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3(금)
 
■ 김철균
 
남편 김용환과 결혼할 때부터였다고 할까? 아니 퍽 그전인 소시적 오빠의 색시가 물동이를 깼을 때 자기가 한 것이라고 덤터기를 쓴 것, 추운 겨울 추워하는 옥단이와 옷을 바꾸어 입은 것 등을 비롯하여 순자가 수십년간 살아온 인생사를 보면 한마디로 남을 동정하고 아껴주고 베풀면서 살아왔다는데 총적으로 귀납된다. 또한 그것은 자식들과 며느리와 사위한테만 향해진 것이 아닌 타남한테까지, 심지어 많은 부분이 한족들한테까지 베풀어졌다는데서 더욱 사람들로 하여금 감동되게 만든다.

김순자의 생활노트를 펼쳐 보노라면 동네의 별의별 일에 다 참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된다.
……
◎ 동네의 한 한족남정이 임신한 안해를 때리는 것을 보고 말리다가 어깨를 크게 다쳤고 그 것 때문에 오래동안 고생했음.
 
◎ 동네에 도둑질에 이골이 튼 한 남정이 있었음. 남들은 다 그 집을 온역을 피하듯 꺼려했으나 경상적으로 그집에 드나들면서 “사람은 자기의 노력으로 살아야 하지 무작정 남의 것을 탐내서는 안된다”며 교육하는 한편 그 가정을 돕기 시작, 그 집에 아이를 볼 사람이 없자 딸들을 윤번으로 보내어 아기를 돌보게 해 그들 내외가 시름을 놓고 출근할 수 있게 하였음.
 
◎ 남편의 친어머니가 사망하고 이복형제가 많은 한 여인의 가정에 석탄이 떨어지자 집에 있는 석탄을 날라다 주었으며 그 집 애들한테 공책을 사주었음. 그리고 문화혁명시기 그 집 아들이 상대방 조직원들한테서 맞아서 거의 죽어가는 것을 구해서는 밀차에 실어 집까지 데려 왔으며 후에 또 그 집 딸이 시집가게 되자 소조주민들과 함께 가서 첫날 이불과 요 그리고 기타 베개같은 것을 해주었음.
 
◎ 남편과 시어머니 사이에서 구속을 받으며 속을 많이 태우는 한동네의 한 여인을 늘 위로해 주었음. 문화혁명때 아들이 맞아서 죽고 남편도 술로 세월을 보내면서 집에 잘 들어오지 않자 이 여인을 위로해 주면서 돈도 손에 쥐어 주었음.
 
◎ 몹시 가난한 집이 있었는데 콩장같은 색다른 음식을 할 때마다 이 집에 먼저 맛보라고 가져다 주었고 이 집 큰 아들이 결혼하자 한번도 쓰지 않은 큰 늄대야, 사발과 접시 등을 가져다주면서 살림에 보태게 하였음.
 
◎ 가정식구가 9명이 되고 아버지가 장기환자인 가정에 경상적으로 생선, 김치와 된장같은 것을 가져다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 집에 베개가 없는 것을 보자 일부러 천을 사다가 베개를 만들어 주었음.
 
◎ 동네에서 자주 말썽을 일으켜 따돌림을 당하는 늙은 양주가 있었지만 늘 그 집에 드나들면서 약도 사다 드리고 골난도 해결해 주면서 연세가 들수록 동네의 화목을 도모해야 한다면서 설복하여 끝내 늙은 양주가 더는 말썽을 부리지 않게 했음.
 
◎ 용정에서 온 한 학생이 부모가 늙고 집이 가난하기 때문에 위생학교에서 퇴학하러 하자 돈 10위안(그 때는 명태 한근에 19전씩 했음)을 손에 쥐여주며 “힘을 내라”고 신심을 북돋아 주었으며 후에도 여러모로 도와주었음.
 
◎ 비가 오는 날 이웃집 바깥에 있는 석탄이 비에 젖자 자기 집 석탄우에 씌웠던 비닐방막을 벗겨다가 이웃집 석탄더미에 씌워 주었음. 이 때문에 집의 석탄이 비에 젖어 이날 저녁 부엌아궁이에 불도 지피지 못했음.
……
이렇게 순자의 노트를 대충 훑어보노라면 일종 감각이 확 든다. 그것을 좋게 말하면 “뢰봉정신”이라 할 수 있었고 거기서 좀 다르게 붙이면 “걱정도감”이라고도 할 수 있겠으나 대부분 사람들이 이를 보면 “바보”같은 짓으로 취급하기가 일쑤일 것이다. 바보같은 짓, 이렇게 보는 사람들 앞에서 순자는 “나 스스로도 내가 바보처럼 여겨질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하지만 이 사회는 나같은 바보를 필요로 할 때가 늘 있다.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는 내가 바보로 나서지 않아도 누군가는 꼭 바보로 나서야 할 것이 아닌가” 라고 일축해 버리군 했다.
 
어떤 위태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누군가는 꼭 바보로 나서야 한다는 말, 그런 경우가 가끔씩 있은 것도 사실이었다.
 
어느 해엔가 순자는 연길개발구에 있는 셋째 딸 영애네 집으로 가있게 되었다. 당시 개발구에 있는 딸 집 근처에는 항주에서 왔다는 한족 노부부가 작고 헐망한 가게를 차려놓고 아들 며느리와 함께 음식장사를 하면서 매우 힘들게 살고 있었다.
 
