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전번 계속)

 

조선의용군 창설 사업


무정은 또 다시 과로로 인해 건강에 문제가 생겼다. 고질인 위장염이 재발한 것이다. 이러자 사령부에서는 재차 그에게 휴식을 명령했다.

 

9898.PNG

건강이 회복될 즈음 무정은 또 새로운 임무를 맡게 됐다. 대일 작전을 모색하기 위해 연안에 찾아온 조선인 청년들을 집중시켜 조선의용군 건군 작업에 착수했던 것이다. 그는 토지혁명시기에 살아남은 조선혁명가 10여 명을 골간으로 하고 연안에 찾아온 조선청년들 그리고 항일군정대학을 졸업한 조선청년 및 동북에서 활동하다가 소련으로 건너가 모스크바에서 군사를 배운 후 연안으로 온 조선청년들까지 모두 합류시켜 철저한 훈련을 실시했다.


이런 조선인 청년들은 1939년에 이르러 팔로군 전방사령부가 있는 진동남(晋东南)에 이르러 팔로군과 함께 항일전쟁에 투신했다. 조선인 스스로의 혁명 역량으로 날로 장대해졌다. 1941년 1월 10일 무정은 조선독립동맹의 전신인 화북 조선청년연합회 회장을 맡았고 그해 6월에는 중경 국민당 계열이던 조선의용대 일부가 화북의 항일근거지로 귀화했으며 무정은 이들을 조선의용대 화북 지대로 편성해 팔로군과 함께 일본군과 싸웠다.


1941년 8월, 산서성 동욕에 있는 팔로군 본부에 조선의용대 간부훈련반이 설치되었고 무정은 교장으로 부임되었다. 그는 항일 무장투쟁에 종사하는 군사간부를 전문적으로 양성했다. 이어 진동남 항일근거지에 조선청년간부학교와 조선무장선전대를 설립했다. 그리고 그해 10월 26일에 열린 동방 각 민족 반파시스트 대회에서 무정의 초상은 외국 항일 지도자들과 함께 모택동 초상화와 나란히 걸렸다.


국제 사학자들은 이때 무정이 팔로군을 떠난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중국 문헌의 한 기록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와 있다. 연안의 대생산 시기 남니만 개발에 관한 자료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1941년 1월 말부터 2월 초 사이 중앙군사위원회 직속 포병 퇀장인 무정은 2개 영을 거느리고 남니만으로 진군해 반년쯤 걸려 덤불숲에 폭 6미터가 되는 도로를 닦았으며 이후 남니만의 식량, 부식물과 공업제품은 모두 이 도로를 거쳐 끊임없이 항일 전선으로 운송되었다. 이렇게 무정 퇀장은 두 개 영을 이끌고 식량이 부족하고 집도 없는 등 상상할 수도 없는 어려움을 이겨내면서 개간한 황무지에 씨앗을 뿌렸다. 이어 얼마 되지 않아 왕진이 359여단을 이끌고 남니만으로 들어가면서 황무지를 개간하는 부대가 신속하게 확대되었다. 그 후 또 많은 부대와 구정부와 중앙군사위원회 등이 남니만에 잇따라 진출하면서 개황열기가 전례없이 형성되었다.……”


당시 무정은 이미 조선 반일세력의 지도자 일원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중국 공산당과 팔로군에서 그의 위상은 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는 여전히 평범한 공산당원과 팔로군 장령이었다. 중국공산당은 조선의용군 창설임무를 무정에게 맡겼다. 그 이유는 광범위한 국제항일통일전선의 시범으로 국민당 정부가 지배하는 지역으로부터 더욱 많은 조선인을 데려오기 위한 것으로 풀이됐으며 또 일본군 병사들을 상대로 선전할 때도 일본어에 능한 조선인들의 우세를 이용하기 위해서였다. 일본 조선문제 전문가인 스마루는 어느 한 저서에서 이렇게 서술했다.


“주은래는 중조 관계의 미래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또 무정의 전설적인 이미지는 광범위한 호소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국민당의 통제 하에 있던 조선의용대 조직원 89%가 낙양(洛阳)과 중경 등지로부터 태항산(太行山)으로 옮겨왔으며 이들은 화북지대의 각 분대에 편성되어 기로예(冀鲁豫), 진찰기(晋察冀), 태항산(太行山) 등지로 이동하여 유격전과 일본군 와해 투쟁을 전개하고 항일근거지 기층정권의 건설활동에 참여한 것 등은 이를 여실하게 증명하였다…”


장군의 위망 날이 갈수록 높아져


무정과 화북 조선청년연합회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조선의 유명한 독립운동 지도자 김두봉도 중경에서 태행산으로 직행하였고 멀리 조선 국내에 있던 여운형도 자신의 연락책 김명시(무정의 연인)를 서울에서 연안으로 보내 무정을 만나게 했으며 함께 합동건국 문제를 논의하게 했다.


실제로 무정의 이름은 소련의 크렘린궁까지 전해졌다. 1941년 7월, 스탈린은 비행기를 연안으로 파견하여 무정을 소련으로 인수하려고 했다고 한다. 무정의 비범한 포병기술을 높이 평가하면서 소련의 포병부대를 지도해 달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당시 반년 전에 있었던 ‘완남사변(皖南事变)’을 염두에 두면서 장개석이 이번 무정의 소련 행을 가로막거나 말썽을 일으킬 것을 우려해 무정을 소련으로 보내지 않았다. 비록 무정의 소련행은 성사되지는 않았지만 스탈린의 항공기 파견은 국내외에서 무정의 명성을 더 한층 크게 높였다.


1942년 7월 11일, 화북 조선독립동맹과 조선의용군이 결성됐다. 화북 조선독립동맹 중앙 집행위원이자 의용군 사령관이었던 무정은 이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특히 의용군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기념비적인 공헌을 하였다. 그 뒤 무정은 팔로군 포병 퇀장을 그만두고 조선의용군의 훈련과 지휘에 전념하였다. 그는 자신이 언젠가는 조선의용군들로 조국 광복을 이끌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당시 의용군 장병들 속에서는 조선은 일본한테 얼마간 더 점령당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무정은 조선의 독립이 멀지 않았다고 믿으면서 성심성의로 대원들을 이끌었다. 특히 무정은 독립 이후의 조선은 모든 애국당파가 연합하여 집권하는 국가이기를 원했다. 이는 당시만 해도 중국공산당의 연합정부 구상이 무정한테 영향을 미친것이 분명했다. 하지만 당시 무정의 생각은 연안의 조선공산당 출신 중 좌파인 최창익 등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당시 조선독립동맹의 정치적 권력은 주로 좌파들이 쥐고 있었기 때문에(무정은 군사만 담당) 이들과 무정의 견해는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다. 이는 참으로 사람들로 하여금 유감스럽게 했다.


1945년 8월에 이르러 일제의 멸망은 분명해졌고 무정은 소련이 꼭 조선을 장악하리라는 것을 예견했다. 이때 그는 황하 둔치에서 희생된 양림을 더욱 그리게 되었다. 양림은 유창한 러시아어를 구사하였으며 의지가 굳세고 지혜가 넘치는 애국자였다. 무정은 양림이 살아 있었더라면 소련인들과의 관계를 잘 관리할 수 있으리라 믿었다. 이에 앞서 무정의 건의로 조선혁명 군정학교 전원은 1월 말부터 태행산을 출발해 2000리를 행군하고 있었다. 이들은 일본군의 3차 봉쇄선을 넘어 4월 7일 연안에 도착했다.(다음 계속)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비운의 조선인 혁명가 무정장군③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