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17일, 중국 국가위생건건위원회는 지난 16일 24시까지 해외유입 195명(무증상 104명 포함), 지역 2432명(무증상 1206명 포함) 등 2627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16일 24시 현재 중국 내 코로나 19 확진자는 1만4850명, 사망자는 4636으로 보고됐다. 이중 해외유입은 2524명, 누적 확진자는 1만 6615명이며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 됐다.
국가위생건건위원회에따르면 16일 중국 본토에서 1226명이 추가 확진돼 5일 연속 1000명대를 기록했지만 최근 2일간 연속 감소했다. 신규 확진자는 20개 성 중에서 여전히 지린성(吉林省)이 742명으로 가장 많았고 푸젠(福建) 99명, 광둥 83명(广东), 랴오닝(辽宁) 62명, 톈진(天津) 48명, 허베이(河北) 38명, 산둥(山东) 36명, 저장(浙江) 27명, 산시(陕西) 26명, 헤이룽장(黑龙江) 16명, 간쑤(甘肃) 12명 등 10개성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이날 무증상 감염자는 1206명으로 3일 연속 17개성에서 1000명 이상 발생했다. 이 중 지린 415명, 허베이 178명, 상하이 150명(上海)가 100명을 돌파했다. 또 산둥 96명, 랴오닝 94명, 광둥 70명, 장쑤(江苏) 67명, 푸젠 42명 등 5개성에서 40명이 넘었다.
국무원의 코로나19 위험등급 조회 절차에 따르면 17일 15시 현재 중국 본토에는 392개의 중·고위험 지역이 있다. 이중 고위험지역은 23개로 산둥 7개, 톈진 4개, 장쑤·광둥·산시·간쑤 각 2개, 허베이·랴오닝·지린·푸젠 각 1개로 10개 성에 분포돼 있었으며 중 위험지역은 369개로 베이징·톈진·상하이·허베이·네이멍구(内蒙古) 등 19개성에 분포되어 있다.
한편 중국 본토에서 환자가 계속 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번에 발병이 심각한 지린·산둥과 광둥 등 지역에서 호전을 보이고 있다. 지린성에서 최근 닷새 만에 가장 낮은 신규 확진자가 나왔고 푸젠 취안저우(福建泉州)에서는 사회적 통제를 강화한 결과 큰 효과를 보았다.
지난 16일, 지린성에서는 742명이 추가돼 최근 닷새 만에 가장 낮은 발병자가 나타났고 이날 본토 무증상 감염자는 415명이 추가로 발생했다. 지린성에서는 지난 3월 이래 누적 감염자가 1만1000명을 넘어섰다. 지린성에서 확산된 바이러스는 오미크론 변이 BA.2 진화로 감염자의 98%가 지린, 창춘 두 시에 집중돼 있다.
17일, 지린성은 브리핑을 열고 “성 전체 선별 방안을 더욱 이행하여 잠재적인 양성 감염자를 즉시 배출하고 거점병원 인프라 구축과 의약품 물자 비축 강화, 집중적인 치료 수요 보장, 격리 통제, 차단제 강화 등 방역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격리 지점 외부 유출, 교차 감염 방지, 중점 분야 살 처분 작업, 전파 위험 제거 등을 병행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16일, 푸젠성에서는 본토 감염 99명, 무증상 감염 42명이 추가로 확인됐으며 주로 취안저우시에서 나왔다. 취안저우시에서는 17일 8시 기준으로 누적 367명(확진 216명, 무증상 감염자 151명)이 보고됐다.
17일, 취안저우시는 브리핑을 열고 위험요원을 신속히 통제해 전파 위험을 최대한 제거하겠다고 밝혔다. 또 사회 통제를 강화하고, 발생 현(시·구) 주민단지 출입통제 와 33개 고속도로 요금소에서 통제를 실시한다고 통보했다.
베이징시 질병통제센터에서는 17일 브리핑을 열고 “16일부터 17일 16시까지 본토에서 7명, 무증상 감염자 1명이 추가로 발생해 총 60명의 현지 감염자가 보고됐다”고 밝혔다.
이번 베이징 확진자 확산은 회식으로 인한 집단 발생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한 감염자는 3월 7일 발열 증세를 보여 진료를 받지 않았고 10일 4명과 한 오리구이집에서 회식을 했다. 현재까지 일행 5명이 모두 확진됐고 식당 종업원 3명도 감염됐다.
상하이시는 16일 현지 확진자 8명, 현지 무증상 감염자 150명을 추가됐으며 16일 24시 현재 상하이에서 103명의 현지 확진자를 치료하고 있으며 아직 의학 관찰 중인 현지 무증상 감염자는 1106명이다.
