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6(목)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美 총기 소유율 25년 만에 최고치 경신
    [동포투데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과 2021년에는 타살, 자살, 우발적 부상을 포함한 총기 피해는 1~19세 미국 어린이 및 청소년의 주요 사망 원인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아프리카계이라고 밝혔다. 미국 미네소타대(University of Minnesota)가 최근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메디슨에 발표한 연구보고에서도 이 같은 결과를 반영했다. 연구팀은 1999년부터 2022년까지 CDC의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미국 청소년들의 총기 관련 사망자가 35% 증가했으며 그중 아프리카 청소년들의 증가율이 현저히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하버드 대학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보건 정책 교수인 데이비드 헤맨웨이는 이 현상은 20년 동안 미국의 일부 주에서 총기 취득 범위를 확대하기로 한 결정과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4%에 불과하지만 총기 자살은 전 세계의 35%, 총기 타살은 전 세계의 9%를 차지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총기에 사망할 가능성은 백인보다 12배 높다. 지난 25년 동안 총기 규제 법률은 지속적으로 약화되었지만 이러한 상황은 바뀔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NBC뉴스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총기 소유율은 최근 25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유권자의 52%가 총을 소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이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총기 소유율을 기록했다. 한편, 하버드대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권자의 60%가 총기 소지는 자기 방어를 위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범죄가 줄어들고 있는지, 악화되고 있는지,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유권자의 42%는 상황이 더 나빠졌다고 답했고 21%만이 상황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했다. 헤맨웨이 교수는 “지난 25년 동안 총기 사망자는 급격히 증가한 반면 다른 부유한 나라들의 평균 총기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다”며 “미국은 지금 점점 다른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6
  • 중국 134개 품목 관세 감면 중단, 책임은 민진당 당국에 있어
    [동포투데이] 지난 5월 30일 국무원 관세규정위원회는 6월 15일부터 대만 발 윤활유 기초유 등 134개 품목 수입품에 대해 '양안경제협력기본협정(ECFA) 협정 세율 적용을 중지하고 현행 관련 규정에 따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공고했다. 이는 본토가 지난해 12월 21일 ECFA에 따라 프로필렌을 포함한 12개 세금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취한 추가 조치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31일 대만지역 당국이 장기간 일방적으로 대륙(중국)에 차별적인 무역 제한을 가하는 것은 ECFA 중 '양안 간의 실질 다수 화물 무역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점진적으로 줄이거나 제거한다'는 규정을 위반하였고 양안 기업의 이익은 물론 양안 동포들의 복지를 해친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2023년 12월 21일 대륙이 ECFA에 따른 프로필렌 등 12개 품목 관세 감면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후, 대만지역 민진당 당국은 대륙에 대한 무역규제를 폐지하기 위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대만 독립'을 고취하고 양안의 대립을 선동하여 ECFA 시행의 기반을 심각하게 훼손하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륙 당국이 ECFA 일부 품목의 관세 인하를 추가 중단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 원인이라고 선을 그었다. 