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2(일)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中, 달 착륙 성공! 창어 6호 달 뒷면에 착륙
    [동포투데이] 6월 2일 6시 9분, 창어 6호가 달 뒷면의 남극 아이켄 분지에 성공적으로 착륙하여 인류 탐사선이 처음으로 달 뒷면에서 샘플 채취 임무를 시작할 것이라고 2일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창어 6호는 2020년 달 정면에서 샘플 회수에 성공한 창어 5호 미션과 비교해 달 역행 궤도의 설계 및 제어 기술에 돌파구를 마련했으며, 췌차오-2호 중계위성의 지원을 받아 달 귀환 지능형 고속 샘플링, 달 귀환 이착륙 등 핵심 기술 노드를 완성할 예정이다. 창어 6호 착륙선이 탑재한 탑재체는 계획대로 작동해 과학 탐사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창어 6호의 국제 탑재물 중 ESA의 달 표면 음이온 분석기와 프랑스의 달 라돈 가스 탐지기는 곧 가동될 예정이며, 이탈리아의 레이저 각도 반사기는 배치를 완료했다. 궤도선·착륙선·상승선·재진입모듈 등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 창어 6호는 2024년 5월 3일 궤도에 진입한 이후 지구-달 이동, 달 근접 제동, 달 주변 비행, 착륙 및 하강 등의 과정을 거쳤다. 지난달 30일 창어 6호에서 분리된 착륙선과 상승기는 2일 새벽 하강을 시작해 착륙에 성공했다. 착륙선은 췌차오-2호 중계 위성의 지원과 지상 통제하에 태양날개와 지향성 안테나 전개 등 상태점검·설치작업을 수행하고, 이후 약 2일간 본격적인 채취작업을 시작해 드릴링과 로봇팔 채취 등 두 가지 방식으로 달표면 토양과 암석 샘플을 채취하게 된다. 동시에 달 뒷면 착륙 지점에 대한 현장 조사 및 분석, 달 토양 구조 분석 등 과학적 탐사를 진행해 달의 형성과 진화 역사에 대한 연구를 심화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2
  • 중국군 고위장성 “‘대만 독립’은 곧 전쟁”
    [동포투데이] 엊그제 싱가포르에서 미·중 국방장관이 회담한 뒤 샹그릴라 대화에서도 양측은 계속해서 맞대결을 벌였다.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어제 연설을 통해 중국 인민해방군이 최근 새 민주진보당 정부를 징벌하기 위해 실시한 대만을 포위하는 훈련을 암묵적으로 비판하면서 미국 측은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 억지력을 계속 유지하고 대만 해협의 현상 유지를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중국군은 즉각 기자회견을 열고 '대만 독립'은 전쟁과 다름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인민해방군은 결코 훈련과 전쟁 준비를 멈추지 않을 것이며, 외세의 간섭을 막기 위해 결코 자비를 베풀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 서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지역 평화 안정을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어제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에서 오스틴은 "유럽과 중동에서 전례 없는 분쟁이 발생하고 있지만 인도 태평양 지역은 여전히 우리의 최우선 무대이다. 아시아가 안전해야 미국도 안전하며, 이것이 바로 미국이 이 지역에 장기적으로 주둔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5월 31일 동쥔 중국 국방부 장관과의 회담을 언급하며 미국과 중국이 몇 달 안에 군사 전화 접촉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스틴은 분쟁은 협박이나 충돌이 아닌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면서 대만해협의 현상 유지와 남중국해에서 법치 유지를 지지한다"라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오스틴의 발언이 중국이 "대만 독립 분리주의 세력"을 징계하기 실시 인민해방군의 최근 대만 주변 훈련에 대한 대응이라고 지적했다. 오스틴의 발언에 대해 대화회의에 참석한 중앙군사위원회 합동참모부 부참모장 징젠펑(景建峰)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대만해협 정세가 엄중한 가운데 라이칭더 일당은 조상을 잊고 '두 국가 이론'을 적나라하게 퍼뜨리고 있다"며 "군사적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 더 강력한 능력과 더 효과적인 수단, 더 확고한 결의를 발휘해 '대만독립'이라는 오만함을 타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만 독립은 전쟁이나 마찬가지"라며 "인민해방군은 전쟁 훈련과 준비를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며 외세의 간섭을 좌절시키는 데 결코 관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징젠펑은 또 오스틴이 이른바 '인도·태평양 전략'을 고취한 것은 미국의 패권을 계속 공고히 하고 이념으로 진영을 나눠 대결에 나서겠다는 의미라고 비판했다. 