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6(목)

전체기사보기

  •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 현지대 입시 준비도 든든
    [동포투데이] 지난 9월 29일(화)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신선호)에서 베트남 현지 대학교인 Ton Duc Thang University 와 RMIT(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 University의 입시 설명회가 있었다. 최근 우리나라와 베트남의 관계가 우호적으로 변하면서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의 현지 대학교에 대한 진학 관심이 나날이 높아져 작년보다는 훨씬 더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COVID-19로 인한 거리두기를 안전하게 실천하며 진행된 이번 입시설명회는 각 대학교의 입학담당자가 입학준비과정 및 외국학생들을 위한 여러 가지 장학제도, 교환학생 프로그램, 졸업 후 진로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 주었다. 해당 대학의 설명회가 끝나고 입학자격과 전형요소에 대한 별도의 질의응답시간을 가져 학생들을 개별적인 상황에 따른 유익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었다.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는 올 11월 중순쯤 호치민인문사회과학대학교 및 홍방대학교의 입시설명회도 계획하고 있어, 한국대학 뿐만이 아니라 베트남 현지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진학지도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로써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의 교육목표인 GloNacal한 인재 육성에 한 발짝 더 가까이 다가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 설명회에 참여한 11학년 한 학생은“앞으로의 진로와 부모님의 베트남사업 정착으로 베트남 현지대를 진학하려고 하는데, 언어적 장벽으로 입학정보를 알기가 막연하였다. 그런데 이번 입학설명회로 입학과정에 필요한 자격과 전공과정 선택, 장학금 제도 등 실질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정말 큰 도움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신선호 교장은 “우리나라와 베트남 사이의 긴밀한 국제관계, 우리나라 기업의 베트남 진출, 갑작스런 COVID-19상황 등으로 현지대학에 대한 교민들의 높아진 관심에 호응하여 현지대학 입시에도 더욱 힘을 쏟겠다”라고 말했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0-10-05
  • 中 연변, 병원에 가지 않고도 진단과 처방을 받을 수 있다?
    [동포투데이] PAIYI플랫폼은 지난 9월 28일에 플랫폼의 자세한 업무 내용에 대해 정식으로 밝혔다. 여태까지 수요는 있었으나 공급이 없었던 의사파견 플랫폼은 지난 9월에 설립된 후 계속 베일에 싸여 있었으나 조금이나마 공개가 된 셈이다. PAIYI서비스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익수당종합진찰부를 주체로 지난 9월에 설립되었다. 종합진찰부는 진찰실, 약국, 서의내과 ,중의내과, 강복회복과, 침구과, 피부과,구강과 로 구성되어 있고 진찰부가 뽐내는 녹색 물리요법과 경락양생미용법은 대형병원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외지나 외국으로 나간 젊은 층이 많은 연변에서 움직임이 불편한 노년층과 기타 환자들의 진단과 처방은 지금까지 큰 사회적문제로 남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PAIYI플랫폼은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고 중국의 각계 인사들은 대체로 플랫폼의 전망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의사파견 서비스란 말 그대로 이용자가 지정한 주소에 의사를 파견하여 건강 자문과 문진, 진료(처방)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플랫폼에서 