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워싱턴 방문을 앞두고 14일, 기자회견에서 “서방 지도자들에게 동아시아가 제2의 우크라이나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알렸다”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상황이 동아시아의 내일이 될 수도 있다”며 서방에 중국과 북한에 맞서 싸울 것을 호소했다.
그는 다른 G7 국가 지도자들에게도 “동아시아 지역의 안보 환경에 대한 강한 위기감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이어 “일본 주변 정세는 동해와 남중국해 지역의 현상 변화를 의식하고 있는 데다 북한의 미사일 활동이 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기시다는 일본이 첨단 기술에 중요한 반도체의 대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데 미국과 함께할지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 이념이 비슷한 나라들에게 반도체는 경제 안보와 직결된다”며 “우리는 더 긴밀히 소통하고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철수 북한 외무성 국제기구국장은 14일, 담화를 통해 국제사회를 무법천지로 만든 근원은 바로 미국과 그 추종세력의 강권과 전횡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일본의 군사대국화 야망은 국가 간 대립과 분열을 고취해 국제사회의 비난과 반대에 부딪힐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드베데프 러시아 연방안전보장회의 부의장은 14일, 바이든과 기시다 후미오가 핵무기에 합의한 것은 수치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같은 미국에 대한 충성심을 보여주는 일본의 치욕은 귀국 후 각료회의에서 할복을 해야 씻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BEST 뉴스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중국이 아니라 변화가 두렵다” — 한국 내 반중 감정의 진짜 이유
[동포투데이]서울 명동의 한 카페. 28세 직장인 지수 씨는 휴대전화에 뜬 ‘중국 전기차, 한국 시장 점유율 15% 돌파’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며 인상을 찌푸렸다. 그리고 곧장 ‘화나요’ 버튼을 눌렀다. “또 시장을 뺏긴다는 건가요?” 이런 반응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낯설지 않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
일본행 경고 하루 만에… 중국 항공사들 일제히 ‘전액 무료 환불’
[동포투데이]중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을 자제하라고 공식 경고한 지 하루 만에, 중국 주요 항공사들이 일본 노선을 대상으로 한 ‘특별 조치’를 일제히 발표했다. 15일 오후 5시(현지시간) 기준 에어차이나,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하이난항공, 쓰촨항공 등 5개 항공사는 12월 31일까지 일본 출·도착 항공...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동포투데이]“AI 도시 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베이징, 항저우, 선전이 선두권을 형성하며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새로운 삼국지를 그리고 있다. 최근 발표된 ‘중국 10대 인공지능 도시’에는 베이징, 항저우, 선전, 상하이, 허페이, 우한, 광저우, 난징, 쑤저우, 청두가 이름을 올렸다. ... -
‘중국에서 가장 깨끗한 도시’ 웨이하이
[동포투데이]중국 산둥(山東)성의 항구도시 웨이하이(威海)는 ‘중국에서 가장 깨끗한 도시’로 불린다. 거리엔 먼지 하나 없고, 공공의자에 그냥 앉아도 옷이 더러워질 걱정이 없다. 일본 관광객조차 “중국에 이렇게 청결한 도시가 있을 줄 몰랐다”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한다. 그러나 이 청결의 배경엔, 수십 ... -
연길 ‘빈허윈랑(滨河云廊)’ 개통…도시 남북 잇는 새로운 문화관광 명소로
[동포투데이] 연길시의 새로운 문화관광 명소이자 민생 개선사업으로 추진된 ‘빈허윈랑(滨河云廊)’이 완공돼 시민들에게 공개됐다. 총투자액 3,500만 위안이 투입된 이 프로젝트는 연길시가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한 도시 랜드마크 사업으로, 남북을 연결하는 핵심 보행 교량으로 주목받고 있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128명 숨진 타이포 아파트 화재… 홍콩 정부, 전 시민적 애도 기간 선포
-
“연변에 다녀와 보니… 전국 교외 개발의 ‘최고 수준’이 왜 여기인지 알겠다”
-
연예인부터 글로벌 기업까지… 홍콩 화재 피해자 돕기 동참 확산
-
홍콩 대형 화재, 사망 94명…소방 당국 “모든 구조 작업 총력”
-
중국 전기차 이어 내연차까지… 일본 자동차 산업 위기 경고
-
홍콩 공공주택 화재… 낡은 단지와 무방비 보수공사, 예견된 참사였다
-
제13회 연길 빙설관광축제 본격 준비… 도시 전역 ‘원스톱 겨울 놀이터’ 구축
-
홍콩 화재 참사, 44명 사망…경찰, ‘과실치사’ 혐의로 공사업체 책임자 3명 체포
-
“일본서 중국인 무차별 폭행 잇따라”… 中대사관, 이례적 ‘안전경보’
-
홍콩 대형 화재, 36명 사망·279명 실종... 시진핑 “전력 구조” 지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