이어 미국은 이 지역에 병력 배치를 늘리고 고도로 표적화 된 장기적인 훈련 활동을 수행하고 모든 방향에서 도발을 일으키고 힘을 과시하여 지역 평화와 안정을 훼손했다고 주장했다. 전날 동쥔과 오스틴은 18개월 만에 처음으로 미·중 국방장관 회담을 가졌다. 미국 측은 해방군의 최근 대만해 훈련에 우려를 표명했고, 중국 측은 미국이 '대만 독립 세력'을 향해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에 단호히 반대했다. 대만 담강대학교 린잉유 조교수는 중앙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미국 국방장관이 각각 레드라인을 그었고 어떤 라인을 지나치게 자극해서는 안 되는지 상대방에게 알려줬다고 말했다. 동쥔은 어제 샹그릴라 대화에 참석한 기하라 미노루 일본 방위상과 회담했다. 동쥔은 중국과 일본 국방부가 서로가 협력 파트너이며 서로에게 위협을 가하지 않는다는 정치적 공감대를 실질적인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하라 미노루는 댜오위다오 등을 포함해 일본과 중국 사이에 많은 안보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2
  • 러 전문가 “미·중 국방장관 회동 군사분야 균형 유지 목표”
    [동포투데이] 5월 31일 싱가포르에서 동쥔 중국 국방부 부장과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샹그릴라 대화 기간 중 회동을 가졌다. 러시아의 저명한 동방학자이자 외교관인 블라디미르 자하로프는 스푸트니크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중 국방장관 회동은 각자의 국가전략정책을 수행하는 방향 중 하나일 뿐 군사 분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대만은 워싱턴이 중국의 목을 조이기 위한 전략적 수단의 일부일 뿐, 대만의 군사적 충돌을 말할 시기는 아직 무르익지 않았으며, 대만 주변의 정세는 여전히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 자하로프는 "워싱턴의 전반적인 전략 노선은 중국에 대한 글로벌 압박이며, 대만은 중국의 목을 조이기 위한 수단의 일부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대만 해협의 상황이 긴박하긴 하지만 충돌이 임박한 상황은 아니다. 자하로프는 "양측이 아직 정치적, 군사적 측면에서 적절한 잠재력을 축적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만을 둘러싼 군사적 충돌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다. 그렇기 때문에 양측은 대규모 군사 훈련부터 협상까지 다양한 훈련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방부 장관들은 현재로서는 넘을 수 없는 레드라인을 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대만 지역 지도자 라이칭더가 5월 20일 이른바 '취임' 연설을 했고, 사흘 뒤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는 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등의 병력을 조직해 대만섬 주변에서 '합동 검-2024A' 훈련을 벌였다. 군사훈련이 끝난 지 48시간도 되지 않아 미국 대표단이 대만을 찾았다. 미국 측은 또 대만과의 관계법에 따라 대만에 대한 방어용 무기를 계속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하로프는 "대만 주변 정세는 여전히 예측하기 어렵다"며 "미국은 이 섬에 무기를 제공하고 국회 대표단을 파견해 분리주의자들과 양안 통일에 반대하는 인사들을 격려했다고 지적했다. 현지시간 5월 31일 오후 싱가포르에서 동쥔 중국 국방부 부장과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샹그릴라 대화 기간 중 회동을 가졌다고 중국 관영 CCTV가 보도했다. 미·중 국방장관이 직접 만난 것은 2022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회담에서 양국 국방장관은 미중 양국의 양국 관계, 대만 문제, 남중국해 문제, 우크라이나 위기,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충돌 등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회담에서 동쥔은 대만 문제에 대해 중국 측의 확고한 입장을 밝혔다. 동쥔은 미국이 라이칭더의 '취임'을 축하하고 대표단을 보내 '취임식'에 참석한 것에 대해 대만 문제는 순전히 중국 내정이며 외부 세력이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측이 실수를 제대로 바로잡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무력으로 대만독립을 돕지 말라'라고 촉구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2