이용자는 환자의 대체적인 증상(혹은 진단서)과 개인정보(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을 포함)를 제공하고 상응한 비용을 지불하면 집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PAIYI 플랫폼은 “의사파견 서비스”의 주요 대상은 현재 연길시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뿐이지만 이후 서비스 구역을 연길시로부터 점차 전 연변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플랫폼 측은 지금 제공하고 있는 두 번째 서비스인 “온라인 속진”에 관해서도 언급했다. 이용자가 PAIYI플랫폼에 기왕의 진단서 혹은 증상을 제공하면 연길시익수당종합진찰부(延吉市益寿堂综合门诊部)의 전문 의사가 즉시 상응한 처방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용자가 개인정보 (이름, 주소, 전화번호)와 상응한 비용을 지불하면 PAIYI플랫폼은 즉시 처방 약을 이용자가 지정한 주소에 배달한다. 플랫폼 측은 온라인속진서비스는 의사파견서비스와 달리 지역과 국경의 제한을 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扫描关注公众号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05
  • 아프리카의 신기한 ‘병 나무’ 2톤의 물 저장할 수 있어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아프리카를 놓고 말하면 많은 사람들 인상 중의 이 대지는 매우 낙후하고 아울러 기후가 아주 무더우며 많은 지역이 사막이고 수자원이 자연히 풍부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 매우 많은 부락들에서 머나 먼 곳에 가서 물을 길어오는 장면들을 TV나 기타 영상을 통해 보면서 이들의 생존조건이 아주 열악하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하지만 아프리카에는 일종의 아주 신기한 나무가 있다. 동시에 이 나무는 세계에서 물을 가장 많이 저장할 수 있는 나무로서 요해에 따르면 이 나무에서 나오는 물로 4명의 식구를 가진 가정이 반년 간 마실 수 있다고 한다. 이 신기한 나무는 마치 거대한 병 마냥 수식으로 대지에 꽂혀 있기에 사람들은 이 나무를 ‘병 나무(瓶子树)’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런 나무들은 줄줄이 늘어서 일종 아주 독특한 풍경 선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나무들은 30미터 높이까지 자랄 수 있고 나무의 가운데는 매우 굵으며 가장 굵은 부위의 직경은 5미터 이상까지 된단다. 이 나무는 매우 ‘지력’이 발달, 매번 우기가 오면 나무의 줄기마다 걸탐스레 물 자원을 흡수해서는 자기의 체내에 저장한다. 바로 이렇게 많은 물을 흡수하기에 이 나무는 아무리 큰 가물이 들어도 여전히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게 된다. 이런 신기한 나무가 만약 발육이 좋기만 하면 2톤이 넘는 물을 저장할 수 있기에 어쩌면 자연의 큰 물탱크라고도 할 수 있다. 만약 당지에서 물이 몹시 결핍한 시기가 되면 여기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바로 이 ‘병 나무’ 몸체에 칼집을 내서는 그 안의 물로 가정의 생활용수로 쓰고 있다고 한다. 이 물은 모두 매우 깨끗하며 나무 한 그루에서 나오는 물로 한 가정 식구들이 반년 간 마실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어떤 시기에 이 곳이 장기간 가뭄으로 메마를 때면 촌의 사람들은 모두 이런 ‘병 나무’에 의거하여 생존한다고 한다. 특히 열대초원에서 여행하는 이들이 물을 찾을 수 없을 때면 오직 이런 ‘병 나무’를 찾아서는 이 나무로부터 수자원을 확보, 이리하여 어떤 사람들은 이 나무를 두고 ‘생명의 나무’라고 정답게 호칭한다. 한편 이 나무에는 여러 가지의 이름이 있으며 아울러 이 나무의 열매 역시 식용으로 가능다고 한다. 이 나무의 열매는 20 센티미터 정도로 길기에 속에 살이 매우 많으며 또한 즙액도 많다. 그리고 이 천연적인 열매는 생것으로 먹을 수 있는가 하면 무더운 날에는 냉 음식으로 만들어 먹을 수도 있어 아주 훌륭한 과일류에 속하는 식품으로 손색이 없다. 