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9-27(수)

오피니언
Home >  오피니언  >  기획/연재

실시간뉴스
  • 2차 세계대전 전후 국민혁명군에 군장비 제공한 국가들②
    1927년, 중국과 독일의 접촉을 시작으로 항일전쟁 직전까지 독일은 중국의 최대 협력 파트너였다. 원래 독일 군사고문은 장개석에게 60개의 독일의 기계사단을 통폐합해 내놓아야 했지만 국민정부는 그렇게 많은 돈이 없었고, 또 그렇게 큰 대가를 치르려 하지 않았기에 항일 전쟁이 발발한 후 중국 전역에 30개의 ‘조정사’만 있었고 독일은 40만 세트의 장비만 쏟아부었다. 이 정예부대는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거의 소진되었다. 최초의 ‘송호회전’, ‘남경보위전’, 화북전장의 ‘흔구회전’, ‘낭자관전투’;등 전투에는 대량의 독일 기계사단이 일본군과 교전하여 참혹한 대가를 치렀다. 이들 30개의 ‘조정사’ 중 28개는 사단 전체가 마비됐고, 2개 사단만이 격렬한 전투를 피했기에 그 병력과 장비를 보존할 수 있었다. 또 전쟁 때문에 독일의 무기는 제때 수송되지 못했고, 독일군은 장비를 보충받지 못해 많은 병사들이 국산장비를 갖고 전쟁터로 나가야 했다. 게다가 독일은 일본과 동맹을 맺은 탓으로 독일군은 중국에 대한 군사 지원을 늦추다가 1938년 7월 중국에 대한 지원을 모두 멈추고 중국에서 철수했다. 독일인들은 철수했고, 중국의 항전은 여전히 계속되었다. 중국내 전장은 군사 장비의 보충이 시급했고, 장개석은후원자를 절실히 필요로 했다. 바로 이때 소련이 나타났다. 소련은 국민정부로 하여금 일본군의 진군속도를 저지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기에 장개석과 합작협정을 맺고 중국에 군사물자를 지원했다. 이에 따라 독일기계사와 미국기계사 사이에 소련기계사가 하나 더 생겼다. 소련은 독일과 마찬가지로 국민정부가 농수산물과 각종 금속 원자재만 제공하면 된다는 조건을 내걸었고, 10년 만에 중소 협력은 이렇게 성사됐다. 소련인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나름대로 성의를 갖고 있었고, 탱크와 비행기 같은 중무기를 제공했을 뿐 아니라 소련 장비로 20개 사단을 무장시켜 독일군 무기사단의 손실로 생긴 공백을 메우려 했다. 이렇게 양 측이 각각 필요한 것을 취해서 교역은 비교적 만족스럽게 진행 됐다. 하지만 소련 기계사의 배치에 있어서 중·소 양측은 이견이 있었다. 소련 측은 모두 소련군 편제대로 새로 편성된 부대에 장비를 배치하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장개석은 몰래 장비를 따로 빼돌려 포병단을 조직했다. 이렇게 10여 개의 포병단위를 만들면서, 미리 약속했던 대로 소련 기계사단에 이를 전달하지 않았다. 한편 소련이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고 물자 수송도 간단해 1차 소련의 기계장비로 4개 사단을 무장시킬 수 있었으며 이 중 제200사단은 중국 최초의 기계화사단이 됐다. 그리고 후속으로 소련의 기계화 장비도 육속 도착해 장개석은 18개의 소련 기계화사단을 구성해 일본군과 잘 싸울 수 있었다. 이 보배같은 소련 기계화사단들에 대해 장개석은 독일 기계사단들처럼 잔혹한 전장으로 보내져 소모되게 하지 않았다. 그래서 1941년에는 15개 사단이 각 전장에서 활약했다. 그러나 소련과 일본이 중립조약을 맺은 뒤 중소 관계가 약화되면서 소련의 군사장비는 보충되지 않았고, 소련의 기계화사단 역시 점차 역사적 명사로 되었다. 미국의 원조는 큰 것을 노린 전략적 움직임 실제로 영국은 독일의 지원이 끊긴 뒤에도 잠시나마 중국에 군사물자를 제공했지만 일본의 압력에 원조를 중단했다. 1941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나서야 중영 간 원조가 회복됐다. 그러나 대영제국은 이때 이미 해가 기울어 극동에 전념할 여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소련의 장비가 없어지자 미국은 국민당 정부를 지원하는 구세주가 됐고 국민당 군은 미 장비로 교체하기 시작했다. 항일전쟁 단계에서 미국이 실제로 충분한 지원을 하지 않은 데는 객관적인 이유도 있고 주관적인 이유도 있다. 한편으로 운남-미얀마 도로가 끊기자 물자 장비는 험준한 항로를 통해서만 수송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적었다. 다른 한편으론 아시아 전장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 영국과 소련에 많은 장비를 보내기도 했다. 미국인은 통이 컸다. 중국의 해방전쟁 시기까지 22개 군 64개 사단이 무장할 수 있는 장비를 장개석에게 보내와 국민당 군대의 전투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그러나 장개석은 미국인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공산당에 의해 대만이란 작은 섬으로 쫓겨나 지내다가 일생을 울적하게 마감했다. 중국은 북벌전쟁 때부터 외국의 군사원조를 대대적으로 받으면서 중간에 공급처를 여러 개 바꿨다. 심지어 프랑스·벨기에·이탈리아 등도 중국에 숟가락을 얹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독일·소련·미국이 더 많이 지원했다. 왜 이런 나라들이 그렇게 호의적으로 중국을 지원했을까? 독일의 속셈은 짐작이 가는 대로 장사를 하러 온 것이다. 그들이 필요로 하는 금속과 각종 원자재가 중국에 많고 거기에 무기까지 팔아 큰돈을 벌 수 있는 중국을 싫어 할리가 없는 것이다. 소련은 여러 가지 생각을 갖고 있었다. 동아시아에서 중국이 일본을 견제하여 극동에서의 이익을 보장해야 하는 한편, 당시 소련은 넓은 영토가 독일군에 함락되고 원자재가 부족했기에 가까운 곳에서 필요로 하는 물자를 공급할 수 있는 나라로 중국을 선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미국은 국민정부에 원하는 게 없음에도 속내는 더 흉악했다. 미국이 내놓은 ‘임대법’은 파시스트의 침략을 받는 전 세계 국가들을 지원하는 것으로, 앞에서 이런 국가들이 육탄이 되어 주는 것이고 양쪽이 다 소모되면 그 때에 가서 그들이 나서서 수습하여 이들 국가들을 깊이 통제하겠다는 취지가 있었다. 한마디로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는 언제나 변화 속에 있고, 친구와 적은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판단되며 이익만이 영원한 것이다. 이들 나라가 중국에게 도움을 줬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되겠지만, 이는 거래일 뿐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현대 사회에도 약육강식의 규칙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다만 실력이 강해야 비로소 존경을 받을 수 있다는 경직된 도리가 있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2-08-28
  • 2차 세계대전 전후 국민혁명군에 군장비 제공한 국가들①
    [동포투데이 철민] 1937년 8월 13일, 제2차 상해 보위전이 발발하자, 장치중(張治中) 장군의 국민당 제9집단군이 상해에 진주했다. 당시 장개석은 장치중 장군에게 2개의 독일의 기계화사인 87사단과 88사단을 지원하였다. 이어진 남경 보위전에서도 몇몇 개편 완성된 독일 기계화사가 빛을 발산하면서 중국군의 완강함을 보여주었다. 중국과 독일, 양국은 서로 다른 진영에 있었다. 그런데 왜 장개석은 독일 기계화 부대가 소유하고 있었을까? 그리고 두 나라는 또 어떻게 교역했을까? 그럼 제2차 세계대전 전후 독일의 타산을 알아본다. 국민당이 독일을 처음 접한 것은 손중산(孫中山) 때였다. 당시 혁명을 위해여 손중산은 도처에서 활동하면서 많은 나라들에 손을 내밀었다. 당시 독일은 공산주의의 발원지로서 손문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번 인연은 성공하지 못했다. 독일은 당시 낙후한 중국을 외면했으며 손문은 어쩔 수 없이 다른 방법을 찾아야 했다. 그 뒤 비로소 제1차 국공합작과 소련이라는 거물이 등장하면서 손문을 후원하게 되었고, 격렬한 북벌전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1924년 손중산이 사망하자 장개석은 자신의 권력욕을 위해 쿠데타를 일으켜 좌익과 공산당 세력을 소탕함과 아울러 소련과 완전히 단절했다. 당시 중국은 가난했고, 전쟁 때는 어쩔 수 없이 장개석은 또 밖으로 손을 내밀 수밖에 없었다. 당시 남경정부가 직면한 국제 환경은 매우 험악하고 객관적으로도 중국과 독일은 일련의 교류를 촉진하는 것으로 양국의 교역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해야만 했다. 영국과 프랑스 역시 같은 아시아에서의 이익은 대부분 남아시아와 동남아에 있었으며, 중국에 대한 수요는 그리 높지 않다는 점을 장개석은 명심해야 했다. 한편 그 시기,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강대해졌고, 동아시아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으며, 영국·프랑스 식민지에도 눈독을 들이고 있었다. 일본을 안정시키고 자신의 식민이익을 지키기 위해, 영국과 프랑스는 일본의 중국 침략을 방임하면서 묵인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으며, 중국을 지원하는 물자의 통로를 차단하고 될수록 일본에 아첨했다. 미국은 당시만 해도 그렇게 강하지 않았으며 유럽은 여전히 세계의 중심이었고, 후발주자인 미국은 앞사람의 눈치를 봐야 했다. 영국과 프랑스가 모범을 보였고 다른 나라들도 감히 중국에 대한 군사원조를 감히 하지 못하자 장개석의 아첨은 ‘장님’에게 던져지면서 이상적 효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다행히 독일은 그 바닥을 지켰다. 1927년 독일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본전을 모두 잃었고, 자신의 군사력이 각종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등으로 나라 전체가 억눌리자 복수를 꿈꾸고 있었다. 독일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수단을 동원해 실력을 키웠다. 그중 중국에 대한 군사원조는 그 일부였다. 영국과 프랑스 등 나라의 요구대로라면 독일은 국방군을 10만 명으로 줄이고 나머지 독일 병사들은 모두 현지에서 전역해야 하며, 방위산업도 모두 전환하여 더 이상 군사 장비를 생산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장개석이 협력 요청을 하는 순간, 이는 독일의 마음에 와 닿은 거대한 군사기구로선 힘겨운 일이었지만 해 볼만한 것이기도 했다. 그러자 중국과 독일은 군사협력을 시작했다. 