가오쿵롄(高孔廉) 해협 경제무역문화교류협회 회장은 "이번에 중단한 관세 감면 품목 중 주로 기계 분야와 석유화학,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등 대부분이 전통 산업과 관련이 있다"며 “석유화학 분야에 집중된 이전 품목에 비해 규모가 훨씬 커져 중소기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산업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대만 시사평론가 지웬지(介文汲)는 대만이 본토 수출에 대한 '무관세' 특혜가 폐지되면 대만 내 제조업체들은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중소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 제조업체는 어쩔 수 없이 생산기지를 본토와 동남아시아로 이전할 수밖에 없고, 본토 시장만 진출하고 이전할 수 없다면 공장 문을 닫아야 할 수도 있으며 종업원이 많은 전통산업이 문을 닫으면 실업의 물결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 여론조사, 서구인의 6%만이 미국이 유럽 안보를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
    [동포투데이]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 중 극소수만이 향후 10년 동안 자국의 안보를 보장해 줄 것이라고 신뢰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기관 유고브 (YouGov)는 4월 8일부터 15일까지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에서 3,360명이 참여한 가운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그중 6%만이 미국이 향후 10년 동안 유럽의 안보를 보장하는 데 있어 '매우 신뢰할 수 있다'라고 믿고 있는 반면, 미국인의 24%는 매우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나 선임연구원은 "연간 조사에서 이 문제가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의 저항을 강력히 지지한 지 2년이 지나면서 이 비율은 충격적일 정도로 낮아졌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큰 기여를 해왔지만 서유럽인의 6%만이 미국이 매우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미국에 대한 신뢰가 부족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한나는 나토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원조를 낭비라고 표현하며 미국에 불공평하다고 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때문에 사람들이 미국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대다수 서유럽인과 미국인들은 미국이 유럽에 주둔하는 병력을 유지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유럽 방위의 주요 책임을 미국이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오랫동안 국가 안보 계획을 요구해 온 프랑스에서는 31%가 유럽이 자체적으로 국방을 관리하고 미국과 '보다 중립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해 다른 국가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 세계에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인 국가 원수를 묻는 질문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소수의 표만 받았다. 반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독일인의 33%와 프랑스인의 25%가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였다고 답해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 기념행사... 미-영 압력에 러시아 초청 취소
    [동포투데이] 프랑스는 오늘 제2차 세계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한다. 프랑스는 당초 이 행사에 러시아 대표단을 초청했지만, 미국과 영국의 문제 제기로 막판에 마음을 바꿔 러시아를 초청하지 않았다. 최근 러시아와 서방은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2차 세계대전의 역사적 서술조차도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늘 프랑스 북서부 노르망디에 고위 인사들과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모일 예정이다. 주최 측은 지난 4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올해 초청하지 않지만, 2차 대전에서 소련의 역사적 역할을 고려해 일부 러시아 대표를 초청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초 프랑스 측은 프랑스 주재 러시아 대사를 초청할 계획이었으나 미국, 영국, 제2차 세계대전 동맹국 관계자들이 충격에 빠져 의문을 제기했다는 사실이 미국 언론에 보도되자 프랑스 측은 러시아 측을 초청하지 않는 것으로 입장을 바꿨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5월 말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과 최근 몇 주 동안의 전투 격화를 고려하여 "현재 상황은 러시아를 