  • 美국방장관 “중국과의 전쟁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
    [동포투데이]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달 31일에 있은 동준 중국 국방부 부장과의 회담이 만족스럽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오스틴의 발언은 미국과 중국 국방장관 간의 회담 직후에 나왔다. 그는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 정상회의에서 "모든 논의가 유쾌하지는 않겠지만 서로 계속 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이 "오산과 오해"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계속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스틴은 또 "중국과의 전쟁이 임박한 것도 불가피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오스틴은 싱가포르 '샹그릴라 대화' 안보포럼 기간 중 중국 국방장관과 만났다. 펜타곤은 중국군의 최근 대만해협 훈련과 우크라이나 주변 정세, 북한의 최근 도발에 대해 논의하면서 75분간 전문적이고 솔직한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오스틴이 중국의 러시아 군사 지원에 대한 워싱턴의 우려를 중국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스틴은 그러한 지원이 계속된다면 미국과 동맹국들은 "추가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1
  • 10개국 외무장관, 북한에 러시아로의 무기 수출 중단 촉구
    [동포투데이] 주요 7개국(G7)을 포함한 10개국 외무장관들은 북한의 러시아로의 무기 이전이 우크라이나에 악용되고 있다며 이를 규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한국, 영국, 미국, 유럽연합 외무장관은 5월 31일 북한에 무기 수출을 중단하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은 "우리 정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중요 인프라를 공격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이러한 지속적인 무기 이전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서방 동맹국들은 최근 북한과 러시아에 부과된 제재를 재확인했지만 새로운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다. 러시아는 이달 초 러시아와 북한이 군사 협력에 관여하고 있다는 서방의 주장은 부정확하며 러시아와 북한 관계는 제3국을 겨냥한 것도 아니고 지역 안보에 위협이 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했다. 성명은 북한에 모든 핵무기, 탄도 미사일 및 관련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성명은 외교적 채널만이 지속적인 평화를 이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10개국 외교 장관의 성명은 북한이 지난달 30일 훈련 중 단거리 탄도 미사일 18발을 발사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발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지휘했다. 북한은 이번 발사체는 북한군이 언제든지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적에게 인식시키고 적의 대북 무력사용 시도에 대응해 선제공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1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中 공안부, A급 수배범 10명 명단 공개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중국 공안부는 고유지(古遺址), 고묘장(古墓葬) 도굴, 석굴사(石窟寺) 석각(石刻) 절도, 고건축(古建築)과 부재 그리고 홍색문물을 훔치고 훼손하는 등 범죄행위를 타격하고 국가 문물안전을 절실히 보호하는 차원에서 13일 제6차로 A급 지명수배령을 내리고 중대 문화재 범죄 혐의자 10명을 공개수배했다. 