독일 측은 군사교관을 파견하고 장개석이 군대를 훈련시켜 많은 병사가 전역한 뒤 독일의 국방력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고 전투력을 유지하도록 도왔다. 또 독일 장비를 대량으로 팔아 물자와 돈을 챙기고 노동자를 단련시켜 생산량을 보장하면서 부수입도 챙겼다. 장개석은 유럽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군사 장비를 대량으로 확보해 자신의 통치를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독일은 이미 무릎을 꿇고 유럽의 2등 국가가 됐지만 그러나 이것이 바로 장개석이 비로소 가격을 낮추고, 최소의 대가로 최대의 이익을 얻는 방법이 되었으며, 그의 장사는 매우 잘 되었다. 그래서 서로가 서로에게 이익이 되고, 서로에게서 이익을 얻을 수 있고, 거래도 오래갔다. 독일은 1927년부터 수백 명의 군사고문을 파견해 40만 세트의 무기·장비를 지원했고, 중국의 군수공장 설립을 도왔으며 독일 무기상들과 연계해 중국 군사물자의 주요 공급국이 됐다. 중국과의 교역에 신경을 쓰는 독일은 다른 대안이 없으니 성의를 보여야 했다. 이들이 차례로 파견한 군사고문은 선발된 엘리트들로, 전임 두 단장은 중국군 지휘중추와 장교 양성제도를 각각 개량해 보병의 지휘를 원활히 하고 산하 각급 병종도 전장에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했다. 3인 군사고문단의 단장인 세케트 장군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참모진이 독일 ‘10만 국방군’ 개편에 착수한 것으로 군을 줄이고 전투력을 높인 경험이 있다. 이 장군은 확실히 힘이 있었다. 그는 전형적인 독일 군인에 속했다. 국민정부 군대의 각종 폐해에 대해 하나씩 해결책을 제시해 장개석에게 많은 유용한 건의를 가져다주어 진정으로 중국군의 개혁을 추진하였다. 세케트 장군의 계획대로라면 국민당은 60개의 ‘조정사’와 60개의 ‘정리사’를 개편하는데, 전자는 정당한 독일군 무기사, 후자는 일부 독일군 무장을 한 부대였다. 다만 당시 국민정부의 부정부패가 횡행하고 독일도 제대로 장비를 팔 수 없어 ‘7.7사변’ 직전까지 장개석의 손에는 3개의 완전체 독일 기계화 사단과 1개의 교도총대, 그리고 공상희의 체제 내에 없는 세경 총단 밖에 없었다. 1935년 세케트 장군이 병으로 사임하자 후임자인 파켄하우젠도 국민정부의 군사산업 발전을 적극 도왔다. 독일인의 도움으로 국민당은 정식으로 승마총, 꽃 기관총, 82박격포 등을 본떠 선택적으로 병기공장을 세워 어느 정도 자급자족할 수 있게 되었고, 상황은 곧 호전될 것 같았다. 그런데 이때 문제가 생겼다. 당시 중국은 가난하여 대양과 은화를 국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으며, 대외 무역에서 다른 나라들은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경화인 달러와 파운드화는 국민정부 스스로도 부족하고 금은과 은 같은 귀금속은 더더욱 내놓지 못했다. 그럼 중국과 독일 간 군사물자 거래는 도대체 무엇을 기준으로 한 것일까? 답은 텅스텐(钨矿), 석(锡), 안티몬(锑) 등 세 가지 금속이었다. 이 세 가지 금속은 방산 분야에서 널리 쓰이지만 독일 본토에서 생산되지 않아 99%가 외국산이었다. 히틀러가 집권한 뒤 군비확충에 나서면서 이들 금속의 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영국과 프랑스 등은 관리가 철저해 독일은 원료를 충분히 조달받을 방법이 없었다. 이 세 종류의 금속은 중국에서는 오히려 매우 흔히 볼 수 있었다. 호남, 광동 등지에서는 모두 상응하는 광물 매장량이 채굴되고 있었다. 게다가 중국은 솔직히 많이 쓰지 않았고 산업용 원자재를 군사장비와 교환하는 것을 선호했다. 독일은 전쟁에 대비해 대규모로 원료를 비축해야 했고, 중국은 물산이 풍부해 독일의 많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중국은 금속광산을 제외한 농산물·면화·브루마 등의 물자를 돈처럼 쓸 수 있었고, 독일이 국민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유일한 품목이다. 다만 장개석의 무기·장비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고 국제정세 변화, 물자수송의 지연, 영국의 봉쇄 등으로 중·독 양국 간 원자재·무기 교역이 이뤄지지 않자 국민정부가 현금·백은을 들고 독일과의 협력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다음 계속)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2-08-20
  • 장개석의 차남 장위국의 생모는 누구일까
    [동포투데이] 중화민국의 대통령 장개석은 장경국과 장위국 이 두 아들을 둔 가운데, 본처가 낳은 장남 장경국은 아버지를 많이 닮았지만 차남 장위국은 아버지를 닮지 않았을 뿐 아니라 아버지의 네명의 부인과도 닮은 곳이 전혀 없었다. 당시 장위국의 신상에 대해 여러 가지 풍설이 나돌았다. 이를 두고 장개석은 송미령조차 호기심에 그한테 추궁할 정도로 대외적으로 극력 말을 아꼈다. 당시 장개석의 대답은 부인 송미령으로 하여금 분노로 인해 가출까지 강행할 정도였다. 그렇다면 장위국의 생모는 과연 누구일까? 그리고 장개석의 대답은 왜 송미령을 이렇게 화가 나도록 했을까? 사실 장위국도 줄곧 자신의 신상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고 싶어 했다. 1941년 계모 송미령과 친하게 지내던 장위국은 계모의 허락을 받아 송미령의 서재를 마음대로 드나들며 책을 읽을 수 있었다. 장위국은 우연하게 송미령의 서재에서 ‘아시아의 내막’이라는 책에 호기심을 갖게 되었고 인차 그 책을 읽기 시작했다. 미국 작가 존 겐실이 쓴 이 책은 한 페이지가 한 귀퉁이로 접혀져 있었으며 장위국은 그대로 읽어 내려갔다가 그 내용에 화들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책에는 장위국이 장개석의 친아들이 아니라고 적혀 있었다. 장위국은 놀란 나머지 이전에 들었던 소문들을 머리에 떠올렸다. 아버지와 별로 닮지 않은 생김새로 태어난 그의 신상에 여러 가지 의혹이 있다는 것을 그 자신도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장위국은 1916년 10월에 태어났다. 당시 장개석에게는 아들 둘뿐이었지만 작은 아들인 장위국은 어려서부터 떠돌아다니며 여러 곳을 전전했다. 네 살이 되자 장위국은 아버지 장개석에 의해 고향인 봉화(奉化)로 보내지기 전까지 상하이 구(邱)씨와 주(朱)씨 두 집안의 평범한 가정에서 양육됐다. 그가 장개석의 고향인 절강 봉화에 온 뒤 장개석의 본처 모복매(毛福梅)와 첩 요야성(姚冶成)이 번갈아가며 돌보던 중 요야성은 자식이 없었기에 오랫동안 장위국을 돌봐왔다. 장위국은 모복매를 ‘어머니’라고 불렀고, 요야성을 ‘모친’이라고 불렀다. 당시 장개석의 생모인 왕부인이 생존해 있었고, 봉화에 있던 가족들도 모두 장위국을 좋아하며 극진히 잘 대해줬다. 수 십 년 후 장위국은 그 옛일을 다시 들먹이면서 계구(溪口)에 살았던 그 시간을 매우 행복하고도 즐겁게 여겼다. 그러나 이런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장위국은 여덟 살 때 장개석에 의해 광주(廣州)로 가 황포군관학교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당시 장개석은 이미 진결여(陈洁如)와 결혼했기 때문에 장위국을 돌보는 사람은 진결여로 바뀌었다. 그 뒤 장위국이 11살이 되자 장개석은 송미령을 부인으로 맞아들이기 위해 모씨, 요씨와 진씨 이 세 여인 모두와 관계를 끊었다. 장개석은 진결여를 미국으로 보냈으며 장위국을 그의 신임이 두터운 오충신(吳忠信)의 집으로 보내게 되었다. 그때로부터 오충신의 부인이 장위국의 이모로 되었다. 장위국과 송미령이 처음 만난 것은 1940년이었다. 그때 미국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장위국은 스물네 살이었고, 장개석은 둘째 아들과 송미령 두 사람의 첫 만남이 어색해질까 봐 어느 정도 걱정하였다. 하지만 장위국은 송미령을 만나자마자 아주 자연스럽고도 친절하게 영어로 ‘어머니’라고 불렀고, 서양식 예의에 따라 송미령의 볼에 입을 맞추기도 했다. 송미령은 젊은 시절 서양식 교육을 받았기에 장위국에 대한 첫인상도 좋았다. 두 사람은 모두 기독교를 믿었고, 이후 아주 사이좋게 지냈다. 그래도 그 해의 크리스마스 날 밤이 되자 장위국의 생모가 누구인지 궁금했던 송미령은 장개석한테 자꾸만 따지고 캐물었다. 그런데 줄곧 송미령에게 순종하고 질문이 있으면 반드시 대답하군 하던 장개석이었지만 이번에는 매우 내키지 않는 것처럼 보였고, 송미령의 핍박에 아주 짜증스럽게 “묻지 마, 난 절대 말하지 않을 거야”라고 한마디로 일축하며 내뱉었다. 그러자 이에 몹시 화가 난 송미령은 크리스마스 날 밤 집을 나와서는 홀몸으로 홍콩행을 강행했다. 그녀는 장위국과 사이가 좋았기에 당연히 그의 존재 때문에 화가 난 것은 아니었다. 송미령이 화가 난 것은 장개석이 자기한테 속이는 것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나중에 장개석이 직접 시간을 내 홍콩으로 가서 그녀를 찾았고, 두 사람은 곧 다시 사이가 좋아졌다. 아마 장개석도 이때 장위국의 신상을 송미령에게 알렸을 가능성이 컸다. 이후 송미령은 이 문제에 대해 더는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으며 장위국을 예전처럼 잘 대해주었다. 장위국은 송미령의 방에서 그 ‘아시아의 내막’을 보고는 계모가 자기한테 뭔가를 암시하려는 것이 아니냐고 생각했다. 그 후부터 장위국은 생모를 찾을 타산을 했다. 장개석은 그 몇 년 동안 손중산(孫中山)을 따르면서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보아 장위국은 아마도 일본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크다. 장위국은 장개석의 권고에 의해 미국으로 연수를 보내진 틈을 타 일본으로 건너가 야마다 준자부로라는 사람을 찾아냈다. 이 사람은 손중산이 일본에 있을 때 손중산의 충실한 추종자였다. 그리고 장개석이 그 몇 년 동안 일본에서 생활할 때, 두 사람은 왕래가 밀접했다. 장위국은 이 사람이 긍정코 자기의 출생 내막을 알고 있으리라 믿었다. 과연 장위국의 예상대로 야마다는 그의 생모의 이름을 말해줬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내막’에 나오는 설이 틀리지 않다는 것을 확신시켰다, 그랬다. 장위국은 확실히 장개석의 친아들이 아니었다. 야마도에 따르면 장위국의 생부의 이름은 대계도(戴季陶)로 국군의 원로 중 한 명이자 중량급 인물이었다. 당시 대계도는 장개석과 함께 손중산을 따라 일본으로 망명했고, 장개석과는 동향이자 동창으로 친하게 지냈으며 나중에 대계도는 장개석 휘하의 장군으로 되기도 했다. 1913년, 일본에 있던 대계도는 급병에 걸려 현지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으며 당시 그는 시게마츠 가네코라는 간호사를 알게 되었다. 