참여시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과거 러시아가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행사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소련이 유럽 동부 전선에서 나치 독일의 대규모 군대를 막아 2차 세계대전 종전에 큰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창인 시기에 러시아 대표를 초청하는 것은 국제사회에 잘못된 인상을 주고 외교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소련 홍군이 나치에 대한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에 대해 항상 존경을 표해 왔으며 러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구소련 공화국들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0년 5월 백악관은 소셜 플랫폼에 제2차 세계대전 유럽 전역의 승리를 축하하는 게시물을 게시하면서 소련을 언급하지 않고 미국과 영국이 나치를 물리치고 최후의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했다.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약 16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개시하며 나치 독일에 대한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고, 역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작전을 펼쳤다. 오늘 기념식에는 약 4,500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약 200명이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로서 대부분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출신이다. 그중에는 틱톡에서 7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101세의 미군 참전용사 제이크 라슨도 포함되어 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기념식에 참석해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전투 사이의 공명"을 강조할 예정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찰스 3세 국왕 부부 윌리엄 왕세자, 윌프레드 신 영국 총리,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귀빈으로 참석한다. 오늘 오후 1시(현지 시간)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그해 오마하 해변에서 독일군의 강력한 공격으로 미군이 많은 사상자를 낸 오마하 해변에서 국제 기념식을 주재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日 언론 “중국서 홍색 관광 유행”
    [동포투데이] 중국에서 '홍색 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다. 지지통신은 2일 중국 공산당(CPC)의 역사와 관련된 '홍색 관광'이 중국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국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을 배경으로 공산당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도매우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중후반, 마오쩌둥은 장시성 징강산에 혁명 근거지를 세웠다. 한 40대 여성이 당시 공산당의 역사를 사진으로 전시한 징강산 혁명 박물관을 방문했다. 그녀는 인터뷰에서 "당과 마오 주석의 위대함에 감명을 받았고, 아이들과 함께 다시 방문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중국은 1990년대부터 공산당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관을 개관하는 등 '애국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고전적 홍색 관광지 수는 10년 전보다 3배 증가한 300곳에 이르렀다. 과거에는 단체로 홍색 관광지를 방문했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별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중미 관계가 긴장되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심이 고양되고 방문객 수가 늘어났다는 분석도 있다. 징강산 거리에는 마오쩌둥 주석의 초상화 배지와 기타 상품이 진열된 상점들이 눈에 띈다. 군모를 쓴 한 20대 여성은 "멋지지 않아요? 여기 오면 꼭 하나 사야죠"라고 말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의 '홍색 관광' 시장이 향후 1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대체로 미중 관계 침체에도 불구하고 애국심을 바탕으로 한 '홍색 경제'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방 언론에서는 중국의 '홍색 관광'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징강산 혁명박물관에서 만난 한 40대 남성은 "중국은 중국의 입장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中 인민법원 薄熙来(박희래)에 대한 재판 시작