이번 10명 A급 수배자 명단으로는 펑안(彭安), 차오샤오한(曹小寒), 저우가오찬(周高产), 차오중화(曹钟华), 옌하오(闫皓), 장더하이(张得海), 장서우융(张守永), 워이촨궈(魏传国), 왕유량(王有良), 리제(李杰) 등이다. 중국 공안부는 A급 수배자 명단을 공개하면서 사회 각계와 많은 인민 대중이 관련 단서를 제공하는 동시에 문화재 도굴, 절도, 매매 등 범죄 활동을 적발하고 관련 상황을 발견하면 즉시 제보하기를 희망하면서 단서를 제공한 제보자와 유공자에 대해서는 공안 기관에서 포상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중국 공안부에서 공개한 10명 A급 수배범 신원은 다음과 같다. 1. 펑안(彭安): 남, 1985년 10월 5일생, 호적지 주소 장시성 신위시 위수이구 아오리진 연합촌 퉈펑샤촌 29호(江西省新余市渝水区欧里镇联合村委拓棚下村29号), 신분증 번호: 360502198510053072 2. 차오샤오한(曹小寒): 남, 1974년 8월 24일생, 호적지, 장시성 펀이현 가오람시향 축산양종장 부리촌 47호(江西省分宜县高岚乡畜牧良种场布里村小组47号), 신분증 번호: 360521197408248054 3. 저우고산(周高产): 남, 1974년 4월 25일 출생. 호적지, 안후이성 쑤저우시 링벽현 샤루진 류옌촌 류옌좡 49호(安徽省宿州市灵璧县夏楼镇刘庵村刘庵庄49号), 신분증 번호: 342224197404251118 4. 자오중화(曹钟华): 남, 1984년 12월 8일 출생, 호적지: 안후이성 쉔청시 쉔저우구 리차오진 난후촌 사시조 33호, 신분증 번호: 342501198412088214 5. 옌하오(闫皓): 남, 1991년 3월 25일 출생. 호적지: 광시좡족자치구 쵄저우현 펑황향 주이시촌 샤시벤툰(广西壮族自治区全州县凤凰乡翠西村委下西边村) 08-109호, 신분증 번호: 450324199103253716 6. 장더하이(魏传国): 남 1972년 12월 24일생. 호적지: 산둥성 텅저우시 관차오진 첸장다촌(山东省滕州市官桥镇前掌大村) 13호. 신분증 번호: 37042119721224607X 9. 왕유량(王有良): 남, 1970년 3월 20일생, 호적지: 허난성 안양현 안펑향 남펑촌 (河南省安阳县安丰乡南丰村) 12호, 신분증 번호: 410522197003204716 10. 리제(李杰): 남, 1963년 2월 12일 출생. 호적지: 산시성 시안시 롄후구 샹미위안둥샹(陕西省西安市莲湖区香米园东巷) 14호, 신분증 번호: 610103196302120418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14
  • 中, 13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2명...해외 입국자 5명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3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產建設兵團)에서 7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보고된 신규 확진자 7명 중 5명(광둥 3명, 상하이 1명, 푸젠 1명)은 해외 입국자이며 2명은 본토(안후이)에서 발생했다. 추가 사망자는 없으며 의심환자는 1명(상하이)으로 해외입국자이다. 이날 퇴원환자는 13명이고 의학관찰에서 해제된 밀접접촉자는ㅍ665명이다. 중증 환자는 전날과 같은수준을 유지했다. 13일 24시까지 확진자 285명(중증 1명), 누적 퇴원자 8만5894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만0815명으로 집계됐다. 이외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3122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817명(퇴원 1만1511명, 사망 210명)이며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9명(퇴원 49명), 타이완 지역은 1256명(퇴원 1102명, 사망 12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14
