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6(목)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美 총기 소유율 25년 만에 최고치 경신
    [동포투데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과 2021년에는 타살, 자살, 우발적 부상을 포함한 총기 피해는 1~19세 미국 어린이 및 청소년의 주요 사망 원인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아프리카계이라고 밝혔다. 미국 미네소타대(University of Minnesota)가 최근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메디슨에 발표한 연구보고에서도 이 같은 결과를 반영했다. 연구팀은 1999년부터 2022년까지 CDC의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미국 청소년들의 총기 관련 사망자가 35% 증가했으며 그중 아프리카 청소년들의 증가율이 현저히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하버드 대학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보건 정책 교수인 데이비드 헤맨웨이는 이 현상은 20년 동안 미국의 일부 주에서 총기 취득 범위를 확대하기로 한 결정과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4%에 불과하지만 총기 자살은 전 세계의 35%, 총기 타살은 전 세계의 9%를 차지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총기에 사망할 가능성은 백인보다 12배 높다. 지난 25년 동안 총기 규제 법률은 지속적으로 약화되었지만 이러한 상황은 바뀔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NBC뉴스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총기 소유율은 최근 25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유권자의 52%가 총을 소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이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총기 소유율을 기록했다. 한편, 하버드대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권자의 60%가 총기 소지는 자기 방어를 위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범죄가 줄어들고 있는지, 악화되고 있는지,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유권자의 42%는 상황이 더 나빠졌다고 답했고 21%만이 상황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했다. 헤맨웨이 교수는 “지난 25년 동안 총기 사망자는 급격히 증가한 반면 다른 부유한 나라들의 평균 총기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다”며 “미국은 지금 점점 다른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6
  • 중국 134개 품목 관세 감면 중단, 책임은 민진당 당국에 있어
    [동포투데이] 지난 5월 30일 국무원 관세규정위원회는 6월 15일부터 대만 발 윤활유 기초유 등 134개 품목 수입품에 대해 '양안경제협력기본협정(ECFA) 협정 세율 적용을 중지하고 현행 관련 규정에 따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공고했다. 이는 본토가 지난해 12월 21일 ECFA에 따라 프로필렌을 포함한 12개 세금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취한 추가 조치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31일 대만지역 당국이 장기간 일방적으로 대륙(중국)에 차별적인 무역 제한을 가하는 것은 ECFA 중 '양안 간의 실질 다수 화물 무역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점진적으로 줄이거나 제거한다'는 규정을 위반하였고 양안 기업의 이익은 물론 양안 동포들의 복지를 해친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2023년 12월 21일 대륙이 ECFA에 따른 프로필렌 등 12개 품목 관세 감면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후, 대만지역 민진당 당국은 대륙에 대한 무역규제를 폐지하기 위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대만 독립'을 고취하고 양안의 대립을 선동하여 ECFA 시행의 기반을 심각하게 훼손하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륙 당국이 ECFA 일부 품목의 관세 인하를 추가 중단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 원인이라고 선을 그었다. 가오쿵롄(高孔廉) 해협 경제무역문화교류협회 회장은 "이번에 중단한 관세 감면 품목 중 주로 기계 분야와 석유화학,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등 대부분이 전통 산업과 관련이 있다"며 “석유화학 분야에 집중된 이전 품목에 비해 규모가 훨씬 커져 중소기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산업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대만 시사평론가 지웬지(介文汲)는 대만이 본토 수출에 대한 '무관세' 특혜가 폐지되면 대만 내 제조업체들은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중소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 제조업체는 어쩔 수 없이 생산기지를 본토와 동남아시아로 이전할 수밖에 없고, 본토 시장만 진출하고 이전할 수 없다면 공장 문을 닫아야 할 수도 있으며 종업원이 많은 전통산업이 문을 닫으면 실업의 물결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 여론조사, 서구인의 6%만이 미국이 유럽 안보를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