    2013년 8월 22일 반부패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박희래 안건이 산동성 제남 중급인민법원 제5심판정에서 재판에 들어갔다. 전 중경시 당서기였던 박희래는 뇌물 수수, 공금 횡령, 직권 남용 혐의로 기소되였다. 그중 2000년~2012년 대련시인민정부 시장,중공대련시위서기,료녕성인민정부 성장,상무부 부장 시절 부인과 아들을 통하여 대련국제발전유한공사와 대련실덕그룹으로부터 뢰물로 2179.0587만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늘(22일) 재판에서 박희래는 일부 수뢰혐의를 부인했다. 법정에 출두한 박희래에게는 수갑이 채워지지 않았다. 현재 재판장 재판모습이 이 법원이 운영하는 웨이보를 통해 시차를 두고 조금 늦게 중계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8-22
  • 중국 월평균 임금 72만원
    광저우 5313元으로 가장 높아北京-南京-深圳-苏州 순, 상하이 9위 최근 중국 주요도시의 노동행정부문이 2012년도 월 사회평균임금을 발표했다. 중국 평균 임금은 3966위안(한화 72만2800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곳은 광저우(5313위안), 베이징(5223위안), 난징(5034위안)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하이는 4692위안으로 선전(4918위안), 쑤저우(4802위안), 둥관(4751위안), 우시(4740위안), 항저우(4701위안)에 이어 아홉번째로 높은 도시로 집계됐다. 사회평균임금은 기업 및 국가 사업단위(공공사업체) 등의 직공이 일정 기간 내 취득한 화폐소득액의 1인당 사회평균임금을 말한다. 해당 도시의 사회평균임금은 도시별 사회보험납부 상한•하한 설정 및 공상(산재)사고 배상금 기준 등의 기초 데이터로 사용된다. 지방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개인사업자(个体工商户)나 사영기업 직원을 제외하고 통계를 집계한다. 실제 해당연도 도시 주민의 평균임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인다. 임금 총액은 세전임금 기준이며, 성과급, 상여금, 수당, 보조금, 잔업비 및 개인 납부 사회보험비와 주방공적금(주택적립금)도 포함된다. 또 사회평균임금은 사회보험과 주방공적금의 납부기수의 상한과 하한선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사회보험의 납부기수는 일반적으로, 소재 도시의 전년도 사회평균임금의 300%를 상한, 60%를 하한으로 설정한다. (단, 40% 하한 등 독자적인 하한 기준을 운용하는 지방도 존재함.) 주방공적금의 납부기수는 통상, 소재 도시의 전년도 사회평균임금의 300%를 상한, 하한은 소재시의 전년도 최저임금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8-18
  • 中 연말까지 주민신분증 지문등록 전면실시
    중국에서 일전에 유실되거나 도난당한 신분증이 인터넷에서 불법거래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공안부치안관리국 관계자는 타인의 신분증을 거래하거나 도용하는 행위가 모두 법률의 제재를 받는다고 지적. 공안기관은 연초부터 주민신분증의 지문정보등록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새로 개정한 "주민신분증법"은 신분증 유효기간 만료나 분실·훼손 등의 사유로 공민이 재신청 또는 교체신청 시 지문정보를 등록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주민신분증에 지문정보를 등록하면 신분증의 위조를 방지하는 성능이 강화된다. 한편 신분확인이 필요한 부처에서 주민과 증명서의 통일성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타인 신분증을 도용하는 등 위법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1만 6천여개 파출소가 주민신분증의 지문정보 등록업무를 시작했고 올해 연말까지 전국적 범위에서 이 업무를 전개하게 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8-17
  • 中 동북 대 홍수. 장춘,심양,할빈 도심 물에 잠겨
    8월 15일부터 16일에 이어 동북 여러지역에 집중폭우와 장마비가 쏟아진가운데 장춘,길림,심양 등 도시 도심은 무릎을 치는 비물에 잠겼다. 길림성에서는 길림시,연변주,료원시,통화시,백산시,사평시 등 6개 지구의 23개 현시구 115개 향진이 피해를 입어 8만여명이 대피,7명이 실종된가운데 그중 화전시(桦甸市)에서는 이미 11명이 사망하고 3명이 실종됐다.백성시 월량포저수지(白城市的月亮泡水库) 저수량은 비물로 위험수위를 훨씬 넘겨 군이 동원되여 방재하고 있다. 흑룡강성에서는 1998년이래의 최대 홍수가 발생하였으며 197.76만명이 피해를 입고 그중 11명이 사망,3명이 실종됐으며 14만명이 대피이주됐다. 할빈에서 목단강,수분하,치치할,가목사로 통하는 19개의 렬차가 현재 운행을 정지한 상태이다 .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8-17
  • 2013년 상반기 중국 부동산 10대 키워드