  • 中 인권 미국이 제멋대로 규정하는 것 아니다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13일, 중신망(中新網)은 ‘중국 인권 미국이 제멋대로 규정하는 것 아니다’란 제목으로 된 낙수(乐水)의 글을 실었다. 다음은 기사 전문. 1991년 2월 제1차 걸프전 종전을 앞두고 당시 부시 미 대통령은 “우리는 ‘신세계 질서’를 건립 중이며 이 ‘신세계 질서’의 주요 원칙은 ‘우리의 마음대로(what we say goes)’이다”라고 의기양양하게 말했다. 걸프전의 총성은 걷힌 지 오래되지만 이러한 미국의 패권적 마음가짐에는 추호의 변함도 없다. 2020년 중미 관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주의 정책 영향권 때문에 바닥으로 떨어졌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다자주의로 빠르게 ‘복귀’하면서 중미 관계가 원래의 궤도에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다. 그러나 우리는 인츰 미국의 다자주의는 이데올로기에 기초한 ‘다자주의’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미국의 패권적 심태와 냉전적 사유가 여전히 지워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바이든 정부 출범 후 4개월 만에 미국은 유럽-아시아-오세아니아 연합 등 ‘전통적 동맹’들과 함께 인권을 핑계로 홍콩 관련, 신장 관련, 대만 관련 등 문제를 놓고 중국에 대한 비난이 빗발치게 했다. 바이든은 존슨 영국 총리에게까지 이른바 ‘민주국가’가 이끄는 대규모 인프라 계획을 세워 중국의 ‘일대일로(一带一路)’ 창의에 맞서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인권이라는 명목으로 권력을 휘두르는 것은 국제무대에서의 미국의 상투적인 수법이다. 미국 정부는 날로 심각해지는 국내의 빈부 격차, 인종 차별 등 문제에 대해서는 들은 체 만 체, 본 체 만 체 하면서도 타국에 한해서는 걸핏하면 인권방망이를 휘두른다. 1999년 미국을 비롯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인권 수호’를 이유로 유고슬라비아 연맹에 대한 군사적 폭격을 감행, 민간인 1800여 명이 숨지고 6000여 명이 다쳤으며 100만 명 가까이 난민으로 전락되게 했다. 구소련이 해체된 후 미국은 또 ‘민주개조’라는 명목으로 일부 독립 국가들에 비정부기구를 설립하여 반정부 세력을 양성, 급진 청년학생들까지 징집해 ‘컬러 혁명’을 일으키면서 관련국 내부가 파열되는 등 장기적 불안에 휩싸이게 했다. 미국의 저명한 철학자 촘 스키가 쓴 책 ‘미국이 하고 싶은 대로’에서 설명했듯이 새롭게 출현하는 그 어떤 민주도 미국의 이익에 부합해야 하는 것이었다. 사실 미국 정부는 ‘인권’과 ‘민주’를 이데올로기의 무기로 삼아 중국의 발전을 막고 억제할 뿐, 기실은 중국의 인권진보를 외면하고 있었다. 새 중국 출범 70년 만에 중국의 인권 개선은 세계가 주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문맹률이 건국 초 80% 이상에서 지금은 4% 미만으로 떨어졌고 도시와 농촌 주민의 1인당 기대수명은 1949년의 35세에서 77세로 늘어났으며 2020년에는 9899만 명의 농촌 빈곤층이 모두 빈곤에서 벗어나 절대빈곤 퇴치라는 막중한 임무를 완수하여 또 하나의 역사에 빛나는 인간기적을 창조하였다. 중국은 생존권과 발전권을 항상 최우선 인권으로 한 뒤 더 나은 삶을 추구할 자유가 있다고 여기고 있다. 이는 중국 전통 민본사상에 대한 현대적 해석이자 마르크스주의 유물관의 기본 전제이기도 하다. 사실 중국의 인권관은 서구 현대 정치사상의 자연 권력설과 모순되지 않는다. 17세기 영국의 사상가 록은 인간의 자연권리를 생명권과 자유권, 재산권으로 요약했다. 미국 독립선언문에서는 “생명권과 자유권, 행복추구권”은 박탈할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리고 기실 중국의 인권관은 서방의 자연 권력설과 사실상 맥박을 같이 하고 있다. 미국이 전통적 동맹들과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반 중국(反中) 연대’를 결성하려는 것은 자아 기만일 뿐 그 실체는 냉전적 사고에 불과한 것이다. 냉전시대는 이미 오래 전에 사라졌고 양극단의 대립도 내일에는 사람들의 냉대를 받기 마련이다. 오늘날의 세계화 시대에 들어 중국은 세계의 주요 경제국들과 ‘너 속에 내가 있고 나 속에 네가 있는’ 호혜적 관계를 맺고 있다. 미국이 세계화 흐름에 역행해 중국과 글로벌 시장의 관계를 인위적으로 갈라놓으려 한다면 자신은 물론 동맹국들의 반발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이미 유럽과 미국의 이익과 가치관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유럽은 독자적인 대 중국 정책이 있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국 또한 미국의 반 중국 정책에는 절대 따라가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 심지어 미국의 ‘5안 연맹(五眼联盟) 성원 멤버인 뉴질랜드 역시 최근 중국과의 성숙한 관계를 원하면서 ‘5안 연맹’을 ‘반 중국 연대’로 만드는 것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오늘날 워싱턴 정객들은 이 세상이 더 이상 미국의 ‘마음대로’가 아니라는 현실을 절실히 인식해야 한다. 미국은 하루 빨리 패권과 냉전적 사고를 버리고 대등한 자세로 다른 나라와 교류하고 협력할 줄 알아야 할 것이며 이 역시 ‘신세계 질서’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1-05-14