    [동포투데이]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 중 극소수만이 향후 10년 동안 자국의 안보를 보장해 줄 것이라고 신뢰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기관 유고브 (YouGov)는 4월 8일부터 15일까지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에서 3,360명이 참여한 가운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그중 6%만이 미국이 향후 10년 동안 유럽의 안보를 보장하는 데 있어 '매우 신뢰할 수 있다'라고 믿고 있는 반면, 미국인의 24%는 매우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나 선임연구원은 "연간 조사에서 이 문제가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의 저항을 강력히 지지한 지 2년이 지나면서 이 비율은 충격적일 정도로 낮아졌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큰 기여를 해왔지만 서유럽인의 6%만이 미국이 매우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미국에 대한 신뢰가 부족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한나는 나토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원조를 낭비라고 표현하며 미국에 불공평하다고 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때문에 사람들이 미국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대다수 서유럽인과 미국인들은 미국이 유럽에 주둔하는 병력을 유지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유럽 방위의 주요 책임을 미국이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오랫동안 국가 안보 계획을 요구해 온 프랑스에서는 31%가 유럽이 자체적으로 국방을 관리하고 미국과 '보다 중립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해 다른 국가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 세계에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인 국가 원수를 묻는 질문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소수의 표만 받았다. 반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독일인의 33%와 프랑스인의 25%가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였다고 답해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 기념행사... 미-영 압력에 러시아 초청 취소
    [동포투데이] 프랑스는 오늘 제2차 세계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한다. 프랑스는 당초 이 행사에 러시아 대표단을 초청했지만, 미국과 영국의 문제 제기로 막판에 마음을 바꿔 러시아를 초청하지 않았다. 최근 러시아와 서방은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2차 세계대전의 역사적 서술조차도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늘 프랑스 북서부 노르망디에 고위 인사들과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모일 예정이다. 주최 측은 지난 4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올해 초청하지 않지만, 2차 대전에서 소련의 역사적 역할을 고려해 일부 러시아 대표를 초청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초 프랑스 측은 프랑스 주재 러시아 대사를 초청할 계획이었으나 미국, 영국, 제2차 세계대전 동맹국 관계자들이 충격에 빠져 의문을 제기했다는 사실이 미국 언론에 보도되자 프랑스 측은 러시아 측을 초청하지 않는 것으로 입장을 바꿨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5월 말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과 최근 몇 주 동안의 전투 격화를 고려하여 "현재 상황은 러시아를 참여시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과거 러시아가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행사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소련이 