그가 입원해 있는 동안 두 사람의 관계는 급속도로 뜨거워졌고, 대계도가 퇴원한 후 두 남녀는 동거하게 됐다. 하지만 당시 대계도는 일찍 결혼한 몸이었고 그의 아내 뉴유항(钮有恒)은 그보다 나이가 많았지만 대갓집 규수였기에 대계도는 그녀를 사랑하면서 두려워했으며 한 번도 그녀를 화나게 한 적이 없었다. 본인은 한때 국군 고위층의 ‘3대 공처가’ 중 일원으로 꼽히기도 했다. 일찍 대계도는 조카와 사사로운 정을 나눈 적이 있었다. 그러던 그가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아내가 이미 이 사실을 알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는 크게 놀란 나머지 다리에서 뛰어내려 자살까지 하려고 했다. 다행이도 당시 그의 부하가 재빨리 그를 구해 주었으니 말이지 큰 일이 날 뻔 했다. 한편 1916년 대계도가 손중산을 따라 귀국할 때 시게마쓰 가네코는 이미 임신 3개월이었다. 하지만 당시 대계도는 감히 그녀를 데리고 귀국할 엄두도 내지 못했다. 그는 고통을 참으면서 시게마쓰 가네코를 일본에 남겨둘 수밖에 없었다. 나중에 시게마츠 가네코는 아들을 낳았다. 그녀는 야마다 준자부로에게 자기가 낳은 아이를 중국으로 데려가 달라고 간절하게 부탁했다. 이 아이가 바로 장위국이었다. 이렇게 되자 그 몇 년 간 점점 더 아내를 두려워하고 있었던 대계도는 아내에게 이 아이의 내력을 도무지 설명해야 할 수가 없었다. 이에 대계도의 절친한 친구로서, 장개석은 그를 곤란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 스스로 이 아이를 입양할 것을 제의하였다. 대계도는 즉석에서 동의했으며 이렇게 되어 생부가 아이의 의부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장개석은 절친한 친구에 대한 약속 때문에 끝까지 진실을 말하지 않았고, 송미령이 따져 물었지만 처음에는 말하지 않았다. 장위국은 이때의 실정을 알게 되었고, 마음속으로는 장개석에 대해 몹시 감탄했다. 다른 한편 생모인 시게마츠 가네코는 장위국이 다섯 살 때 이미 세상을 떠났으며 장위국은 야마다의 말을 반신반의로 믿다가 장개석의 일기를 읽어본 결과 그것은 모두 사실이었다. 그는 확실히 장개석의 아들은 아니었지만, 장제스는 그를 자식처럼 여겼으며 ‘경문위무(经文纬武)’라는 좋은 뜻으로 장경국의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장차 형 장경국(蒋经国)에게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랐으며, 또한 큰 돈을 투입하여 장위국의 마음가짐에 따라 그를 외국에 유학 보내 훌륭한 군인으로 키우기도 했다. 그러나 장위국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장개석과 장경국은 어쩔 수 없이 그를 경계하기 시작했다. 장개석이 회의나 순시하러 나갈 때면 데리고 가는 사람은 반드시 장경국이었고 정계에서 중점적으로 양성한 사람도 장경국이었으며, ‘호구병변(湖口兵变)’을 틈타서는 장위국의 수중에 있던 병권을 빼앗기도 했다. 장위국은 이때부터 의기소침해졌고, 장경국이 죽은 후에야 사람들 앞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장위국은 자신의 신상을 알고도 장개석처럼 대외적으로 입을 다물었다. 그는 1996년에야 자기가 서술한 책에서 자신이 대계도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인정했다. 하지만 장위국은 ‘물방울 같은 은혜도 샘솟듯한 물량으로 갚는다’는 이치를 항상 염두에 두고 있었고, 장개석이 혈연관계가 없는 아버지였지만 이미 그 친아버지가 준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랑을 장위국에게 주었다는 알고 있었다. 장위국은 언제 누가 물어도 장개석의 아들이 된 것을 결코 후회하지 않았다고 한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2-02-03
  • 무인도에 갇인 1남 7녀, 그들의 운명은…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이 이야기는 지난 세기 40년대 중반부터 50년대 초반 사이에 있은 한 조선인 남자가 일본인 여성 7명과 동시에 결혼해 도합 27명의 자녀를 낳은 진실한 이야기다. 사람은 사회에서 생활함에 있어서 당연히 많은 욕구가 있기 마련이다. 그중에서도 이성과 생기는 감정적 욕구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은 감정을 말과 행동으로 표현할 줄 아는 영장 동물이다. 더군다나 특정된 장소에서는 남녀 사이에 이런 감정이 싹트기 쉽다. 대천세계에서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형형색색의 사람을 만나기 때문에 반려자로부터 선택되고 또한 반려자를 선택하기도 한다. 하지만 딱히 그런 것만은 아닌 것 같다. 경우에 따라 인간은 반려자를 선택할 수 없거나 감정적인 욕구가 없는 즉 마음에 들지 않는 이성과 함께 사랑을 나눌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아래에 이어지는 이야기가 어느 정도 증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의 군사적 큰 착오로 벌어진 태평양 전쟁 말기 남성 1명과 여성 7명이 태평양 가운데의 트루크 군도에 남겨지면서 40년대 중반부터 50년대 초기까지 이 해괴한 일부다처(一夫多妻)의 이야기가 벌어졌던 것이다. 사람들은 태평양 전쟁이라고 하면 모든 전쟁의 근원은 일본의 진주만 기습사건이라고 말한다. 일본 군국주의자들은 여러모로 미국이 만만하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요행을 바라고 저울질하면서 미국의 태평양 해군기지를 공격했으며 전쟁 초기에는 연전연승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미군이 일본군 약점을 연속 꿰뚫을 줄을 누가 알았겠는가. 미군은 차츰 전쟁의 주도권을 잡으면서 하나둘씩 빼앗겼던 섬을 되찾기 시작했다. 그리고 가운데 끼인 일본군 점령 섬들은 고립되어 보급은 전혀 없었으며 어떤 경우엔 단 한 명의 병력 손실도 없이 미군은 이 섬들을 스스로 무너뜨릴 수가 있었다. 당시 트루크 제도에는 일본군 병사와 조선인 부역자 및 일본군 위안부가 주둔해 있던 고립된 섬이었다. 미국이 일본의 공급 사슬을 끊자 섬에 갇혀 있던 이들은 고립되기 마련이었고 시간이 흐르자 구원투수들에게 삶의 기대를 걸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일본 본토에서 구조자를 섬에 보냈을 때 갇힌 사람들은 한동안 삶의 희망을 본 듯 들뜨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는 아주 짧디 짧은 순간에 불과했다. 일본 본토에서 보낸 구조선은 섬에 오래 머물지 않았다. 구조선박은 섬 기슭에 사람이 보이지 아니 하자 무인도로 여기고는 재빨리 선수를 돌려 트루크 섬을 빠져나가면서 아무도 돌아보는 이가 없었다. 그 후 조선인 부역자 김유길과 일본인 위안부 7명이 “사람을 살려요”라고 외치며 해안으로 달려 내려갔을 때는 배가 이미 멀어져 있었다. 그렇게 희망이 깨지자 일곱 여인은 서로 얼싸안고 펑펑 울면서 땅을 쳤고 김유길도 마찬가지의 심정이었다. 하지만 그는 여인들처럼 울고불고 할 수는 없었다. 몹시 절망적이었지만 그는 남자로서 좀 강해야만 했다. 그는 엉겁결에 일본 여인들이 흐느끼는 것을 보고는 그녀들을 위로하려고 했지만 적당한 어구가 없었다. 말문이 막히자 그는 다가가 그녀들의 어깨를 토닥토닥 두드려주기만 했다. 울음을 터뜨릴 뿐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그들이었다. 하지만 울음이 그치고 사위가 잠잠해진 뒤에도 이들의 삶은 계속되었다. 이렇게 이들 일남 칠녀는 섬에서 두 달 넘게 함께 생활했다. 이들은 구조를 기다리지도 못한 채 섬에서 먹을 수 있는 열매와 과일은 거의 다 뒤졌다. 그러다가 다행히 그들이 앞날이 막막할 때 뜻밖으로 담수호를 발견하게 되었다. 삶의 빛 한 가닥 생긴 것이다. 한편 섬에서의 유일한 남자인 김유길은 물고기라도 잡아서 모두가 굶어죽지 않도록 해야 했다. 그래서 그는 평일에는 고기잡이 말고도 비교적 건장한 여자 몇 명을 데리고 사냥을 했으며 그리고 그 때면 나머지 몇몇 여자들은 나무를 찾아 불을 피우고 빨래 같은 일을 하면서 제각각 자기의 맡은 바의 일에 충실했다. 처음에 김유길과 그녀들은 말이 통하지 않았다. 일상적인 교류는 손짓 혹은 몸짓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김유길은 그녀들한테서 일본어를 배웠고 그 또한 그녀들에게 조선말을 배워주었으며 이렇게 되어 그들은 얼마 안돼 서로 정상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들이 섬에 갇힌 지 1년이 되는 해 봄의 어느 날, 김유길은 섬에서 일본인들이 흘린 것으로 보이는 벼 종자를 발견하게 되었다. 순간, 김유길의 머릿속에서는 기발한 생각이 섬광처럼 떠올랐다. 바로 벼농사를 한번 해보자는 결심으로 마음속으로부터 논을 풀었다. 그 해 그는 여인들을 거느리고 열심히 일하면서 논을 풀었다. 논둑을 만들고 논에 물을 가두고…그리고 벼 모종을 논에 심자 과연 벼가 우썩우썩 벼가 잘 자랐다. 그 뒤 가을이 되자 김유길은 또 여인들과 함께 벼를 베어 거두어 들이고 타작을 했다. 타작이 끝나자 이들은 마침내 첫 햇밥을 먹어볼 수 있게 되었으며 더 이상 끼니 걱정을 하지 않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김유길은 점차 모든 여자들의 숭배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먹는 문제를 해결하자 김유길은 자연스럽게 인간답게 살아야 한다는 것을 연상하게 되었다. 바로 빗 바람을 막을 수 있는 집을 짓는 것. 원래 집짓기 같은 것에 대해 조금은 알고 있었기에 김유길은 그 실행이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 그는 여자들을 거느리고 연 며칠 나무를 찍어 와서는 서두르지 않고 하나하나씩 기둥을 세우고 벽을 쌓았으며…마침내 지붕까지 얹게 되었다. 그렇게 되자 집 모양새를 두루 갖출 수 있었다. 집은 비록 허름하고 그닥 크지도 않았지만 이 외딴 섬에 그들도 비바람을 피할 곳이 드디어 생긴 셈이었다. 여성 그 자체가 워낙 감성적인 동물이기에 어려운 상황에서 자기에게 도움을 주는 남성을 사랑하기가 쉬운 것이다. 섬에 버려진 뒤 여자들은 몹시 절망했지만 당시 유일한 남자인 김유길은 그녀들을 책임지고 그녀들에게 정신적 위로를 주었을 뿐만 아니라 생존환경까지 해결해줬기에 그럴만도 한 것이었다. 그래서 모두가 김유길이라는 유일한 남자에게 마음을 기대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갖가지 애로와 언어의 장벽까지 뚫고 나온 김유길은 일본 여자들과 자주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나중에는 거의 감출 것도 없이 속심을 털어 놓을 때도 많았다. 