선전(深圳)은 현재 상황이 호전 추세로 나가고 있으며 산둥성은 일일 현지 확진자가 닷새 연속 감소했다.
16일, 선전시는 확진자 71명, 무증상 감염자 20명 포함해 91명이 추가로 발생했다. 17일 선전시는 “현재 선전 전원의 핵산검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중점 구역은 이미 선제적으로 동태 제로화를 이루고 있다”고 밝혔다.
산둥성은 16일 전 성의 본토에서 26명, 무증상 감염자 96명이 추가 확진됐고 무증상 감염자 10명이 추가 확진됐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날 추가 확진자는 주로 격리 통제구역의 중점군에서 나왔고 성내 신규 확진자 수는 5일 연속 감소했다.
칭다오 라이시시(青岛莱西市)는 산둥성 이번 발병의 중점 지역이다. 칭다오 측은 17일 “16일 24시 현재 누적 확진자 815명, 무증상 감염자 932명이 보고됐지만 최근 일일 증가세로 본토 전체 환자가 계속 감소하고 신규 양성 판정자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면서 “이는 라이시시의 방역 조치가 유효하고 전반적인 상황이 호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BEST 뉴스
-
韩 전문가들 “반중 집회, 국익 해친다”…미국과 힘겨운 협상 속 대중 관계 관리 절실
[동포투데이] 한국 사회에서 반중(反中) 정서가 격화되면 서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미·중 경쟁 구도 속에서 한국 정부가 미국과 힘겨운 협상을 이어가는 만큼, 이런 집회가 국익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한국 전문가들의... -
중국인 무비자 입국 둘러싼 갈등 격화…반중 시위·위협 글까지 확산
[동포투데이]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무비자 입국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사회 전반에서 반중 정서가 격화되며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관광 활성화를 위한 조치였지만 오히려 반중 시위와 혐오 표현, 온라인 위협 글까지 등장하면서 정책 효과는커녕 사회 불안만 키우는 모양새다. 관광 활성... -
트럼프 “일본 5,500억 달러·한국 3,500억 달러… 모두 선지불해야”
[동포투데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무역 협상과 관련해 한국이 3,500억 달러(약 480조원), 일본이 5,500억 달러(약 760조원)를 ‘선지불(upfront)’해야 한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 정부가 “보장 없는 투자 요구는 금융위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해온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26일 로... -
中대사관 “반중 시위, 의도 불순·민심 얻지 못해”… 이재명 대통령도 강력 경고
[동포투데이]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이 시행된 지 일주일 남짓, 서울 도심에서는 일부 극우 세력의 반중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와 한국 정부 모두 우려와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2일 공식 입장을 내고 “중국과 한국이 상호 무비자 제도를 통해 교류와 협... -
“중국 청년들, ‘서울병(首尔病)’에 걸렸다?”…中 매체 “韓 언론, 과장·왜곡 심각”
[동포투데이] 중국 온라인 매체 <관찰자망(观察者网)> 은 2일 최근 한국 언론이 대대적으로 보도한 이른바 ‘서울병(首尔病)’ 담론을 비판적으로 짚었다. 앞서 한국 지상파 방송 3사(KBS·MBC·SBS)는 잇따라 “중국 젊은 층 사이에서 서울병이 유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질병’은 한국을 여행한 뒤 귀... -
훈민정음 반포 579돌…한글 가치 되새기는 발표회 열린다
▲<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제12회 발표회(8.19) 전경 © 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동포투데이] 세종대왕의 애민 정신과 한글의 세계적 가치를 기리는 발표회가 서울에서 열린다.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세종대왕기념사업...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유비테크, 1억2천6백만 위안 규모 로봇 공급 계약 수주…올해 누적 주문액 6억3천만 위안 돌파
-
알리바바·징둥, 홍콩서 ‘스테이블코인’ 발행 계획 중단…중국 당국 제동
-
시진핑, 정리원 대만 국민당 신임 주석에 축전…“92공식 지켜 양안 평화·통일 추진하자”
-
인천행 중국 항공기 기내서 리튬 배터리 폭발…상하이로 회항
-
“군항이 보이는 숙소 있나요”…장기 투숙객의 정체는 ‘간첩’이었다
-
캄보디아, 한국인 64명 ‘온라인 사기’ 혐의로 송환…7월 이후 대규모 단속 이어져
-
“650km 달리고 25분 충전” — 비야디 2026년형 Atto 3 공개
-
‘철도의 기적’…연변, 변방에서 동북아 중심으로
-
비야디, 2026년형 ‘씰 05 DM-i’ 출시… 가격은 그대로, 주행거리는 두 배로
-
비야디, 12분 충전으로 1500km 주행 가능 고체전지 장착 EV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