유럽 동부 전선에서 나치 독일의 대규모 군대를 막아 2차 세계대전 종전에 큰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창인 시기에 러시아 대표를 초청하는 것은 국제사회에 잘못된 인상을 주고 외교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소련 홍군이 나치에 대한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에 대해 항상 존경을 표해 왔으며 러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구소련 공화국들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0년 5월 백악관은 소셜 플랫폼에 제2차 세계대전 유럽 전역의 승리를 축하하는 게시물을 게시하면서 소련을 언급하지 않고 미국과 영국이 나치를 물리치고 최후의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했다.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약 16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개시하며 나치 독일에 대한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고, 역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작전을 펼쳤다. 오늘 기념식에는 약 4,500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약 200명이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로서 대부분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출신이다. 그중에는 틱톡에서 7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101세의 미군 참전용사 제이크 라슨도 포함되어 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기념식에 참석해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전투 사이의 공명"을 강조할 예정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찰스 3세 국왕 부부 윌리엄 왕세자, 윌프레드 신 영국 총리,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귀빈으로 참석한다. 오늘 오후 1시(현지 시간)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그해 오마하 해변에서 독일군의 강력한 공격으로 미군이 많은 사상자를 낸 오마하 해변에서 국제 기념식을 주재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日 언론 “중국서 홍색 관광 유행”
    [동포투데이] 중국에서 '홍색 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다. 지지통신은 2일 중국 공산당(CPC)의 역사와 관련된 '홍색 관광'이 중국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국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을 배경으로 공산당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도매우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중후반, 마오쩌둥은 장시성 징강산에 혁명 근거지를 세웠다. 한 40대 여성이 당시 공산당의 역사를 사진으로 전시한 징강산 혁명 박물관을 방문했다. 그녀는 인터뷰에서 "당과 마오 주석의 위대함에 감명을 받았고, 아이들과 함께 다시 방문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중국은 1990년대부터 공산당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관을 개관하는 등 '애국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고전적 홍색 관광지 수는 10년 전보다 3배 증가한 300곳에 이르렀다. 과거에는 단체로 홍색 관광지를 방문했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별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중미 관계가 긴장되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심이 고양되고 방문객 수가 늘어났다는 분석도 있다. 징강산 거리에는 마오쩌둥 주석의 초상화 배지와 기타 상품이 진열된 상점들이 눈에 띈다. 군모를 쓴 한 20대 여성은 "멋지지 않아요? 여기 오면 꼭 하나 사야죠"라고 말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의 '홍색 관광' 시장이 향후 1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대체로 미중 관계 침체에도 불구하고 애국심을 바탕으로 한 '홍색 경제'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방 언론에서는 중국의 '홍색 관광'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징강산 혁명박물관에서 만난 한 40대 남성은 "중국은 중국의 입장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中, ‘대리 임신’ 법률과 도덕상 용납할 수 없어