어떤 경우에는 속된 농담도 거침없이 할 정도였다. 이렇게 한동안 어울리던 중 김유길은 자신이 그 중 한 여자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는 몰래 그 여인한테 자기의 마음을 고백했다. 헌데 이 여자가 너무도 기쁜 나머지 이를 다른 여자들한테까지 자랑할 줄이야?! 이러자 이들 여자 모두가 한결같이 김유길에게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게 되어 김유길은 황제처럼 되어 일곱 명의 여자를 동시에 품에 안을 수가 있었던 것이다. 가정을 꾸린 뒤 이들은 아예 귀국할 생각을 접고 살림을 차리고 김유길의 아내로서의 각자의 의무를 다 하였다. 그리고 아내들은 선후하여 스물일곱 명의 자녀를 김유길한테 낳아주었다. 이렇게 그들은 하나의 작은 가정으로부터 하나의 대가족으로 발전했다. 그로부터 8년이 흘러간 뒤 이 35명의 대 가정은 바다에 나타난 미군 순찰함에 의해 발견되었고 오랫동안 귀국생각을 접었던 이들에게 마침내 각자가 조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가 생겼으며 김유길은 고향으로 즉 한국으로 돌아가게 됐고 그 외의 아내와 자녀들은 모두 일본으로 송환됐다. 김유길은 귀국한 지 몇 년 만에 그 아내들이 그리워났다. 거기에 자녀들이 보고 싶기도 했다. 마침내 그는 일본으로 건너가 처자들을 찾기 시작했다. 일본에서 두루 수소문한 결과 그의 다섯 명의 아내는 이미 재가하여 다시 살림을 차렸고 나머지 2명만이 그래도 김유길이 다시 나타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당시 일본 사회는 이미 일부일처제를 시행하고 있었지만 그들은 특별한 예외의 경우였다. 정부도 이를 시인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들은 이렇게 죽을 때까지 함께 생활했다고 한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2-01-12
  • 시대를 빛낸 할리우드 여배우- 마릴린 먼로②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지난번 계속) 마릴린 먼로의 본명은 노마 진 베이커이다. 그녀의 외할아버지 성은 먼로, 그는 정신 질환으로 앓고 있는 자동차 엔지니어였으며 늘 자신을 제임스 먼로 대통령의 자손이라고 했다. 그리고 외할머니인 델라에게도 정신적인 장애가 있어 발작을 일으키기 시작하면 매우 격렬했다. 그런가 하면 어머니 글래디스는 MGM 콜롬비아의 한 영화제판공장에서 스크랩 작업을 했으며 어머니 역시 심각한 정신분열증 환자로 평생 수용소 출입이 아주 잦았다고 한다. 1942년 6월 19일, 마릴린 먼로는 제임스 아이젤 돌티와 결혼했으나 1946년 9월 13일 첫 결혼은 이혼으로 막을 내렸다. 그 뒤 마릴린 먼로와 조 디마지오는 1954년 1월 14일 샌프란시스코의 한 모텔에서 결혼식을 올린 뒤 2월 2일 일본 도쿄로 신혼여행을 떠났다. 하지만 이들이 혼인신고를 한 지 274일 만에 마릴린 먼로가 이혼을 제출했고 1954년 10월 31일, 법원은 마릴린 먼로가 조 디마지오와 이혼하라고 판결했다. 뒤이어 마릴린 먼로는 1956년 6월 29일 극작가 아서 밀러와 극비리에 결혼했고 그해 8월 메릴린 먼로는 임신했지만 곧 유산했다. 마릴린 먼로는 1957년 8월 1일 자궁외 임신으로 다시 유산했다. 1961년 1월 20일 두 사람은 멕시코에서 정식 이혼하고 말았다. 18세 때 마릴린 먼로는 기독교인이 됐다. 하지만 1956년 아서 밀러와 결혼하면서 먼로는 유대교로 전향했다. 생전에 마릴린 먼로는 생전에 애완견을 많이 키웠으며 그 중 마지막 한 마리는 시나트라가 선물한 몰타 개로 이름을 지어 ‘마피아(Mafia)’라고 불렀다. 1960년 8월 28일, 마릴린 먼로는 정신과 입원치료를 받았으며 그 뒤 1961년 2월 7일 재차 뉴욕에서 병원에 입원했다가 3월 5일에 퇴원했다. 1962년 1월, 마릴린 먼로는 로스앤젤레스로 이사했으며 7월 20일 자궁내막염으로 또 입원치료를 받았다. 1962년 8월 4일, 마릴린 먼로는 심리치료사와 6시간을 보냈다. 이는 그녀의 생에 있어서 마지막 하루가 됐다. 그 이튿날 즉 8월 5일, 로스앤젤레스 경찰은 마릴린 먼로가 로스앤젤레스 브라이든무에 있는 자신의 거처에서 36세의 나이로 사망했음을 확인했다. 8월 8일, 로스앤젤레스에서는 마릴린 먼로의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마릴린 먼로는 익숙한 이름이었고 익숙한 이미지였다. 그녀는 트레이드마크식의 웃음과 매혹적인 몸짓으로 하나 또 하나의 성감적이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그녀의 감동적인 연기 스타일과 죽음은 영화 팬들의 영원한 성감 적인 아이콘이자 대중문화의 대표주자로 자리 잡았다. 많은 팬들은 살아가면서 그녀의 사진들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 아니 보고 또 보았을 것이다. 하얀 치마를 입고 뉴욕 거리에 있는 모습과 땅속 열기에 그녀가 걸친 치마가 나팔을 벌린 듯한 모습의 흑백사진 그리고 카메라를 향해 눈을 살짝 감은 듯 입술을 감빠는 모습, 소파 위에 하얀 다리를 드러낸 모습 등을 보노라면 사진만이 아닌 특별한 감정의 전달과 순수하고 성감적인 정국이 될 때가 많다. 공개된 사진에서 마릴린 먼로는 이전과는 다른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며 청순하기도 하고 털털하기도 한 면모를 유감없이 드러낸다. 좀 길게 땋은 머리 태, 청바지, 리넨 스커트 등은 다양한 스타일링으로 생활 속 먼로의 사랑스러움이 고스란히 묻어난다. 먼로는 1962년 8월 5일, 자기의 거처이 로스앤젤레스 브라이든 무브먼트의 거실에서 수면제 과다복용으로 숨진 채 발견됐다. 이후 케네디 대통령 암살사건을 떠올리면 마릴린 먼로의 죽음은 케네디 가문과 정치권의 암막에 휘말렸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었다. 그가 죽은지 수 십 년이 넘도록 그녀에 대한 공식 조사서류는 대부분 고급기밀로 분류돼 있었다. 2006년까지 FBI(미 연방수사국)는 미국 자유정보법에 따라 500쪽 분량의 먼로 관련 문건의 비밀을 해제했다. 그러자 마릴린 먼로의 죽음이 그가 적어놓은 비밀일기와 관련이 깊다는 사실을 역사 전문가들은 뒤늦게 밝혀냈다. 먼로의 일기에는 먼로와 케네디 형제의 ‘베갯머리 대화’가 다수 기록돼 있었다. 1962년 8월 초, 케네디 형제는 약속이나 한 듯 먼로와의 모든 왕래를 끊었다. 갑작스런 격변에 직면하여 마릴린 먼로 역시 자신의 위험을 의식하고 있음이 분명했다. 8월 4일 오후 9시 반, 그녀는 절친인 시드니 길라로프에게 전화로 케네디 형제와 있었던 자신의 사생활을 털어놓았다. 그러면서 “한 가지 위험한 비밀을 알고 있다”고 했다. 다음날 새벽 LA 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된 마릴린 먼로는 공교롭게도 그날 밤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녀의 ‘비밀 일기’도 신비롭게 사라졌으며 LA지검 사무실 또한 마릴린 먼로가 일기를 썼다는 것과 먼로의 죽음이 모살과 관련이 있다는 것도 부인했다. 2012년 5월 16일, 제65회 칸 국제영화제 개막식에서 마릴린 먼로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제 홍보 포스터가 나붙었고 현장의 대형 스크린에는 마릴린 먼로 주연의 각종 다른 영화의 스틸 사진이 끊임없이 상영되면서 그녀에게 경의를 표했다. 그리고 유명 조각가 수어드 존슨이 만든 마릴린 먼로 조각상 ‘영원한 먼로’가 캘리포니아 팜스프링스에서 전시되기도 했다. 그녀는 줄곧 어떤 남자가 그녀를 사랑하기를 원했고 그녀도 전심으로 상대방을 사랑했지만 안타깝게도 먼로는 평생 이 남자를 만나지 못했다. 사랑을 느껴본 적이 없는 여인으로서 먼로는 전심전력으로 절대적인 관심을 필요로 했다. 이런 100%의 사랑을 남편들은 주지 못했고 애인들은 더욱 주지 못했다. 지금으로부터 59년 전, 36세의 마릴린 먼로는 그 길지 않은 생을 마감했다. 하늘은 그녀에게 아름다운 용모를 주었지만 운명은 그녀에게 아름다운 인생을 주지 않았다. ‘세상의 좋은 물건은 견고하지 못하고 아름다운 구름은 쉽게 흩어진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아마도 마릴린 먼로를 두고 한 말이 아닌가 싶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2-01-01

실시간 기획/연재 기사

  • 日 패전 후 中에 남은 10만 명 여성에 함구무언..왜?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굴욕으로 온 나라가 몸부림을 치던 중국의 근대사에서 가장 피비린내 나도록 잔인한 전쟁은 14년간 지속된 항일 전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전쟁 중에서 중국인들은 하마터면 자기가 생존하던 국가를 잃을 뻔했고 중화민족 또한 존망 위기의 긴요한 관두에까지 이르게 되었었다. 2차 세계대전 전야의 일본은 이미 명치유신을 진행하여 전반 국가가 나날이 흥성하는 발전단계에 이르렀고 당시 이들은 무사 계층의 통치를 무너뜨렸지만 전반 국가는 도리어 군국주의 사상으로 침습되었다. 당년의 일본은 아시아에서 가장 발달한 국가로 이미 서방 자본주의 국가 발전단계에 서서히 접근하고 있었다. 그 시기, 일본인들은 국내의 자원으로는 일본의 발전 수요를 근본 상 만족시킬 수 없음을 감안했다. 이리하여 일본은 대외 확장 계획을 고안했고 이 확장 계획은 오직 통해서만 이 쟁취해올 수 있다고 인정했던 것이다. 일본의 침략 계획 중의 제1 보는 당연히 곧바로 중국이었다. 20세기 초엽의 중국은 땅덩어리가 크고 물산이 풍부했지만 상대적으로 국력은 매우 무능하였기에 어떻게 봐도 침략하기 아주 쉬운 좋은 상대였다. 일본은 자체로 조작해 낸 ‘9.18 사변’ 이후 짧디짧은 수개 월 내에 전반 동북을 집어삼켰다. 당시 일본은 중국의 땅만 탐낸 것이 아니라 중국인들의 사상을 동화시키려고 시도, 조금 조금씩 중국을 잠식해갔다. 동북이 함락된 후 일본은 이곳에 만주국으로 명명된 위 정권을 건립했고 아울러 일본 국내로부터 수많은 일본 민간인들을 동북으로 운송하여 이곳에서 생활하게 하였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당시 일본은 본토로부터 적어도 30만 명에 달하는 일본인들을 중국 동북으로 운송, 이 중에는 10만 명에 달하는 여성도 포함되어 있었다. 당시 일본인들의 계획은 동북으로 이주한 여인들이 중국 남성과 결혼하여 자녀를 낳으면 혈통 상 중국과 일본 이란 두 나라의 국민으로 되기에 후에 중국을 전면 점령하기가 쉬워진다는 것이었다. 한편 이런 일본 여성들은 일본 사회에서의 지위가 아주 낮기에 그들의 운명은 완전히 상층에 있는 남자들의 수중에 장악되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이런 여성들은 일본 군부에 의해 중국을 동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장기 쪽에 불과했던 것이다. 