  • 中, 2021년 대졸생 909만 명 취업시장 안정세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13일, 중국 교육부가 2021년 대졸생 취업 진척 상황을 소개하는 브리핑을 마련했다. 2021년 전국 일반 대학 졸업생의 총규모는 909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만 명이 증가하였으며 현재 2021년 대졸생들의 취업 진척 상황은 전반적으로 안정되고 있다고 당일 중국 CCTV가 보도했다. 올해 교육부가 내놓은 ‘24365 스마트 일자리 플랫폼’은 2021년 대학 졸업생에게 일자리 정보 1451만 건, 이력서 3763만인 차를 누적 제공했고 별도 채용 박람회는 40회, 일자리 제공 정보는 342만 건이 넘었다. 그리고 중국 교육부가 지난해 가을학기 이래 내놓은 ‘24365 취업 공익 생방송’은 35회 개최돼 1억 800만 명이 넘는 시청자가 몰렸다. 중국 교육부는 또 고용 촉진을 위해 지난해 가을학기 이후 관련 부처와 정책성 일자리 흡수역할도 충분히 할 것으로. 공무원 채용은 중앙 조직부와 국가공무원국의 시험을 약 2개월 앞당겨 7월에 마칠 예정이며 기층 일자리 항목은 국가 교육부, 국가 인적자원 및 사회 보장부, 공청단 중앙이 각각 ‘특별 취업 프로그램’, ‘서부 지원 프로젝트’ 등 국가 기간 일자리 프로그램을 각각 가동하고 있다. 대학생 징병의 경우 중앙군사위 국방동원부의 ‘1년 2징병’ 개혁방침에 따라 1차 징집이 거의 끝났으며 대학생들의 신청상황이 매우 활약적이어서 2차 징병 신청은 이미 4월에 시작되었다. 다음 국유기업 채용은 국무원 국유자산 감독관리위위원회, 중앙라디오 TV 방송 본국 등이 공동으로 진행하면서 누적 58만9000개의 일자리를 확보했다. 그리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및 유치원 교사 채용은 8월 중으로 마무리될 예정이며 이 밖에도 석사연구생, 본과생 모집 규모를 적절하게 확대해 인재 양성에 힘쓰게 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13
  • 인도 한 대학서 18일간 교수 34명 코로나19로 사망
    인도 알리가르무슬림대학교(AMU).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12일, 인도 보건부의 최신 발표에 따르면 지난 11일 24시간 동안 인도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4만 4821명으로 집계됐고 누적 확진자는 2334만 0938명, 신규 사망자는 4205명, 누적 사망자는 25만 4197명에 달했다. 최근 18일 동안 인도 알리 가르 무슬림 대학교(AMU)에서는 최소 34명 교수가 코로나19로 사망했다. 이 중에는 현직 교수 16명, 정년퇴직 교수 18명이 포함돼 전반 대학 내 교사와 학생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고 현지 언론들이 전했다. 상황이 이 정도로 치달아 오르자 이 대학 타리크 만수르 부총장은 인도 보건부 산하의 인도의학연구이사회에 편지를 보내 “대량의 사망을 초래한 특정 변종 바이러스가 캠퍼스와 주변에 전파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타리크 만수르 부총장은 바이러스 샘플을 인도의학연구이사회 관련 부서를 지정해 분석을 의뢰했다. 하지만 이 구명 편지는 아직 답변을 받지 못한 상황이다. 한편 최근 인도 북부의 갠지스강과 그 지류인 야무나강에서 대량의 시신이 발견, 심지어 구급차에서 코로나19 환자 시신을 들고 나와 그대로 강에 버리는 의료진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13
  • 美 언론, “중국 시노백 코로나 백신 매우 효과적”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현지 시간으로 11일,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실제 연구에서 중국 시노백 코로나 백신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연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중국 시노백 백신의 실제 유효성은 시험단계의 결과보다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11일, 인도네시아 보건장관 사디킨은 인터뷰에서 “수도 의료진 2만 5374명이 제 2 차로 중국 백신을 접종한 후 28일간 상황을 추적했다”면서 “그 결과 접종이 완료된 지 7일 만에 접종자를 사망으로부터 100%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접종자의 96%가 입원치료를 피할 수도 있었다” 말했다. 