전하는데 따르면 일찍 몇 차례 아프리카의 대 기근 시기, 이 나무의 열매는 수천수만의 난민들의 생명 줄로 되었는바 이로 인하여 이 나무는 더 더욱 생명의 나무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여기까지 읽고 보면 우리는 무식 간 이 나무에 대한 매우 커다란 신비감에 휩싸이게 된다. 아프리카에서 늘 출현하는 열악한 기후, 예하면 장기간의 가물, 아니면 연속되는 우기- 하지만 이 ‘병 나무’는 여전히 자기의 작용을 최대한으로 발휘하여 인류에게 ‘복음’을 주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아프리카의 많은 사람들은 모두 이 ‘병 나무’의 혜택을 입었는바 이 역시 하나님이 아프리카란 이 불모의 땅에 하사한 신기한 물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10-05
  • 최고 부유계층 1%의 탄소배출량 최 빈곤 계층 50%의 2배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최근, 국제자선기구 옥스팜이 발표한 해당 탄소배출의 ‘빈부의 차이’란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5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계층 1%의 탄소배출량은 가장 빈곤한 계층 50%의 배출량 2배 이상에 달했다. 부자들의 탄소배출량 경악 옥스팜이 스웨덴 스톡홀름 환경연구소에 위탁하여 진행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15년 기간, 세계인구의 10%, 약 6.3억 명에 달하는 ‘부유계층’의 탄소배출량은 52%, 세계인구의 1%, 약 6300만 명에 달하는 ‘최고 부유계층’의 탄소량배출량은 15%에 달했으며 반대로 세계에서 수입이 비교적 낮은 50%의 인구의 탄소배출량은 7%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부자들의 ‘과도한 소비’는 기후변화의 재난을 피면하기 위해 설치한 ‘탄소배출예산’으로 하여금 더 이상 변통을 할 수 없게 만들고 있다고 나서 1990년부터 2015년간의 세계 연 탄소배출량은 60%가 증가, 발달국가들이 25년 간 ‘탄소배출 예산’의 3분의 1을 점했고 1%에 달하는 ‘최고 부유계층’이 9%를 점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는 지구 기후의 악성변화를 억제하는 것을 저애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경제가 낙후한 국가에서 추구하는 녹색증장의 공간을 압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한 스포츠 실용 카가 현재 부유계층에서 날로 유행, 이미 2010년부터 2018년간 세계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는 두 번째로 큰 내원이 되었다고 언급하면서 만약 지구기후의 악화추세를 억제하자면 비교적 낙후한 국가들이 저 탄소배출 경제를 발전시키도록 도와주는 한편 각 국 정부마다 부유계층의 과도소비를 엄격히 억제시키는 것이 급선무로 된다고 못 박았다. 독일 옥스팜 연구소 사회 불평등 현상 전문가인 엘런 엠케는 가난한 사람들이 소수 부자들이 향수하는 소비를 위해 대가를 지불하고 있으며 이는 많은 국가들에서 늘 볼 수 있는 현상이라면서 예하면 독일은 전국 인구의 10% 즉 약 830만 명 되는 부유층이 지난 25년간 26%의 탄소를 배출했지만 수입이 비교적 적은 50%의 인구 즉 약 4150만 명의 탄소배출량은 29%이라고 지적, “우리는 반드시 한꺼번에 기후와 불평등 위기를 해결해야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가 앞장서 개변해야 옥스팜 보고서는 파리기후협정에서 조인한 ‘2030년 전으로 세계기온을 상대적으로 공업화 전 상승폭도의 1.5%를 초과하지 않게 한다’는 목표를 실현하자만 최고 부유 계층의 탄소배출 총량을 반드시 목전 수준의 약 10분의 1로 줄어야 한다고 지적, 보고서의 수석 작자이며 옥스팜 기후정책 주관 기획자인 팀 고어는 이는 개인의 행동에 의해 한 개 군체의 소비습관을 개변시키려 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정부의 추동에 의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의 내용에 대해 유엔 전 사무총장인 반기문은 설명을 발표하여 “목전 우리의 경제모식은 줄곧 재난성의 기후변화와 불평등 현상을 추동해 왔었다”면서 코로나 19가 우리로 하여금 현유의 시스템에 대해 반성하여 시스템 개혁을 하도록 촉구하고 있으며 오직 집단 승낙 시에만 사회 중 최고층 부유 군체의 가스배출량이 과도하게 많은 문제를 관건적이고도 우선 과제로 삼고 해결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동시에 팀 고어는 코로나 19의 폭발 및 종족과 사회공정에 대한 추구의 상승 영향으로 1년 전 불가사의로 여겼던 정책을 현재 정식 실시할 수 있게 됐다고 피로, 예하면 프랑스 정부가 이미 스포츠 실용 카의 세율을 제고시킬 것을 출범했고 뉴질랜드와 영국, 스코틀랜드 등 국가의 정부들도 국민의 ‘행복지수’ 평가처리로 성과를 내기 시작했으며 아울러 이것으로 경제증장 지표의 향도로 삼고 있다고 긍정적인 제시를 했다. 