비록 일본인들의 계획은 이렇듯 완미했지만 그들이 생각하지 못한 것은 중국 동북지구를 점령하는 데는 짧은 수 개 월이었지만 전반 중국을 집어삼키려고 보니 14년도 부족했으며 아울러 최종엔 그들 자신이 패망하고 말았던 것이다. 1945년 8월 15일, 일본 천황이 무조건 투항을 선포한 후 일본 군대 및 중국 경내에서 거주하던 일본인들은 모두 반드시 일본으로 돌아가야 했다. 하지만 중국 동북에서 생활하던 10만 명에 달하는 일본 여성들은 돌아가지 못하고 남아 있을 수밖에 없었다. 당시 일본 정부가 귀국시킨 일본인들은 대부분이 사지가 건장하고 노동능력이 강한 일본 남자로서 이 부분의 남자들이야말로 귀국 후 일정한 가치가 있었던 것이다. 전후 국가를 재건하려면 필경 많은 노동력이 매우 수요 되었던 것, 실제로 이런 남자들은 일본으로 돌아간 후 즉시 전후 국가 재건에 투입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동북에 남은 불쌍한 일본 여성들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는 진작 이런 여인성들에 대해 염두에도 없었던 것이다. 흔히 일본 여성들을 보면 일본의 중국 침략전쟁 시기 일본군의 행위를 열정적으로 지지하고 환호하던 이들이었다. 그녀들은 자신의 남편이 참군하는 것을 고무 격려했는가 하면 어떤 여인들은 자원해서 군 위안부로 되기도 했다. 그리고 당시 그녀들은 자기들이 중국 동북으로 운송되어와 동북에서 살게 된다고 하자 기뻐서 어쩔 줄 몰랐다고 한다. 그녀들의 눈에는 그것이 ‘천황폐하로부터 하사받은 지고 무상의 은공’으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자기들이 일본에 의해 중국 동북에 버려졌다는 것을 알았을 때 과연 그녀들의 생각은 어떠했을까?! 일본이 망한 뒤 이런 일본 여인들은 일본 정부에 의해 버림을 받은 뒤 중국의 거리에서 유랑 생활을 했던 것이다. 당시 전쟁이 갓 결속된 시기라 일본군에 분노한 중국의 백성들은 그녀들을 거들떠보지도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세월이 흐름에 따라 중국 백성들도 일본군의 만행과 불쌍한 여성들을 구분해보기 시작, 그녀들을 동정하기 시작했으며 어떤 여성들은 중국 남자와 결혼해 자녀를 낳기도 했다. 그리고 그녀들도 점차 일본 정부의 불평등에 한해 분노를 표출하기도 했다고 한다. 당년에 이런 일본 여성들이 중국으로 오게 된 것은 이른바 ‘대동아공영’을 실현하기 위해서였으나 패전한 뒤 그녀들은 버린 일본 정부의 행위는 사람들로 하여금 재차 일본 이란 나라에 대해 실망하게 하고 있다. 오늘에 와서 이런 여성들의 비참한 운명에 대해 사람들이 잊어버린 듯하다. 그리고 일본 정부 역시 줄곧 그녀들을 데려가지 않았다. 본국 국민을 포기하는 행위는 국제 인도주의를 엄중히 위반한 것이기에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이 깨끗하지 못한 이왕지사에 대해 함구무언하는지도 모를 일이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11-08
  • '삼국지' 재해석⑪ 조조의 두 아들을 죽이고도 환대 받은 장수(張綉)
    ●김정룡(다(多)가치 포럼 위원장) 삼국시대는 벼라 별 희한한 일이 다 있었다. 도적 출신으로 공을 세운 호걸이 있는가 하면 도술로 30년간이나 한중에 군림한 기인이 있었고, 심지어 조조의 아들과 조카를 죽이고도 환대를 받은 인물이 있었다. 이 세 사람의 이름은 장연(張燕), 장수(張綉), 장로(張魯) 이며 모두 성이 장씨(張氏)라는 공통점이 있다. 장연은 도적패를 만들어 산과 소택(沼澤) 사이를 전전하며 싸웠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무리가 2만 명이 넘었다. 장연은 쇠뿔이라 불리는 장우각(張牛角)과 연대하였고 장우각을 우두머리로 추대하였다. 장우각이 죽자 무리는 전 두목의 유언에 따라 장연을 우두머리로 모셨으며 이 때문에 장연의 성이 본래 저(褚)였는데 장씨로 바꾸게 되었다. 장연은 보통 사람보다 훨씬 표독하고 민첩했기 때문에 군중(軍中)에서는 그를 날아다니는 제비라는 뜻인 비연(飛燕)이라고 불렀다. 그의 무리는 다른 도적무리를 흡수하는 등 나날이 커져 군세는 1백만에 달했고 흑산(黑山)이라 불렀다. 조정은 이들을 정벌할 방법이 없었고 황하 이북의 각 군은 모두 그들에게 패할 만큼 세력이 대단했다. 장연은 도적질에 질렸던지 아니면 관직에 욕심이 생겼는지 아무튼 수도에 사자를 보내 투항의사를 전달하니 그를 평난중낭장(平難中郞將)으로 임명했다. 이후 원소와 공손찬이 기주 땅 따먹기 다툼에 장연은 곤손찬을 도와서 원소와 싸웠다. 그런데 장연의 군사들이 불행하게도 패해서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다. 조조가 기주를 평정할 때 장연은 명분 좋게 관군을 지지했으므로 조조는 그를 평북장군(平北將軍)에 임명했고 식읍 5백 호를 내렸다. 이렇게 장연은 도저패의 우두머리로부터 일약 관군의 장수로 변신하는데 성공했다. 장로는 대대로 도술을 전파하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 장릉(張陵)은 도술에 관한 책을 지어 백성을 미혹했다. 그에게 도술을 배우는 사람은 모두 다섯 말의 쌀을 냈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그를 미적(米賊)이라고 불렀다. 장릉이 죽자 아들 장형이 도술을 이어 받았고 장형이 죽자 장로가 계승했다. 장로의 대에 이르러 도술은 정식으로 오두미교로 발전했고 교세가 굉장히 팽창해졌다. 각 지방 조직에 좨주(祭酒, 제사를 관장하는 사람, 오두미교에서는 기독교의 목사 역할에 해당함)를 두어 의사(義舍, 의로운 집)를 지어 거기에 쌀과 고기를 비치해놓아 지나가는 사람들이 배가 찰 때까지 먹도록 했다. 만약 필요 이상으로 가질 경우 요술로 징벌했다. 법령을 위반한 사람은 세 번까지는 너그럽게 용서하지만 그 후 다시 범하면 엄하게 징벌했다. 장리(長里, 마을 이장)를 두지 않고 모두 좨주가 다스렸다. 한족과 오랑캐는 이것이 편리하다고 여겨 좋아했다. 장로는 이 방법으로 파군과 한중에서 30년이나 웅거했다. 후한 말 조정은 장로를 징벌할 힘이 없었으므로 그에게 사자를 보내 진민중랑장(鎭民中郞將)으로 삼고 한녕 태수를 겸임하게 했다. 건안 20년(215) 조조가 장로 정벌에 나섰다. 장로는 한중을 바치고 투항하려 했으나 부하들이 말려 도망갔다. 당시 부하들이 진귀한 보물을 쌓아놓은 창고를 불태우려고 하자 장로가 말했다. “나는 본래 조정의 명에 따라 귀순하려 하지만 실현될 수 없을 것이오. 현재 도망치는 것은 조조 군대의 예봉을 피해보려는 것이지 결코 나쁜 뜻이 없소. 진귀한 물품을 쌓아놓은 창고는 국가가 소유하는 것이오.” 장로는 창고를 불태우지 않고 굳게 닫아놓고 떠났다. 조조가 이 말을 전해 듣고 장로를 칭찬했으며 장로는 가족을 데리고 조조에게 귀의했다. 조조는 기쁘게 그를 영접했고 진남장군으로 삼아 빈객의 예우를 했으며 낭중후(閬中侯)로 봉하고 식읍 1만 호를 주었다. 장수는 표기장군 장제(張濟)의 아들이다. 장제가 죽자 아들 장수가 그 군대를 이어 받아 유표와 연합했다. 조조가 천자를 끼고 천하를 호령한 지 한두 달도 채 안 되는 시점, 정확히 건안 2년(197)에 남쪽으로 원정하여 육수(淯水)에 주둔하고 있을 때 장수 등이 무리를 이끌고 투항했다. 이는 조조가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얻은 성과였다. 그런데 조조는 손쉬운 승리에 도취되었던지 심중치 못했다. 장수의 부친 장제의 미망인을 첩으로 맞아들여 장수에게 굴욕감을 안기려했고 기를 꺾어놓으려 했다. 뿐만 아니라 조조는 장수의 부장인 호차아(胡車兒)와 좋은 관계를 맺어 장수로 하여금 위협을 느끼게 했다. 이것이 오히려 조조에게 화근이 되었다. 장수는 복수의 칼을 갈고 또 갈았다. 조조는 장수가 복수의 칼을 갈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 비밀리에 장수를 죽이는 것으로 선손을 쓰기로 했는데 비밀이 새나가 장수 귀에 들어갔다. 장수는 아무런 준비가 없는 조조를 기습하였고 조조의 군사들은 패해 도망가는 신세가 되었다. 이 싸움에서 조조는 장남 조앙과 조카 조안민이 죽었다. 진수의 <삼국지>에서는 장수가 조조의 아들 둘이나 죽였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여러 사료(史料)들에 의하면 조조의 장남인 조앙이 죽은 것은 사실이고 나머지 한 명은 조조의 친 아들이 아니고 그의 조카 조안민으로 밝혀지고 있다. 조조에게는 아들 하나가 죽었든 둘이 죽었든 또 조카의 죽음도 아들이 죽은 것만큼 비통하기는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더욱이 조앙은 조조가 가장 아끼던 후계자였으니 그의 마음은 갈기갈기 찢어졌을 것이다. <후한서>에 의하면 장남 조앙이 죽자 조조의 후처로부터 정실이 된 변부인은 마치 자신의 친아들이 죽은 것처럼 슬퍼하고 대성통곡했다고 한다. 이 변부인에 대한 ‘미담’이 여러 사서에 기록되어 있는데 후속편들에서 다루기로 하고 계속해서 장수에 관한 이야기를 이어가기로 하겠다. 건안 2년(197) 가을 조조는 두 번째로 장수 정벌에 나섰고 완벽한 승리를 거두었다. 싸움에서 패배한 장수는 근거지마저 잃고 남쪽에 가서 유표와 손잡는다. 이듬해 3월 조조는 아들과 조카의 죽음에 철저하게 복수하려고 세 번째로 장수 정벌에 나섰다. 사실 이때 책사를 맡은 순유(荀攸)가 말렸다. “현재 장수와 유표는 비록 가후(장수의 모사)의 중재로 연맹을 결성하고 있지만 이 두 사람은 동상이몽하고 있습니다. 장수는 유표에게 식량과 마초를 제공받으려 하는데 유표는 제공할 수가 없으니 그들은 조만간 각기 제 갈 길을 가게 될 것입니다. 조금만 더 기다리면 싸우지 않아도 그들 스스로 패할 테지만 급하게 다그치면 유표가 반드시 구원하러 올 것입니다.” 순유의 예측이 100% 맞는 말이지만 조조는 복수심에 불타 그 말이 귀에 들어가기 만무했다. 결국 유표가 지원에 나서자 조조는 양성에서 고생만 하고 철수하고 만다. 조조가 퇴각하자 장수는 이때라 싶어 기뻐서 곧바로 병사들을 보내어 추격하게 한다. 그런데 가후가 말린다. “추격해서는 안 됩니다. 추격하면 반드시 패할 것입니다.” 조조와 마찬가지로 장수도 승리에 도취되어 모사의 말을 들을 리가 없이 추격한 결과 크게 낭패를 보았다. 가후가 또 말했다. “지금은 추격할 수 있습니다. 빨리 쫓아간다면 틀림없이 승리할 것입니다.” 장수는 어안이 벙벙하여 말한다. “방금 선생의 말을 듣지 않아 크게 패했는데 또 추격이라니 뭔 소리요.”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추격하기만 하면 됩니다. 빨리 가십시오.” 장수가 반신반의하면서 패잔병을 수습하여 다시 추격했더니 과연 크게 승리를 거두었다. 장수는 아무리 생각을 굴려보아도 이해가 전혀 가지 않아 가후에게 물었다. “방금 전에 정예 병사들로 퇴각하는 군대를 추격할 때 선생은 반드시 패한다고 했고 지금 패잔병들로 승리한 군대를 추격할 때는 선생은 반드시 승리한다고 했소. 매번 선생이 예측한 대로 되니 나는 도통 알 수가 없구려.”가후가 웃음을 지으며 대답했다. “전혀 이상할 것이 없습니다. 장군께서는 비록 용병술에 뛰어나지만 솔직히 조조만 못합니다. 조조가 이미 철수를 결정했다면 반드시 직접 후방을 엄호했을 것입니다. 