    1. 清房(부동산 조사)2013년 초 안후이(安徽)성이 시행한 주요 부동산 실태 조사는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켰다. 허페이(合肥)시 부동산 실태 조사 판공실은 성 내 당정 간부 소유 부동산에 대해 파악에 들어갔다. 자가 건축 주택, 증개축 주택, 공동출자 주택 등의 보유 수를 파악했다. 하지만 분양 주택, 오피스, 상가 등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타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부정부패가 발각된 자에 한해 부정축재 재산 파악 차원에서만 시행되어 왔다. 2. 海砂楼(바다 모래 아파트)2013년 3월 13일 중국 중앙TV 고발 프로그램인 3•15는 션전(深圳)시 한 아파트가 바다모래로 지어졌다고 폭로했다. 화룬(华润)그룹이 건설한 이 아파트는 벽면이 갈라지고 우천 시에는 빗물이 스며드는 등의 문제가 지적돼 왔다. 바다모래 함량이 높을 경우 건축물 철구조물의 부식을 촉진해 붕괴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중앙TV는 션전에는 바다모래 건물이 비일비재 하다며 원가 절감을 위한 양심없는 개발상의 문제를 지적했다. 3. 小产权房(샤오찬췐방)한국에는 없는 개념인 샤오찬췐방은 불완전한 부동산 권리로 사용자가 주택의 일부분의 권한만 갖을 수 있다. 근본적으로 사용권리만 있고 소유권리는 없어 법적으로 소유권을 보호 받지 못한다. 일부 중•소도시에 나타난 현상으로 농민주택지에 소형 건물을 지어 임대하거나 소형 호텔을 운영하고 있다. 4. 新国五条(新국5조)3월1일 신국5조 세칙이 발표됐다. 세칙에는 부동산 구매 제한, 투기억제, 중소형 부동산 공급 확대 및 시장 관리감독 강화의 내용이 담겨 있다. 5. 保障房(서민용 소형 주택)‘12•5’경제 계획 기간 동안 3600만 서민용 소형 주택을 공급하게 된다. 2011년 1000만 가구, 2012년 800만 가구, 금년에는 470가구를 건설했으며 230만 가구에 대한 건설이 시작된다. 6. 房产税(부동산 보유세 시행 확대)4월 말에서 5월 초순 경 항저우(杭州)에는 총칭(重庆), 상하이에 이어 항저우에서 부동산보유세 시행이 들어갈 예정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5월에는 부동산 관계자들이 부동산 보유세 시행 대상 지역에 항저우와 션전(深圳)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전해다. 하지만 현재까지 시행되지 않고 있다. 부동산 보유세는 부동산 소유 과정 중 일종의 납세의무다. 하지만 전국적인 시행 추진에 있어서 상응하는 세제개혁이 뒤따라야 한다. 7. 房地产泡沫(부동산 버블)중국 부동산 버블 논쟁이 최근 인터넷을 통해 또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일부에서 향후 3개월 내에 중국 부동산 가격이 반토막이 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업계 한 수장도 중국 부동산 거품론에 동의하며 토지시장을 부동산 버블의 주범으로 지적했다. 각 지역의 토지왕을 제어 한다면 주거용 부동산의 버블도 억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8. 金融八条(금융8조)리커창 총리는 6월 19일 열린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경제구조 전환과 승급을 위해 금융이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첫 주택 구입 대출, 소비 금융 등의 활성화를 통해 소비를 진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리 총리가 처음으로 첫 주택 구입 부동산 대출에 대한 견해를 밝힌 것이다. 하반기에도 이 같은 기조가 유지된다면 첫 주택 구매를 위한 실수요가 부동산 시장을 이끌 것 이다. 9. 钱荒(돈 가뭄)6월 20일 상하이A주식지수 2000포인트가 무너졌다. 중국 상업은행들의 관리 부실로 은행간 대출이자가 급등해 심각한 단기 유동성 위기를 자초했다. 이 같은 영향으로 은행주, 부동산주가의 폭락을 불렀다. 실제로는 돈 가뭄보다는 심리 공황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0. 新型城镇化(신형 도시화)6월26일 열린 제12회 전국인민대회 상무위원회 제3차 회의에서 소도시 호구 제한을 전면 개방했다. 중급 동시에서 대형 도시로 점차 확대해 농촌인구를 도시주민으로 전환시킬 예정이다. 2030년까지 도시화율이 70%에 이르게 되면 향후 20년간 농촌인구 3억여명이 도시인구로 편입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8-16
  • 中 인터넷 빠름~ 빠름~ 집에서도 100M 속도!
    중국 인터넷 속도가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차이나텔레콤(中国电信)은 중국내 가정용 광케이블 속도를 100Mbps로 높일 것이라고 발표했다고 13일 소호IT(搜狐IT)가 보도했다. 일반적으로 현재 광케이블은 8Mbps의 속도로 사용자가 무리없이 고화질의 iTV를 볼 수 있는 수준이다. 만약 각 가정마다 100Mbps의 속도로 광케이블을 이용한다면 집에서 영화감상이나 음악감상 등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모든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수준이라고 소호IT는 전했다. 차이나텔레콤은 지난 15년간 전국적으로 두 차례 광케이블 속도를 높였다. 1999년에는 56K에서 ADSL로, 2011년에는 20Mbps의 가정용 광케이블 서비스를 진행한 바 있으며 세번째를 맞는 이번 서비스는 100Mbps에 달하는 속도로 세계적인 수준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8-16