사디킨은 “이들 접종자의 94%가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것은 비범한 결과”라고 하면서 “이 백신은 여러 차례 임상시험에서의 결과보다 효과가 좋았다”, “인도네시아 의료진의 입원 및 사망자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을 봤다”고 덧붙였다. 이에 블룸버그통신은 더 나아가 중국 백신의 실제 유효성이 시험단계의 결과보다 낫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인웨이둥(尹卫东) 시노박 바이오텍 수석 집행관은 “시노백 백신이 실제 활용되고 있다는 증거가 많아졌으며 코로나19 변이로 백신의 보호역할이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하면서 “시노백 백신은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를 잘 막아낸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한편 오클랜드대 백신학자인 헬렌 페투스-해리스도 “이 백신이 실제 상황에서 질병에 저항하는 능력이 임상시험보다 높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1-05-13
  • 中, 12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입국자 9명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12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產建設兵團)에서 9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보고된 신규 확진자 9명(상하이 2명, 광둥 2명, 톈진 1명, 네이멍구 1명, 산둥 1명, 쓰촨 1명, 산시 1명)은 모두 해외 입국자이다. 추가 사망자와 의심자는 없는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20명이고 의학관찰에서 해제된 밀접접촉자는 536명이다. 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1명이 늘었다. 12일 24시까지 확진자 291명(중증 1명), 누적 퇴원자 8만5881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만0808명으로 집계됐다. 이외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3094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814명(퇴원 1만1505명, 사망 210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9명(퇴원 49명), 타이완 지역은 1231명(퇴원 1097명, 사망 12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13
  • 中, 중·미 경쟁은 올림픽 정신에 부합돼야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일전, 프리먼 전 미 국방부 차관보가 기고문을 통해 미국의 대중국 무역전쟁과 같은 공격적 정책은 결국 미국이 ‘자충수’를 뒀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9일, 프리먼은 호주 동아시아 포럼에 기고한 "워싱턴이 중국과 이길 수 없는 경기를 펼치고 있다"라는 제하의 글을 통해 "미국이 중국에 대한 ‘최대의 압박’을 계속 고도화하면서 중국을 약화, 억제시키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의 군용기와 군함은 늘 중국 국경 부근에서 서슬 푸르게 순찰을 하지만 중국 함재기는 미국 해안에 나타나지 않았고 중국 주변에는 미군 기지가 즐비한 반면 미국 인근에는 중국 기지가 없다"고 언급했다. 또한 "미국이 계속 이런 식으로 중국과 맞서려고 한다면 국제적으로 부도덕해질 수밖에 없다"면서 "미국은 반드시 자체 경쟁력을 높여 더욱 평등하고도 개방적이며 창의적이고도 건강과 자유가 있는 사회를 건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결은 장밋빛 비전으로 가는 방식이 아니기에 중국과 협력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해 화춘잉(华春莹)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프리먼 선생이 매우 잘 지적했다"고 평가하고 나서 “중국은 미국을 추월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고 스스로를 끊임없이 향상시키고 추월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경쟁을 원한다면 중국도 피하지는 않겠지만 경쟁은 공정해야 하며 ‘태클’을 거는 강권으로 다른 나라의 정상적이고도 정당한 발전을 위한 권리를 빼앗아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화 대변인은 “미국은 지난 정부 이래로 중국에 대해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전력을 다해 수단을 가리지 않고 무력 위협을 하면서 중국을 정치적으로 고립시키고 경제적으로 제재하고 기술적으로 봉쇄하려고 했는가 하면 홍콩, 타이완(台湾)과 신장(新疆) 등 중국 내정에 간섭하였으며 다른 나라에 ‘반중 울타리’를 만들라고 협박하고 회유하기도 했다. 