장군의 병사들이 비록 정예이기는 하지만 장군의 장수들은 조조만 못하고 조조의 병사들도 정예병들이기 때문에 장군이 패한 것입니다. 하지만 조조가 장군을 공격할 때에 실책이 없었던 데다 힘을 다하지도 않았는데 싸우지 않고 철수했으니 분명히 후방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그가 기왕에 장군의 추격병들을 물리친 이상 반드시 군대의 무장을 가볍게 하고 속도를 내어 안심하고 길을 갔겠지요. 뒤에 남아 후방을 엄호하는 군대의 지휘관들은 장군의 상대가 안 되었을 테니 이번에는 장군이 승리하게 된 것입니다.” 가후의 예측대로 조조의 후방에 문제가 생겼다. 원소가 조조의 남쪽 원정에 나선 틈을 노려 허현을 습격했는데 결과는 원소의 패배였다. 여기서 물러설 원소가 아니었다. 조만간 원소와 조조 사이 천하의 주인이 누가 될 것이냐는 생사결단의 큰 전쟁이 눈앞에 다가오고 있었다. 당시는 원소의 군대가 막강했다. 거의 열 배 정도의 군사 차이가 있었다. 조조에게는 힘이 부치는 전쟁일 터였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을 만큼 절박한 상황에 처해 있을 때 급시우(急時雨)가 나타났다. 바로 장수의 투항이었다. 원소도 비록 조조에 비해 막강한 실력의 군사를 소유하고 있지만 조조에게 투항하는 무리를 경계하여 먼저 선수를 쳐 자기편으로 만들려 했다. 원소는 사자를 보내 장수를 설득하려 했다. 이때 가후가 나서 말했다. “귀찮으시겠지만 귀하는 원본초(원소의 자)에게 가서 자기 형제(원술)도 받아들이지 못하면서 어떻게 천하의 뛰어난 선비들을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고 말해주시오.” 곁에서 듣고 있던 장수는 너무 놀라 오금이 저려 났다. “막강한 원소의 미움을 사면 어떻게 살아남으려고 그러시오?” 가후가 태연한 태도로 말했다. “조조에게 의탁합시다.” 장수는 또 한 번 크게 놀랐다. 미치지 않고서야 어떻게 그런 발상을 할 수 있느냐는 표정이었다. 즉 자기 아들과 조카를 죽인 원수를 받아주겠느냐는 의문이었다. 게다가 하물며 원소는 강대하고 조조는 약소한데 조조에게 붙다니? 말이 되냐는 것이다. 가후가 조리 있게 설명했다. “바로 그 때문에 조조에게 의탁해야 합니다. 첫째 조조는 천자를 받들고 있어 정치적으로 명분상 유리합니다. 둘째 우리 인마(人馬)는 원소에게는 보잘 것 없지만 조조에게는 눈밭에 떨고 있는 사람에게 숯불을 가져다주는 격이 될 것입니다. 셋째 천하를 제패하려는 조조는 개인적인 원한을 따지지 않을 것입니다.” 과연 가후의 예측대로 조조는 장수를 환영하는 파티를 성대하게 열고 과거에 대해 일절 묻지 않았으며 곧바로 양무장군에 임명하고 제후로 봉했다. 조조의 넓은 도량에 감동을 먹은 장수는 관도대전에서 큰 공을 세운다. 장수의 모사였던 가후도 그 이후로 조조에게 가장 도움이 큰 책사였으며 조비 시대까지 역할하면서 천수를 다할 때까지 현명하게 생을 마감했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11-07
  • 국가의 결심, 인민의 호응과 단결 - 코로나 19 전승의 촉매제⑩
    ▲사진은 중국에서 한창 코로나 19가 몹시 기승을 부리던 지난 2월 26일 닝바오 저우산(宁波舟山) 항 촨산(穿山) 부두에 정박해 있는 한척의 컨터이너 화물선 모습이다.ⓒ신화사 (전번 계속) 4월 29일, 중국은 2020년 전국 양회(전국인대와 중국 정협 회의) 소집시간을 세계에 선포하였다. ‘감독판(加长版)’ - ‘5.1’ 휴가기간 유동하는 국가 중국은 다시 활력을 띄기 시작했다. 전국적으로 누적 국내 관광객 1.15억 인차를 접대하여 국내 관광수입 475.6억 위안을 실현했다. 5월 8일의 중남 해, 중공중앙은 중남 해에서 당 외 인사 좌담회를 개최, 코로나 19 예방통제 사업을 두고 민주당 중앙, 전국공상회연합회와 무당파 인사 대표의 의견과 건의를 청취하였다. “코로나 19 예방통제 전쟁의 실천은 중국공산당의 영도와 중국 사회주의 제도 그리고 중국의 국가 치국시스템(治理体系)의 강대한 생명력과 현저한 우월성만이 그 어떤 위험이나 장애도 전승하고 인류의 문명진보를 위해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재차 증명하였습니다.” 이는 좌담회에서 한 시진핑 총 서기의 발언이었다. 중국 ‘양회’의 소집 전야, 시진핑 총 서기는 재차 지방고찰에 나섰다. 산시(山西)에서 시진핑은 코로나 19가 가져온 불리한 영향을 극복하면서 높은 질 발전에로 전환하는 발걸음을 크게 뗀 것을 고무격려, 인민이 첫째라는 것을 견지하여 인민에게 부단히 복을 마련해주며 인민을 중심으로 하는 발전사상을 각항 정책포치와 실제사업에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양회’ 기간 시진핑 총 서기는 제 13기 전국인대 3차 회의에 참가한 네이멍구(内蒙古), 후베이(湖北) 대표단의 심의에 참가했고 해방군과 무장경찰부대 대표단의 전체 회의에 출석했으며 전국 정 협 제 13기 3차 회의에 참가한 경제계 위원들을 찾아줌과 아울러 직접 연합조 회의에 참가하여 대표위원들과 함께 친절히 교류하면서 국사를 의논하였다. 5월 22일, 시진핑 총 서기는 네이멍구 대표단 심의에 참가했을 때 코로나 19의 경외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계속 유지하고 국내에서 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것을 요구, 코로나 19 예방통제라는 활현을 놓지 않고 정상화 예방통제기제를 개선하며 코로나 19가 재 확산하지 못하도록 확보해야 한다고 부탁하였다. 5월 23일, 시진핑 총 서기는 전국 정 협 회의에 참가한 경제 분야의 위원들을 만났을 때 전면적이고 변증법적이며 또한 장원한 안광으로 당전의 경제형세를 분석하는 것을 견지하면서 위기 중 새로운 기회를 찾는 국면을 열어야 한다고 언급, 이튿날 후베이 대표단 심의회의에 참가해서는 바늘귀만한 구멍으로도 큰 바람이 샐 수 있다고 하면서 코로나 19 예방통제의 활시위를 놓지 말고 시종일관 심중하면서 분발하여 외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사업을 잘 틀어쥐는 한편 내부적으로 코로나 19가 재차 나타나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쉽지 않게 쟁취한 성과가 물거품으로 되게 해서는 절대 안 된다고 강조하였다. 이 외에도 시진핑 총 서기는 제 13기 전국인대 3차 회의에 출석한 해방군과 무장경찰부대 대표단의 전체 회의에서는 코로나 19를 예방통제 사업을 잘 하는 전제하에서 군대의 각 항 사업을 착실하게 잘하는 것으로 국방과 군대 건설의 2020년 목표와 임무를 견결히 실현해야 한다고 재삼 강조하였다. 인민건강의 수호는 자나 깨나 총 서기가 염두에 두고 있는 이념이었다. 6월 2일, 시진핑 총 서기는 전문가 학자 좌담회를 주최함과 아울러 중요한 연설을 하였다. 회의에서 그는 오직 강대한 공공위생 시스템을 구축하고 경보 메커니즘(预警响应机制)을 건전히 하는 동시에 전면적인 예방통제와 구급치료 능력을 향상시키고 방호 망을 밀집하게 만들고 격리벽을 견고하게 구축해야 만이 인민의 건강을 수호하는 유력한 보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양회’가 결속된 뒤 시진핑 총 서기는 선후로 닝샤(宁夏), 지린(吉林)과 안후이(安徽)를 고찰하였다. 닝샤에서 시진핑 총 서기는 코로나 19가 갖다 준 불리한 영향을 극복하면서 우선 취업과 민생을 안정시키면서 초요사회를 전면 건설하는 결승전을 벌이고 빈곤탈퇴 공략의 결전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지린에서 시진핑 총 서기는 새로운 발전의 이념으로 둥베이(东北) 진흥전략을 심도 있게 실시하는 것을 견지하여 새로운 시대 지린의 전면 진흥의 추동력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안후이에서 시진핑 총 서기는 정상적인 코로나 19 예방통제 사업과 경제사회 발전 사업을 통일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홍수방지와 재해후의 회복재건 그리고 창장 삼각주(长江三角洲)의 일체화 발전, ‘14차 5개년 계획’ 시기 경제사회발전 진행에 대해 조사연구를 진행, 처음으로 창장 삼각주 일체화발전 전문 좌담회를 소집해서는 창장 삼각주의 3개 성, 1 개 시가 먼저 신 발전 결구를 형성하여 중국 과학기술과 산업창신의 선봉이 되는 것으로 개혁개방의 새로운 고지를 구축하라고 지시했다. 드디어 중국경제의 전환기가 도래했다. 7월 16일, 중국경제의 반년보고가 출범, 올해 제 2분기의 중국경제는 작년 동기에 비해 3.2% 증장했고 제 1분기에 비해서는 10% 증장했다. 코로나 19 예방통제와 경제사회 발전사업이 취득한 중요성과를 총괄하고 코로나 19의 중대 고험을 경과한 중국경제는 온당하게 회복함과 아울러 경제운행이 점차 호전을 이룬 이것은 세계경제에 자신심과 동력을 주입하기에 충족하였다. 국내 외 복잡하고도 준엄한 환경에 직면하여 시진핑 총 서기는 목전에 입각하여 중장기를 내다보면서 중국경제의 항선이 거칠고 사나운 파도를 뚫고 항행하도록 키를 잡고 지휘하였다. 7월 21일, 인민대회당 동 대청, 당일 시진핑 총 서기는 기업가 좌담회를 소집, 좌담회에서 그는 코로나 19가 중국의 경제와 세계경제에 거대한 충격을 주었다면서 중국은 많은 시장주체가 전대미문의 압력에 직면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천방백계로 시장주체를 보호하고 시장주체의 활력을 격발시켜 기업가 정신을 고양, 기업의 작용으로 더욱 큰 발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추동해야 하며 경제발전을 위한 기본역량을 축적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14차 5개년 계획’ 시기는 중국이 초요사회를 전면 건설하여 첫 번째 100년 분투목표를 실현한 후 승승장구로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 건설을 전면 개척하는 새로운 장정이며 두 번째 100년 분투목표를 향해 진군하는 첫 번째 5년이었다. 이로써 중국은 곧 새로운 발전단계에 들어서게 되었다. 8월 24일 중남해, 이 날 시진핑 총 서기는 경제사회 영역 전문가 좌담회를 소집 주최하였다. 회의에서 그는 ‘14차 5개년 계획’의 역사적 방향에 대하여 중요한 판단을 하였다. “변증법적 사유로 새로운 발전단계의 새로운 기회와 새로운 도전을 봐야 한다. 