계속하여 팀 고어는 코로나 19의 확산기간 상업여행이 대 폭도로 감소되고 각 국에서는 이 기회를 빌어 비즈니즈 석 및 사인 비행기와 항공편 등으로 액외 징수를 하고 있다면서 영국의 민간 환경보호 조직은 정부에서 정책을 출범하여 징수한 세금을 의료교육, 공공교통과 스마트 기술 인프라 시설 개선에 쓰이게 하여 가난한 사람들로 하여금 저 탄소 생활방식 적응에 편리하게 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정부가 코로나 19 대응 원조자금을 에너지 저 소비 주택개조 프로젝트에 사용하는 것으로 탄소배출량 감소에 유리하면서도 빈곤 군체의 생활을 개선하며 취업 창조에도 유리하게 해야 한다고 덧 붙였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10-05
  •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사례 3500만 건 초과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4일,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가 발표한 코로나 19 최신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동부시간으로 4일 16시 23분(한국시간으로 5일 5시 23분)까지 세계 코로나 19 누적 확진사례가 3500건을 추월한 3501만 1322건이었고 누적 사망사례는 103만 4865건이라고 5일 미국 뉴스전문방송(CNN)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세계의 코로나 19 확진 및 사망 사례 중 미국이 확진사례와 사망사례가 가장 많은 나라로 누적 확진사례는 741만 2911건, 누적 사망사례는 20만 9749건이었다. 미국 다음으로 코로나 19 누적 확진사례가 많은 나라로는 인도, 브라질, 러시아, 콜롬비아와 폐루 등 나라였고 누적 사망사례가 많은 나라로는 브라질, 인도, 멕시코와 영국 등 나라였다. 한편 세계의 코로나 19 확진사례는 여전히 쾌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가 통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세계의 코로나 19 확진사례가 1000만 건을 초과한 것은 지난 6월 28일, 2000만 건을 초과한 것은 8월 10일이었고 1000만 건에서 2000만 건으로 될 때까지 소모된 시일은 43일이었으며 2000만 건에서 3000만 건으로 된 날짜는 9월 17일이었고 2000만 건에서 3000만 건에 이르기까지 걸린 시일은 38일이었으며 3000만 건에서 3500만 건에 이르기까지 걸린 시일은 17일이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10-05
  • 차카옌호(茶卡盐湖) - 中의 ‘천공지경(天空之镜)’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차카옌호는 중국 칭하이성 하이시 몽골족 ‧ 장족 자치주 우란현 차카진(青海省海西蒙古族藏族自治州乌兰县茶卡镇)에 위치해 있으며 ‘차카’ 혹은 ‘다르부센호르(达布逊淖尔)’로 불리기도 한다. ‘차카’는 장족어로 함수호라는 뜻이다. 3일, 중신망에 따르면 염호의 결정(结晶)과 염층 간수(卤水)의 반사로 푸른 하늘의 흰 구름과 먼 산이 비치면서 차카옌호에는 맑고 깨끗한 은빛 호수 면이 형성, 시가나 화폭 같은 선경이 펼쳐져 마치 ‘천공지경(天空之镜)’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가을의 차카옌호는 하늘과 호수물이 같은 색을 띄면서 경치가 독특하여 많은 관광객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2019년, 차카옌호의 제 2 경관 구는 ‘천공 1호’로 관광객들에게 개방되기도 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10-05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