이는 합법적이지도 도덕적이지도 않아 실현될 수 없으며 결국 미국 국민의 이익을 해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스포츠 강국이자 올림픽 강국인 미국은 ‘더 빨리, 더 높이, 더 강하게’라는 올림픽 슬로건을 깊이 명기해야 한다”면서 "다른 선수에게 ‘태클’을 걸거나 악의적으로 방해하면 반칙으로 퇴장당할 뿐이다”라며 중국에 고의적으로 트집을 잡는 미국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중국과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대국으로서 이익이 고도로 융합되어 있기에 상부상조의 협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13
  • 우자오셰 , 올해에도 ‘타이완 독립’ 악질분자 리스트에 올라
    주펑롄(朱凤莲) 중국 국무원 타이완(台湾) 사무판공실 대변인.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우자오셰 타이완 외교부 장관이 연속 ‘타이완 독립’ 악질분자 리스트에 올랐다. 12일 오전, 중국 국무원 타이완(台湾) 사무판공실 정례 브리핑에서 주펑롄(朱凤莲) 대변인이 취재진의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주 대변인은 “최근 국무원 타이완 사무판공실은 우자오셰의 ‘타이완 독립’ 언론을 주목하고 있다”면서 “우자오셰는 대륙에서 이미 ‘타이완 독립’ 악질분자 리스트에 올라 있다”고 밝혔다. 그는 “‘타이완 독립’을 단호히 타격하고 악질분자들의 언론을 제지하는 것은 양안 관계의 평화와 발전을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주장했다. 주 대변인은 또 “우자오셰는 ‘타이완 독립’을 거듭 고취하면서 악의적으로 대륙을 폄훼하고 양안 대립을 선동하면서 양안 동포들의 공동 이익을 엄중하게 훼손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이렇게 ‘타이완 독립’을 주장하는 악질분자들에 대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 법에 따라 종신토록 이들의 책임을 추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13
  • 中, COVID-19 팬더믹 속 농촌관광 열풍
    [동포투데이 김나래 기자] 중국은 COVID-19가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체험형 농촌관광 붐이 일고 있다고 11일 CNN 방송이 보도했다. 세계 최대 온라인 여행사 중 하나인 트립닷컴은 보고서를 통해 2021년 3월까지 중국 내 농촌 관광 여행이 전년 대비 30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관광객들은 국내 역사와 자연의 경이로움을 향한 것이 아니라 뽕나무순, 열매 따기, 쌀 재배, 바닷가 낚시, 음식 만들기 등 조금 이색적인 것을 찾고 있다. 농촌 관광의 급속한 성장은 코로나 유행이나 중국의 급속한 도시화의 결과만이 아닌 빈곤 완화 프로그램을 통해 시골의 가난한 사람들을 지원하고 농촌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주요 정책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 대규모 프로그램에는 절대빈곤에서 모든 주민을 구출하기 위해 고안된 다양한 공공사업을 포함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 같은 농촌관광 붐은 정부가 '여가 농업, 농촌관광, 홈스테이 경제'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요구한 제14차 5개년 계획(2021~2025년) 초안에 명시된 대로 구체적인 정부 계획이 뒷받침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CNN 방송은 관광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중국의 농촌 관광은 이제 막 시작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앞으로는 무수히 많은 현지 문화에 더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전망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1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