    ▲대리모 파양 사건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의 중국 女배우 정솽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중국의 女스타가 미국으로 건너가 대리 출산을 시도하다 중도에 '파양'하고 귀국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대리 임신’이 또 다시 공중의 시야에 들어왔다. 논란의 주인공은 중국 여배우 정솽(鄭爽·30)이다. 그녀는 프로듀서 장헝(張恒·31)과 아이 둘을 낳으려 했다. 2019년 미국으로 건너간 이 두 사람은 미국에서 대리모 2명을 구했으나 아이들이 태어나기 전 헤어졌다. 대리모들은 그해 12월, 이듬해 1월 각각 아이를 출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은 장헝이 지난 18일 웨이보에 ‘미국 네바다주 인구등록 출생증명서’와 아이사진을 공개하고 정솽의 대리모 ‘파양’ 사실을 폭로하면서 밝혀졌다. 장헝은 두 아이를 돌보느라 미국에 체류 중이라면서 미국 시민권자인 아이들이 중국으로 가기 위해선 정솽의 동의가 필요한데, 정솽이 거부하고 있어 중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호수에 던진 돌덩이 하나가 수많은 물결을 일으키게 한다’고 ‘대리 임신’ 배후의 법률과 도덕윤리의 문제는 순식간에 많은 네티즌들의 사고와 토론을 불러일으켰다. 확실한 것은 중국에서 ‘대리 임신’ 행위는 명확히 금지되어 있다는 것. 중국 위생부는 일찍 2001년 출범한 ‘인류 보조생식기술 관리 방법(人类辅助生殖技术管理办法)’에서 인류 보조생식기술의 응용은 마땅히 의료기관를 통해 진행되어야 하며 의료의 목적으로 국가의 계획생육 정책에 부합되게 윤리의 원칙과 해당 법률 규정에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고 명확하게 규정했다. 그 어떤 형식의 배정자 거래, 접합자(合子)와 배아(胚胎) 등을 금지하며 의료기관은 그 어떤 형식의 대리 임신 기술을 실행하지 말아야 한다. 19일 오후, 중국 공청단 중앙에서는 "중국에서는 '대리 임신' 금지를 명문화했다"고 언급하고 나서 목전 향해지고 있는 '대리 임신' 수술 해당 기관에 대해서는 모두 위법으로 처리한다고 명시했다. 당일, 중국 CCTV, 웨이보 또한 이 사건을 갖고 성명을 발표, 이전에 한 대리모가 ‘반품’ 당하는 일이 발생했고 이어 유명 연예인이 아기 양육 포기가 의심되는 사건도 발생했다면서 음성 녹취에는 “낙태도 할 수 없고 진짜 미칠 지경이다”라는 내용이 들어 있어 사람들의 분노를 자아내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CCTV는 “'대리 임신' 금지는 중국에서 명문화되었으며 이는 생명을 무시하는 치가 떨리는 일”이라고 언급, 남아를 낳기로 한 대리모가 여아를 임신하면 강제로 낙태 혹은 태아가 기형아로 되지 않으면 버려지는 인권침해 등은 법률과 도덕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1-21
  • 바이든 제46대 미국 대통령에 취임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미국 현지시간으로 20일 정오, 미국 대통령 당선자인 민주당의 조 바이든의 대통령 취임식이 워싱턴에서 있었으며 바이든은 선서한 뒤 정식으로 미국의 제4 대 대통령에 취임했다고 당일 CNN방송이 보도했다. 당일의 취임식은 미 연방 대법원 수석 판사 로버트가 주최, 바이든은 로버트의 안내 하에 취임선서문을 낭독하였고 이어 취임연설을 발표하였다. 이 날의 취임식에는 전 대통령들인 버락 오마바, 조지 부시, 빌 클린턴 등이 참석했다. CNN방송에 따르면 당일 취임 시 바이든은 가정에 소장하고 있던 성경을 사용, 바이든은 2009년과 2013년 당시 부통령 취임 시에도 이 성경책을 사용했다. 그리고 당일 미국 부통령으로 당선된 카마라 해리스도 선서한 뒤 정식으로 미국 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녀는 의회 경찰의 안내 하에 취임식 현장에 들어왔다. 한편 당일 이미 백악관을 떠난 트럼프는 ‘공군 1호’ 비행기에서 잠깐 바이든 취임식의 생방송을 시청, 부통령 펜스가 취임식장에 나타나고 바이든이 나타날 즈음이 되자 트럼프는 비행기에서 내렸다고 한다. 이에 앞서 CNN 방송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올해 미국의 대통령 취임식은 이전의 취임식과는 별도로 선서의식은 방역규칙이 엄격하게 준수되었고 오찬과 대통령의 순시 및 취임 무도회 등 전통 활동 역시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되었다. 취임식이 끝난 뒤 바이든 부부는 관례에 따라 의회 의사당으로부터 직접 백악관으로 향발, 다르다면 거리 양켠의 호위대가 이전의 환영하는 ‘인산인해’의 광경을 대체한 것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1-01-21
  • 中, 20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144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20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新疆)생산건설병단에서 144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21일 전했다. 이중 해외 역유입 확진자는 상하이 9명, 천진 5명, 베이징 1명, 후베이 1명, 광둥 1명, 광시 1명을 포함하여 18명이고 본토 확진자는 126명으로 헤이룽장 68명, 지린 33명, 허베이 20명, 베이징 2명, 산시 2명, 산둥 1명이다. 추가 사망자는 없으며 의심환자 5명은 해외 역유입 감염자로 상하이에서 보고됐다. 이날 퇴원한 완치자는 19명, 의학적 관찰 대상에서 해제된 밀접접촉자는 1246명이었으며 중증환자는 전날보다 6명 늘었다. 홍콩·마카오·대만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731명으로 집계됐다. 그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 9천797명(퇴원 8천865명, 사망 166명), 마카오특별행정구는 46명(퇴원 46명), 대만 지역은 870명(퇴원 769명, 사망 7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1-21
