진에 대한 분노가 아니다. 그것은 책임 회피, 불통, 무능, 나아가 인격적 결함에 대한 총체적 거부의 신호탄이다. 그리고 그 한가운데에, 자리를 비워야 마땅할 정즈가 ... -
"뿌리 깊은 부패에 무너진 중국 축구의 미래"
[동포투데이] “한 번 조작하면 백만 위안, 이기고 받는 보너스보다 열 배는 더 많아요.” 이는 몇 해 전 한 중국 축구 국가대표가 한 말이 다. 당시엔 씁쓸한 농담처럼 들렸지만, 지금 돌아보면 예고편이었다. 그 말대로였다. 조작된 경기와 그 이면의 검은 돈이 중국 축구를 집어삼켰다. 2025년, 또 한 명의 전 국가...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허 훈 가난한 사람을 다루는 드라마를 네 나라, 한국·미국·중국·일본의 작품을 함께 놓고 본다면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네 나라 중 유독 한 곳만, 가난이 너무도 ‘예쁘게’ 포장돼 있다. 바로 중국이다. 요즘 중국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미드·한드·일드나 본다”는 말이 유행처럼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
'축구 굴기'의 허상, 국가 통제 축구의 비극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뿌리 깊은 부패에 무너진 중국 축구의 미래"
-
눈감은 리더십, 침몰하는 중국 축구…‘자격 없는 자’의 민낯
-
돈은 있지만 품격은? 불편한 진실에 직면한 중국인
-
[세상 읽기] 백악관의 오찬, 그리고 인도의 자존심
-
5·4운동 105주년 '신문화운동' 역할 재조명… 비판적 시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