  • 中 결혼증 발급시 의식 거행할듯
    북경 8월 12일발 신화통신(기자 최정): 표에 기입하고 도장을 찍고 결혼증을 신혼부부의 손에 쥐여주기만 하면 혼인등기순서가 30초내에 완성되던 이런 혼인등록이 개변을 가져오게 된다. 기자가 12일 알아본데 따르면 민정부는 한창 혼인등록 증건발급제도를 연구보급할 예정, 혼인동록기관에서 매쌍의 신혼부부에게 결혼증을 발급하는 동시에 증건발급대청에서 증건발급식을 거행하는것을 격려하여 당사자들이 정중하고 신성한 증건발급식에서 혼인과 가정이 내포하고있는 책임과 담당을 느낄수 있게 하게 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8-16
  • 美언론, ‘Dama’란 신조어로 금 사재기한 중국 아줌마 보도
    이번주 국제 금값이 지난주보다 4% 상승한 온스당 1,334.7달러에 달하면서 3주만에 최고 기록을 쇄신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투자자와 애널리스트의 말을 인용하여 중국 국내의 금 구매 수요가 금값 상승을 주도했다고 전했다. 그 중 중국의 ‘아줌마(大妈,Dama)’ 의 역할을 결코 간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중국 황금협회가 12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중국 국내 금소비량이 385.5 t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의 구매자가 금값 하락세에 대해 민감하고 올해의 금값 하락 기회를 잡아서 황금 액세서리를 대량 사들였다고 전했다. 올 4월 ~6월 금값이 하락한 기간동안 많은 중국 소비자들은 금을 구입했다. 그중에서 중년 여성들이 대부분이어서 외신들은 ‘중국 아줌마(中国大妈)’에게 눈길을 돌렸다. ‘월스트리트저널’ 동영상 뉴스에서는 ‘大妈’의 중국어 병음을 본따서 ‘Dama’란 말을 만들어 냈고 이 단어는 중국의 금 구매에 앞장선 주역을 가리키게 됐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8-16
  • 8.15 이날을 망각할 수 없는 이유
    자료사진:1945년8월15일 히로히토 일본 천황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전쟁종결칙서’를 읽어 내리며 무조건 항복을 선언했다. 사진은 일본 천황이 의회에서 항복을 선언하는 모습이다. 신화통신 1945년8월15일 일본 천황은 무조건 항복을 선언했고 이로 일본 군국주의의 식민침략전쟁은 패배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68년이 지난 오늘, 일본 군국주의의 음산한 그림자는 아직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고 일본 정계의 우경화를 틈타 사회 전반에 드리워져 있으며 지역 평화와 안정, 번영에 심각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었다. 이는 68년 전 2차 대전 승리를 환호하던 이들이 꿈에도 짐작하지 못했던 결과다. 8월15일, 이날은 패전국인 일본이 침략의 역사를 반성하고 다시는 그런 역사를 재현하지 않겠다고 맹세하는 날이다. 하지만 이날 일부 일본 정객들은 도조 히데키등 14명의 2차대전 A급 전범의 위패를 안치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가 하면, 일부 우익인사들은 군국주의 시대 ‘황군’ 군복을 입고 군국주의 슬로건을 외치는 등 야스쿠니 신사 앞에서 별짓을 다한다. 전후 일본은 이날을 의미가 중성적이고 애매모호한 ‘종전기념일’이라고 칭했다. 소위 ‘종전일’이라 함은 일본 정부가 여러 의식에서 “일본은 더이상 전쟁을 하지 않겠다.”라며 대외적으로 선전하는 평화의 메세지로 간주돼 왔다. 하지만 일본이 취한 야스쿠니신사 참배문제에서의 잘못된 입장과 일본 정계요인의 ‘전범참배’에 대한 각종 변명, 일본의 일부 정객과 정치세력은 일본의 역사적 책임문제는 이미 해결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는 사실 일본의 침략역사를 부인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일본의 침략전쟁을 미화하는 것이다. 이날, 일본 정부의 ‘사죄’의 목소리는 점점 줄어들고 반대로 ‘전범참배’의 발길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우익보수성향의 아베정권이 이토록 활개를 칠 수 있는 것은 일본 사회의 우경화 흐름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일본과 같은 국가의 정치와 사회 분위기에서는 역사문제에 대한 깊은 반성이 결여되어 있고 우익세력에 대한 적절한 견제세력이 결핍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주변국은 일본의 외교와 안전전략의 동향을 염려할 수 밖에 없게 됐다. 동아시아와 세계 각국에게 있어서도 일본의 현재 전략과 정책동향은 전후 정치체제에서 벗어나려 안간힘을 쓰고 있고 전후 형성된 국제질서에 도전하는 것으로 비칠 수 밖에 없다. 우리가 역사를 되돌아 보는 것은 앞으로 더 잘 나아가기 위함이다. 중국은 역사를 기억하면서 성장해 왔고 세계는 역사를 존중하면서 발전해 왔다. 반면 일본 정객들이 잘못된 역사관을 끝까지 부여 잡고 고칠 줄 모르는 것은 일본이 나아갈 길에 재를 뿌리는 격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8-16
  • 누가 우리 아기를 훔쳤을가?