  • 2020년 中 농민공 월평균 수입 4072위안
    [동포투데이]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한 2020년 중국 경제년간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농민공은 2억 8560만 명에 달해 지난해에 비해 517명 감소되고 농민공의 월평균 수입은 4072위안으로 지난해에 비해 2.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인민일보가 보도했다. 인민일보의 기사는 한동안 가사도우미, 건축노동자 등 육체 근로자의 월급이 정신노동자보다 높다는 잘못된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농민공의 높은 임금에 대한 대중의 관성적 연상을 불러일으켰으며 심지어 일부 사람들로부터 ‘공부가 쓸모없다’는 탄식도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사는 농민공 월평균 수입 4072위안은 농민공이 더는 동질성을 띤 전체가 아니라 나이와 교육수준, 노동기능과 노동경험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개체임을 설명하고 있다며 소수의 택배기사, 기술직 노동자의 월급이 만 위안 이상인 것을 보고 농민공이 돈을 버는 것은 매우 쉽다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강조했다. 기사는 또 적지 않은 농민공의 수입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기복이 크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일부 복장공장의 농민공을 예로 든다는 공장 주문이 많은 ‘성수기’에는 월급이 만 위안을 넘지만 공장 주문이 적은 ‘비수기’에는 월급이 몇천위안 심지어 더 적게 받기도 한다. 게다가 일부 농민공들의 높은 임금 배후에는 장기간의 강도 높은 노동과 고생이 동반하고 있다. 다시 말해 ‘하늘에서 떡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노동시장에서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보상과 격려라고 밝혔다. 농민공 월평균 수입 4072위안 이라는 것은 마치 거울과도 같이 일정한 정도에서 농민공의 생존생태가 부단히 개선되고 최적화되고 있음을 설명하지만 동시에 적지 않은 성장공간을 가지고 있고 노동이 더 가치가 있고 노동자가 더 존엄이 있도록 해나가야 하는 것이라고 기사는 전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1-20
  • [COVID-19] 연변, KTV·PC방·술집·오락실 등 임시 휴업
    [동포투데이] 연변자치주 코로나19 예방·통제 판공실은 코로나19 예방·통제를 강화하고 주민들의 생명안전을 수호하고 당면當面) 전염병 예방·통제 수요에 근거해 KTV, PC방, 안마원, 사우나, 주점, 실내 오락실 등 시설은 임시 휴업에 들어간다고 19일 통보했다. 1. 전 주 KTV, PC방, 안마원, 사우나, 주점, 실내 오락실 등 모든 시설은 임시 휴업한다. 2. 이발소, 슈퍼마켓, 농업무역시장 등 장소는 방호조치를 강화 하고 집결성 행사를 엄격히 관리 통제한다. 3. 혼사는 미루어 치르고 상사는 간단히 치르며 연회는 열지 않을 것을 창의한다. 4. 전염병 예방·통제 기간 강좌, 강습, 무료 진료, 회의 소집, 집결성 판매, 집회 등 형식으로 조직하는 오프라인 경영 판매활동을 엄금한다. 5. 해당 규정을 집행하지 않는 자에 대해서는 공안기관 등 해당 부문에서 법에 따라 엄숙히 처리한다. 한편 연변자치주는 지난해 2월 5일 이후 코로나19 확진환자가 단 한 명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중국에서 코로나 청정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현재까지 연변에서 보고 된 누적 확진환자는 총 5명으로 지난해 2월 24일까지 모두 완치 퇴원하였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1-20
  • 미국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40만 명 초과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전 세계 코로나 누적19 확진자가 9400만 명을 추월한 가운데 미국의 코로나19 누적 사망자가 40만 건을 초과하고 누적 확진자가 2400만 명을 돌파하였다고 19일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코로나 19 최신 통계에서 밝혀졌다. CNN방송에 따르면 미국은 여전히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누적 사망자와 확진자가 가장 많은 나라로 이 중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가장 많은 주로는 캘리포니아주로 300만 5830명, 그 뒤로는 텍사스주로 212만 7745명이다. 그리고 폴로리다주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157만 명을 초과했고 다음으로 뉴욕주 125만 명, 일리노이주가107만 명을 초과했다. 지난 해 11월 3일 이래 미국의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연속 10만 명 이상을 기록, 2021년 1월 1일에 누적 확진자가 2000만 명을 초과했으며 2000만 명에서 2400만 명까지 걸린 시일은 17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1-01-20