국민경제의 순환이 거침없이 통하게 하는 것을 위주로 새로운 발전 구조를 구축하고 과학기술 창신으로 새로운 발전의 에너지를 부여하며 개혁을 심화하여 새로운 발전의 활력을 격발시켜 높은 수준의 대외 개방으로 국제합작과 경쟁우세를 확보해야 하며 함께 건설하고 함께 다스리며 함께 공유하는 사회발전의 새로운 국면을 개척해야 한다……” 8월 31일까지 시진핑 총 서기는 중공중앙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 중앙 정치국 회의 및 중앙 전면 개혁심화 위원회 회의, 중앙 인터넷안전 및 정보화 위원회 회의, 중앙외사사업위원회 회의, 전문가 학자 좌담회, 기업가 좌담회, 당 외 인사 좌담회, 창장 삼각 주 일체화 발전을 착실히 추진할 데 관한 좌담회(扎实推进长三角一体化发展座谈会), 경제사회 영역 좌담회 및 중앙 전면 의법치국(依法治国) 위원회 회의 등을 연속 주최했고 10차에 거쳐 지방 고찰과 조사연구를 했으며 60여 차에 거쳐 외국의 지도일꾼과 국제기구 책임자와 통화를 했다…… 9월 1일에 소집된 중앙전면 심화개혁 위 제 15차 회의에서 시진핑 총 서기는 개혁이라는 이 관건적인 단추를 계속 잘 활용하고 용왕매진하는 정신을 견지하며 풍랑 속에서도 전진하는 전략 적 추진력으로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제도를 견지, 완벽 화하고 국가를 다스리는 시스템과 그 시스템 능력을 현대화해야 하며 더욱 심층으로 개혁을 추동하고 더 높은 수준으로 개방하여 새로운 발전 판도의 구축에 강력한 동력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13차 5개 년 계획’과 ‘14차 5개 년 계획’의 교차점에서 시진핑 총 서기는 미래의 5년, 지어는 더욱 긴 시간의 중국발전을 위해 새로운 서막을 열기 시작했던 것이다. (四) 지난 4월 4일은 경자 년 청명절이었다. 이 날 중국의 960만 제곱킬로미터의 땅에는 반기가 내려지고 산천은 비통에 잠겼다. 오전 10시, 방공용 사이렌 소리가 울리고 자동차, 열차와 선박이 경적을 울리면서 사람들은 3분간 묵도하였다. 이 날 중국 전체는 국가의 명의로 코로나 19로 희생된 열사와 사망한 동포들을 비통한 심정으로 애도하였다. 이 장면을 보고 주중 이란 대사관에서는 웨이터에 이렇게 썼다. 이 국가의 추모의식은 우리들로 하여금 중국이란 이 나라가 개인의 존엄과 생명에 대해 어떻게 존중하고 아낀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으며 또한 14억 중국인민들의 단체 정감 배후에 숨어있는 단결심과 그 역량을 읽을 수 있었다. 한편 같은 날, 수천 킬로미터 밖의 제네바에 있는 세계위생조직의 통계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코로나 19 확진사례가 110만 건을 초과했고 코로나 19는 세계 207개 국가와 지구를 석권하고 있었다. 이번에 돌발적으로 습격해 온 코로나 19는 일종 아주 처참한 방식으로 재차 세상에 인류는 하나의 동고동락하는 운명의 공동체라는 것을 증명하여 주었다. “간고하고도 지루한 노력으로 거대한 대가를 치르면서 중국은 코로나 19의 국세를 유력하게 돌려 세웠으며 인민의 생명안전과 신체건강을 수호하였다. 중국 측은 시종 공개적이고 투명하며 책임감이 있는 태도로 세계위생조직 및 해당 국가들에 코로나 바이러스 유전자 등 정보를 제 1의 시간대에 공개했으며 조금의 비밀도 없이 각 측이 공유하도록 예방통제 및 구급경험을 제공, 될수록 이를 수요 하는 모든 국가들에 대량의 지지와 방조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는 지난 5월 18일 밤, 영상으로 진행된 제 73회 세계위생대회에서 ‘단결 합작으로 코로나를 전승하고 공동히 인류위생건강의 공동체를 구축하자’란 제목으로 된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의 연설이었다. 코로나 19 예방통제사업을 전력으로 잘하고 세계위생조직의 지도 작용을 발휘시키며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지지를 확대하고 전 지구의 공공위생 관리사업을 강화하여 경제사회 발전을 회복하고 국제합작을 강화한다 ㅡ 시진핑 주석은 이상의 6가지 건의를 제출하고 전 지구적 코로나 19 대응 5대 조치를 선포했으며 손잡고 인류위생건강 공동체를 구축하자는 중국의 창의를 밝혔다. 이번 전 인류와 바이러스의 전쟁 중 중국은 시종 인류운명의 공동체 구축이란 이념을 틀어쥐고 본국 인민의 생명안전과 신체건강에 대해 책임졌을 뿐만 아니라 세계 공공위생 사업 앞에서도 해야 할 직책을 다 하였다. 3월 11일, 세계위생조직은 코로나 19는 이미 ‘전 지구적인 유행병’으로 세계의 공공위생안전에 아주 큰 도전을 갖다 주었다고 선포하였다. 이에 시진핑 주석은 “중국 측은 해당 국가들과 코로나 19 예방통제 경험을 공유하기를 원하며 약물과 백신을 연합하여 연구개발하며 아울러 현재 코로나 19가 확산하는 일부 국가에 할 수 있는 원조를 제공할 것”이라고 유엔 사무총장과의 통화에서 정중히 승낙하였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11-07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도전, 세계는 중국의 역할 기대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최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도전, 세계는 중국의 역할 기대’란 특집 기사를 내보냈다. 다음은 기사 원문 내용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세계로 하여금 거대한 충격에 빠지게 했으며 백 년 시국의 연변(演变)을 가속화했으며 위험과 도전이 끊어지지 않게 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는가 하는 것은 각국의 공동 이익과 세계의 안정 그리고 지속적인 발전에 크게 연관되고 있다. 최근 있은 유엔 창립 75주년 시리즈 고급별 회의에서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관련해 일련의 중대한 문제들에 대해 전면적이고도 심도 있게 천명하고 해석, 국제사회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마땅히 해야 할 많은 도전에 대응할 지명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해 각국 지도자들은 깊은 환영을 표시하면서 아울러 중국이 도전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을 기대했다. 생명건강 보호하고 세계적 위생 합작 추진 기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생명건강은 관건적인 키워드로 되고 있다. 현재 코로나19는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고 세계의 사망 인수는 이미 100만 명 라인을 훨씬 돌파했다. 의학전문가들은 인류가 적시 적으로 코로나19를 전승하더라도 세계는 재차 중대한 전염병 침습을 받을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예측하고 있다. 코로나19가 폭발한 이래 물자 원조로부터 백신의 연구개발에 이르기까지, 진료 기술 공유로부터 더욱 강 유력한 위생처리 시스템 구축에 이르기까지 중국은 져야 할 책임에 대해 체현했고 전 세계의 위생 합작의 추진과 인류 위생 건강의 공동체를 위하여 부단히 새로운 동력을 주입하였다. 인류 위생 건강 공동체의 구축이란 국제사회의 지속적이고도 아낌없는 노력이 수요 되는 것이다. 해외 인사들은 각국은 세계 위생 조직으로 하여금 더욱 큰 작용을 발휘하도록 지지해 주어야 하고 백신, 약물, 진단키드의 연구개발 등 영역에서의 합작을 강화하여 접근성과 책임감을 제고해야 하며 세계적으로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최후의 승리를 이룩해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실업 신문 주필 셸 리크 코르용바예프는 중국은 백신의 연구개발이 완성되어 사용에 투입되면 이를 전 지구적인 고 공산품으로 되게 하겠다고 승낙, 국제사회에 발전 중의 국가 특히는 발달하지 못한 국가도 백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관심을 표했으며 또한 백신의 접근성과 책임성에도 기여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말레이시아 아시아 책략 연구센터 장 옹체 케트는 중국은 가장 선 참으로 코로나19 예방통제에 성공함과 아울러 일터 복귀와 생산 회복을 실현, 이는 각국에 모범을 보여줌과 아울러 자신 심을 보태 주었으며 중국정부가 견지하고 있는 생명 제일, 과학적인 예방치료 등 이념은 각국에 코로나19를 전승할 수 있는 중요한 거울을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류의 미래와 전염병과의 투쟁에 장원하고도 적극적인 영향을 제공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전 지구 다스리기로 공동으로 위험과 도전 막아내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위험과 도전을 막아낼 수 있느냐 없느냐는 현재 각국 앞에 직면한 ‘과제’이다. 인류는 부단히 승화되고 있는 비전통적인 안전 위험을 방지해야 할 뿐만 아니라 비전통적인 안전 위험과 전통적인 안전 위험이 층층이 교차로 생기는 거대 위기에도 경각성을 높여야 하는 것이다. 오늘의 세계는 지정학적 전략의 긴장 국세에 직면해 있다. 즉 기후 위기, 디지털 기술의 어두운 면, 코로나19 등 중대 위협을 말하는 것이다. 중대한 도전은 국경이 없으며 각국의 운명과 늘 연관되어 있다. 위험과 도전에 대응하자면 전 지구적 다스리기를 개선하고 단결과 합작을 강화하는 것으로 강대하게 뭉쳐진 힘이 형성되어야 한다. 지구 다스리기를 개선하자면 우선 다자주의를 견지하는 것과 유엔의 권리와 지위를 수호하는 것이 수요 된다.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의 상무이사국으로서 줄곧 유엔 사업의 견정한 지지자였다. 올해의 유엔대회 기간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재차 일련의 유엔을 지지할 데 관한 창의와 조치들을 선포, 유엔에 코로나19에 대한 인도주의 대응계획에 재차 5000만 달러의 지지를 제공해 규모 5000만 달러에 달하는 제3기 중국 - 유엔 양식 농업조직 남남 합작 신탁기금 등을 설립했다. 이런 조치들은 중국이 평화와 발전 사업의 주동적인 소행이었으며 더욱이는 중국이 다자주의를 지지하는 착실한 행동이었다. 파키스탄 타임지 작가 애스람 칸은 중국은 전 인류의 이익으로부터 출발하여 견정하게 다자주의와 아울러 유엔의 사업을 수호하고 있으며 오직 다자주의를 견지하고 인류 운명의 공동체를 구축해야 인류는 코로나19 등 전 지구적인 도전을 전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쿠바 국제정치연구센터 연구원 에두아르도 레가 나도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국제사회는 국제 정치와 경제의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는 것과 유엔 등 국제조직의 개혁과 민주화 추동이 시급하다면서 중국은 시종 다자주의와 공정 및 정의를 견지하는 것으로 앞으로 발전 중 국가들로 하여금 국제사회에서의 발언권을 높이게 하기 위해 매우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경제 회복 추동하고 개방과 포용 이념 강화해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제 회복은 각국의 공동한 염원이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세계경제는 제2차 세계대전 이래의 가장 엄중한 쇠퇴를 겪고 있다. 