그러던 중 어느날이었다. 이 날도 순자가 밖에 나가 바람을 쏘이려는데 불현듯 항주에서 온 그 노부부네 가게 쪽에서 왁작지껄 크게 떠들어 대는 것이었다. 이에 순자가 웬일이 일어났다 싶어하면서 그 쪽으로 가보았더니 아니나 다를가 그 노부부네 아들과 며느리가 대판싸움을 벌이고 있었다. 아들은 식칼을 쥐고 며느리는 돌멩이를 집어들었는데 당장이라도 살인사건이 터질 것만 같았다.
 
“얘 영순아, 영애야! 큰일이 났다. 빨리 110에 전화를 걸어라. 이러다간 살인사건이 나겠다.”
 
큰 소리로 딸들한테 알린 순자는 무작정 식칼을 쥔 아들의 허리를 끌어안은 한편 빨리 돌멩이를 쥔 사람을 제지시켜 달라고 주위의 사람들한테 요청했다. 하지만 모두들 구경만 할뿐 누구도 선뜻 나서주지 않았다. 자기와 상관없는 일에는 참견하고 싶지 않다는 자세였다.
 
다행히도 얼마 뒤 110특경들이 차를 몰고 나타났고 특경들에 의해 싸움은 인차 제지됐다. 110특경들은 싸움당사자들한테 한바탕 교육을 하면서 그들한테서 더는 싸우지 않겠다는 다짐을 받고는 차를 몰고 돌아갔다.
 
하지만 그래도 시름이 놓이지 않아 순자는 그 노부부의 아들한테서 빼앗은 식칼 2자루를 딸의 집에 감추어 두었다가 퍽 후에야 돌려주었다.
 
이날 저녁 크게 놀란 순자는 하루종일 심장이 떨려서 밥술도 제대로 들 수가 없었다. 10년 감수란 말의 진수를 맛보는듯 하기도 했다.
 
이날 밤 순자는 잠자리에서 이리 뒤척, 저리 뒤척 하면서 도무지 잠을 이룰 수 없었다. 그는 위태로운 사태가 벌어질 때마다 그것이 왜 유독 자기의 눈에 띄우는가에 대해 생각을 굴려보았다. 예하면 동네에서 한족남정이 임신한 안해한테 폭력을 휘두를 때도 그랬고 여름날 길가에 쓰러진 전간병이 있는 젊은이와 겨울날 저녁 술취한 남성이 길가에 쓰러져있을 때도 그랬으며 낮에 젊은 한족부부가 싸움을 벌였을 때도 그러했듯이 이런 일은 흔히 순자의 눈에 잘 띄웠다.
 
그렇다면 순자한테 진짜 그가 생각한것처럼 위태로운 사태가 눈에 잘 띄워서였을까. 아니면 순자 본인 스스로 그런 위태한 사태를 목격하면 자기를 돌보지 않고 나서는 습관이 있어서였을까?
 
그것은 그 후자가 맞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왜냐하면 딱 이런 경우가 아니더라도 순자는 이른바 부질없는 일에 참여할 때가 많았으니 말이다.
 
1993년엔가 셋째 딸 영애네가 집수리를 하게 되었다. 당시 영애가 한국으로 가고 없었기에 순자가 딸 대신 사위를 도와 집수리를 하는 13명 인부들의 밥을 해주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하루 인부들 중 나이가 비교적 어린 인부 한명이 부주의로 상해 머리가 터졌으며 얼마간의 피도 흘렀다. 그러자 이를 본 순자는 너무 가슴이 아파하며 자기의 옷을 찢어서는 그 인부의 머리를 동여주었다. 그러고도 “머리가 터져 피를 흘렸으니 닭걀과 돼지고기같은 것을 많이 먹어야 한다”며 돼지고기 요리 등 맛있는 것을 가득 만들어서는 그 머리를 상한 인부는 물론 다른 인부들의 음식그릇에까지 듬뿍듬뿍 담아주었다.
 
헌데 일은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그날 저녁 순자가 사위와 외손주가 먹을 밥과 반찬을 따로 챙겨두지 않고 있는 것 그대로 인부들한테 퍼먹이다 보니 밖에서 들어온 사위 이연규와 외손주는 인부들이 먹다 남긴 찌꺼기로 때를 에우는 수밖에 없었다.
 
당시 다른 사람들 같으면 장모의 소행에 속으로 고까운 생각을 했을 수도 있었겠으나 장모의 성미를 너무나도 잘 아는 셋째 사위 이연규는 “이러지 않으면 우리의 장모님이 아니지”라고 우스개로 넘겨버렸다고 한다.
 
이 외 순자는 그 12명 인부들의 빨래까지 도맡아 해주었다. 아무리 세탁기로 빨래를 한다지만 당시 60세가 넘은 노인이 된 순자로서는 여간만 힘든 일이 아니었다. 더군다나 그 인부들이 입던 작업복은 두껍고도 무거운지라 더욱 힘들었다. 그뿐이 아니었다. 인부들이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면 밖에 나서서 몸을 조심하라고 항상 걱정해 주었고 날씨가 좀 무덥기라도 하면 자기의 돈으로 광천수나 얼음과자 같은 것을 사서는 인부들의 손에 한두개씩 쥐어 주고야 시름을 놓군 하였다.
 
순자의 이러한 소행은 외지에서 떠돌이생활을 하면서 품팔이를 하는 인부들한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집수리가 마무리되어 떠나게 되던 날 그 13명의 인부들은 “수십개 지방으로 다니면서 집수리를 하면서도 이렇게 인부들을 친자식처럼 대해준 분은 어머니밖에 없었다”면서 눈물까지 흘렸고 자동차에 앉아서는 오래도록 순자한테 손을 저었다고 한다.
 
(다음기 계속)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장편실화연재】 한 여인의 인생변주곡(24)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