  • 中, 19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103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19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新疆)생산건설병단에서 103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20일 전했다. 이중 해외 역유입 확진자는 상해 4명, 광동 3명, 저장 2명, 쓰촨 2명, 산시 2명, 톈진 1명, 푸젠 1명을 포함하여 15명이고 본토 확진자는 88명으로 지린 46명, 허베이 19명, 헤이룽장 16명, 베이징 7명이다. 추가 사망자와 의심환자는 없는 것으로 보고됐다. 이날 퇴원한 완치자는 17명, 의학적 관찰 대상에서 해제된 밀접접촉자는 2천102명이었으며 중증환자는 전날보다 1명 늘었다. 홍콩·마카오·대만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634명으로 집계됐다. 그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 9천720명(퇴원 8천828명, 사망 165명), 마카오특별행정구는 46명(퇴원 46명), 대만 지역은 868명(퇴원 766명, 사망 7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1-20
  • 中 장시 난창 열차보수 정비로 오는 춘윈 대비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16일, 인민망에 따르면 2021년 춘윈(春运) 기간 열차 운행의 양호한 상태를 확보하고저 중국철도 난창국그룹(南昌局集团) 난창차량단에서는 사전에 통일적으로 점검과 보수 및 정비 작업을 개시, 배속된 각 유형 열차의 설비시설에 대해 전면적으로 점검, 보수와 정비하는 것으로 오는 춘윈의 인구대이동을 맞을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5일 기계사들이 장애물 제거기의 암나사를 바꾸고 있는 작업 모습이다.(사진=인민망)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1-19
  • 中 푸젠서 처음으로 공룡 존재의 증거 발견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일전 중국 푸젠성(福建省)에서 마련한 브리핑에서 입수한 데 따르면 푸젠성 룽옌시 상항현 린청진 룽샹촌(龙岩市上杭县临城镇龙翔村)에서 대규모로 되는 백악의 공룡(晚白垩世恐龙) 발자국 흔적을 발견, 이는 푸젠성에서 공룡 및 그 유적의 첫 발견으로 되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 발자국 흔적은 베이징에 있는 중국지질대학교와 푸젠성 잉량 석재 자연역사박물관(英良石材自然历史博物馆)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합 고찰팀이 지난 해 11월에 발견, 목전 이미 공룡 발자국 240개를 청리, 여기에는 초식도마뱀류(植食性蜥脚类), 대형 조각류(鸟脚类), 소형 조각류, 육식성 대형 세 발가락형 수각류(肉食性大型三趾型兽脚类), 양 발가락형 자갈치류(两趾型恐爪龙类), 소형 수족류(兽脚类) 등 8가지 종류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 역시 만백벽세대 공조룡류(晚白垩世大型恐爪龙类) 행적의 중국 내 첫 발견으로 되고 있다. 중국 지질대학교 싱리다(邢立达) 부교수에 따르면 이런 발자국들을 보면 그 길이가 8cm로부터 55cm까지 크기가 부동했다. 그리고 이런 발자국들을 보아 공룡의 몸길이는 1m로부터 10m에 이르기까지 역시 같지 않았으며 1600제곱미터가 되는 구역에서 수많은 종류의 풍부한 공룡의 흔적을 발견할 수가 있었다. 이는 당시의 생태환경과 공룡활동을 연구함에 있어서 중요한 학술적 가치가 있다고 싱리다 부교수는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1-19
  • 中 구이저우 더우안 고속도로 윈우대교 접합 성공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18일, 중국 구이저우 교량그룹에서 도맡아 건설하는 더우윈(都匀) - 안순(安顺) 고속도로 윈우대교(云雾大桥)가 접합에 성공했다고 당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윈우대교는 구이저우성 구이딩현 윈우진(贵州省贵定县云雾镇) 경내에 위치, 총체의 길이가 1720미터이고 2개의 솔탑이 세워져 ‘H’형 철근콘크리트 결구로 시공되었으며 높이는 각각 273미터와 300미터에 달하는바 이 다리는 더우윈 - 안순 고속도로의 통제성이 가장 큰 프로젝트로 되고 있다. 이 대교의 성공적인 접합은 구이저우와 윈난(云南) 2개성의 거리를 단축시키고 이들 지구의 경제사회발전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의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18일 접합에 성공한 뒤의 윈우대교의 모습이다.(사진=신화사)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1-19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