    최근 중국섬서성 부평현부유보건병원의 의사가 갓난아기를 팔아 사람들의 론의가 끊이지 않고있다. 6일 오후, 부평부유보건병원에서 팔린 갓난아기가 부평현공안국 특별사건심사팀에 의해 구출돼 부모님의 품속으로 돌아왔다.아기를 판 범죄혐의자 장소하는 1996년부터 부평현부유보건병원에서 근무하기 시작했고 사건발생시 산부인과 부주임직을 맡았다. 새로운 생명을 맞이하는 백의천사가 어떻게 아기를 유괴하는 범죄혐의자로 되였을가? 이 사건은 또 어떻게 폭로된것일가?7월 16일, 부평현 설진의 임산부 동씨가 현부유보건병원에서 출산중에 의사 장소하는 동씨가족에게 신생아가 “선천성전염병과 선천성장애”가 있다고 통지하며 치료를 포기하고 자신에게 일을 처리하도록 맡기라고 건의했다.동씨가족이 장소하를 믿을수 있었던것은 원래부터 서로 잘아는 사이이자 또 갓난아기의 할아버지가 장소하와 동창생이기때문이였다. 산모가 매독을 앓고있다기에 가족들은 많이 근심했고 신생아에게 매독이 있다면 산모로부터 감염된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7월 17일, 래국봉이 안해와 함께 현병원에서 검사한 결과 모두를 놀라게 했다. 결과에 따르면 산모는 전혀 매독과 B형간염에 감염되지 않았던것이다.그제야 장소하가 수상하다는것을 눈치 채고 그들은 7월 20일 파출소에 신고했다. 경찰은 바로 립건하고 조사하기 시작했다.장소하는 2만 1,600원의 가격으로 갓난아기를 산서에 있는 판모에게 팔았고 판모는 또 5만 5,000원으로 아기를 하남성 화현의 왕모에게 팔았다. 중계인의 소개에 따르면 아기는 최종 5만 9,800원으로 하남성 내황현 량장진의 주모에게 팔렸다. 갓 태여난 아기가 열흘사이에 인신매매범으로부터 세번이나 팔렸다. 마지막에 부평특별사건심사팀 경찰이 각기 산서와 하남성으로 나누어 찾아가 현지 경찰들의 협력에 의해 범죄혐의자 6명을 체포했다.아기는 돌아왔지만 사람을 경악케 하는것은 이번 사건이 시작에 불과하다는것이다. 부평현부유보건병원에서 이런 불행을 당한것이 래국봉 한집만이 아니였다. 설진 구룡촌 동붕비의 안해는 2008년 음력 12월 부유보건병원에서 남자아이를 출산했는데 그때도 장소하는 똑같은 수단으로 아기를 포기하도록 했던것이다.부평현부유보건병원에서 갓난아기를 잃어버렸던 산모 및 가족들이 뒤늦게 경찰에 신고했고 부평경찰은 지금 더 깊이있게 조사를 진행하고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13-08-15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