동시에 글로벌화에 역행하는 사조가 머리를 쳐들고 있는바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성행, 이는 세계경제에 설상가상으로 되고 있다. 경제의 글로벌화는 객관 현실적이며 역사의 조류이다. 중국은 개방과 포옹 이념의 강화, 견정 불이하게 개방형의 세계경제 시스템 구축과 세계무역 조직(WTO)을 기반으로 하는 다자무역 체제를 수호할 것을 주장, 기치가 선명하게 일방주의, 보호주의를 반대하면서 글로벌 산업의 고리와 고리 사이가 안정적으로 잘 소통되게 하고 있다. 올 들어 광저우 수출산품 교역 회(广交会)로부터 서비스산품 교역 회와 중국 수입상품 교역 회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외상투자법과 경영상 최적화 환경조건 등을 정식 실행해서부터 3개의 자유무역 구를 설립하기까지…… 중국은 세계에 향하여 중국 개방의 대문을 닫지 않을 것이며 아울러 더욱 활짝 열어놓고 있다는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태국 은행 고급 부총재인 채위재(蔡伟才)는 중국 경제의 굴기와 기적은 하나의 개방형 경제모델의 성공이라고 인정했다. 현재 세계경제는 준엄한 고험에 직면,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머리를 쳐드는가 하면 개방형의 세계경제는 각국에 자원 공유, 상호 우세 지원 및 합작과 공동번영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류는 포용으로 된 신형의 글로벌화를 수요하며 이것으로 균형이 된 발전을 실현하려고 하고 있다. 중국 현대국제관계 연구원 세계 정치연구소 천향 양(陈向阳)에 따르면 ‘일대 일로(一带一路)’ 건설은 공동 협상하고 공동 건설하며 공동 향수하는 이념을 틀어쥐면서 발전 중에 있는 국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제의 회복과 발전에 유리하도록 돕고 있다. 발전 이념을 새롭게 하여 친환경 건설해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친환경 건설과 혁신은 각 국이 발전하는 ‘필수 선택항목’이다. 각종 전염병과 자연재해의 빈번한 발생은 인류에게 자연을 존중하고 순응하며 아울러 자연을 보호하는 인류와 자연의 조화 속에서 공동 생존하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즉 발전 및 생활 방식을 개변하여 생태환경 보호와 높은 질의 발전이란 윈윈 목표를 실현해야 하는 것이다. 중국정부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30년 전으로 정점 기에 도달하게 하고 2060년 전에 탄소중립국 표준에 도달하겠다고 정중히 승낙했다. 프랑스 매체 미아리는 많은 환경보호 일꾼들은 이 소식을 접한 후 자기의 귀를 의심하면서 이 승낙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파리협정’에 생명력을 주입했다면서 감탄해 마지않았다고 보도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어떻게 하면 세계경제의 회복과 지속 발전을 실현하겠는가? 중국은 각국을 향해 혁신, 협조, 친환경, 개방과 공유의 새로운 발전 이념을 수립하여 새로운 라운드의 과학기술혁명과 산업 변혁의 역사적 기회를 틀어쥐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세계경제의 ‘친환경 복원’을 추동하면서 지속 발전의 강대한 힘을 모아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그루지야 데일리 뉴스 주필 아프탄디르 오티마슈빌리는 중국은 인류 문명에 대해 고도로 책임지는 각도에 서서 세계 환경 다스리기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면서 현재 각국에서 코로나19에 대응하고 높은 질의 경제 회복 추동에 진력하는 시각, 중국이 제출한 친환경 발전의 주장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피로했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11-03
  • '삼국지' 재해석⑩ 바보스런 의인(義人)의 아이콘 장홍
    ●김정룡(다(多)가치 포럼 위원장) 자고로 인간 세상에는 배신하는 자가 있는가하면 의리를 지키는 자도 있기 마련이다. 삼국시대(정확하게 말하자면 후한 말기)에는 천하가 대혼란에 빠져 난세의 영웅들이 여기저기서 뛰쳐나오고 서로의 이익을 위해 적군도 아군도 없는 이합집산이 대세를 이뤘다. 하지만 언제나 그럴 듯 난세에도 이익보다 의리를 우선하는, 우선할 뿐만 아니라 목숨처럼 여기는 강호의 사내도 있었다. “소인은 이(利)를 쫓지만 군자는 의(義)를 추구한다.” 위대한 공자님의 말씀이다. 삼국시대 강호의 장수 중에 무예가 가장 뛰어난 여포는 이(利)를 지나치게 쫓는 바람에 배신의 아이콘이 되었고, 이와 반대로 관우는 의리를 지켜 조조마저 곁에 두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다. 그런데 소설 <삼국연의>는 있지도 않은 유비 삼형제의 ‘도원결의’를 지어냈고 이 삼형제의 충과 의를 영웅화 하는데 중점을 둔 결과 수많은 진짜 영웅들의 진실이 묻혀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소설 <삼국연의>를 읽어 본 독자들께서는 아마 장홍(臧洪)이란 인물이 기억 속에 없을 것이다. 역사에서는 장홍이 관우보다 훨씬 100배 더 의리를 지킨 강호의 사나이였지만 나관중은 유비 삼형제를 내세우기 위해 장홍을 물밑으로 밀어낸 결과 후세 사람들은 장홍이란 이름조차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 필자가 장홍에게 눈길을 돌린 이유는 진수의 <삼국지> 때문이다. 진수의 <삼국지>에서는 여포와 장홍을 한 챕터에 묶어놓았다. 여포와 장홍의 이 챕터는 <삼국지> 위서(1) 앞부분에 위치해 있어 비중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재미있는 것은 한 챕터에 묶어 다뤄진 여포와 장홍은 서로 완전히 반대되는 인물이라는 것이다. 즉 여포는 배신의 아이콘인데 비해 장홍은 의리의 아이콘이다. 이 극과 극에 있는 두 인물을 한데 묶어 기록한 것은 아마 비교를 위함이었을 것이다. 장홍은 도대체 어떤 인물이었나? 장홍의 아버지 장민(臧旻)은 흉노중랑장, 중산과 태원(지금의 山西省 太原)의 태수를 지냈는데 부임지마다 명성을 떨쳤다. 진수의 <삼국지>에 의하면 장홍은 체격과 용모가 위풍당당했다고 한다. 그는 예의에 밝아 효렴(孝廉)으로 추천되어 낭(郎, 요즘 말로 하면 공무원 시험 합격자))이 되었고 성과가 뛰어나 얼마 후 즉구현(卽丘縣)의 장이 되었다. 영제 말년에 세상이 어지러워 장홍은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는데 광릉 태수 장초가 그를 불러 공조로 삼았다. 장홍은 대가 바르고 아주 정의적인 사내였다. 동탁이 황제를 살해하고 나라를 위기에 빠뜨리고 획책하니 장홍은 장초에게 말했다. “명공은 대대로 천자의 은혜를 입었고 형제도 큰 군(郡)을 다스리는 관리입니다. 현재 황실은 위기에 처했는데 적신(賊臣)은 아직 제거되지 않았으니 이는 진실로 천하에서 정의롭고 열렬한 선비들이 목숨을 바쳐 황은에 보답해야 할 시기입니다. 지금 경계가 아직 온전하고 관리와 백성도 풍족하니 만일 징을 치고 북을 울려 병사를 모으면 2만 명은 소집할 수 있습니다. 이들을 이용해 국가의 적을 주살하고 천하를 위하여 바른 행동을 선도한다면 이는 정의 가운데서 가장 위대한 것입니다.” 장초는 장홍의 말이 전적으로 옳다고 여겨 함께 서쪽으로 향하여 형 장막이 있는 진류에 도착했다. 장막은 의협기질이 있어 일찍부터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그는 집안의 재산을 아까워하지 않고 가난한 사람을 도와주고 위급한 사람을 구해 주어 많은 재사들이 그에게 의탁했으며, 한때 조조·원소 등과도 가까이 지냈다. 이렇듯 장막과 장홍은 기질적으로 통하는 것이 많았다. 장막은 즉시 장홍을 불러 만나 대화를 나누어보고는 매우 특별하다고 여겼다. 그래서 그를 연주 자사 유대와 예주 자사 공서(孔緖)에게 소개하니 모두 장홍과 친하게 지냈다. 독자들은 아마 소설 <삼국연의>에서 유비 삼형제가 도원결의를 맺을 때 소를 제물로 바치고 그 피를 나눠 마시는 것으로 맹세를 다짐하는 의식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고대사회에서 여럿이 모여 일을 도모할 때 변치 말자는 맹세를 이런 식으로 거행했다. 장홍과 친하게 된 여러 사람들이 모여 일을 도모하려고 장홍을 맹주로 추대하였고 추대 받은 장홍은 곧 제단에 올라 쟁반에 부어놓은 피를 마시며 맹세하였다. 속설에 의하면 맹약의식 때 마시는 피는 얼룩소의 피였다고 한다. 장홍의 맹세는 거창하고 굳셌다. “한나라 황실은 불행하게도 기강이 법통을 잃었으며 역적 같은 신하 동탁이 이 기회를 틈 타 나라를 어지럽혀 그 화가 제왕에게까지 미쳤고 그 잔혹함은 백성에게까지 흘렀으니 국가가 파괴되고 천하가 전복될까 크게 두렵습니다. 연주 자사 유대, 예주자사 공주, 진류 태수 장막, 동군 태수 교모, 광릉 태수 장초 등은 의로운 군대를 규합해 모두 국가의 어려움을 구할 것입니다. 무릇 우리는 함께 맹세하고 마음을 일치시켜 협력함으로써 신하로서 충성과 절개를 바칠 것이며 목을 베일지라도 절대로 두 마음을 품지 아니할 것입니다. 이 맹약을 어기는 사람이 있으면 그의 목숨을 빼앗고 자손도 모두 없앨 것입니다. 하늘의 신과 땅의 신이여! 황실과 선조의 신령이여! 모두 함께 이들을 살펴주십시오!” 장홍의 말에는 격정의 기운이 흘렀고 눈물이 좌우로 흘러내렸다. 그의 말을 들은 자라면 비록 일개 병졸이나 잡부라 할지라도 감정이 격앙되지 않은 자가 없었으며 다들 목숨을 바치리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대오는 전진하지 못하고 식량이 다 떨어지자 다들 해산했다. <성경>에 이르기를, “시작은 미약하나 나중에 창대하리라!” 장홍과 의기투합했던 이 대오는 시작은 거창했으나 나중에 너무 미약해서 흩어지고 말았다. 장초는 발이 넓었다. 장홍을 원소에게 보내 유우를 천자로 옹립하는 일을 도모하게 했다. 그러나 공손찬의 방해로 성사되지 못했다. 하지만 원소는 장홍을 인재로 보고 활용하기로 했다. 청주 자사 초화(焦和)가 죽자 장홍을 청주에 남아 다스리게 했다. 장홍은 원소의 믿음에 보답했다. 청주 재임 2년간 도적들이 모두 달아났다. 원소는 그의 재능에 감탄하여 동군 태수로 옮기고 동무양을 다스리게 했다. 장홍과 원소 사이의 ‘밀월’ 관계에 금이 가게 한 것은 조조였다. 조조가 옹구에서 장초를 포위하자 장초가 말했다. “오직 장홍을 믿을 뿐이니 분명 그가 와서 나를 구해줄 것이다.” 당시 조조와 원소의 관계는 한창 좋을 때어서 주변 사람들이 장홍이 오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자 장초가 말했다. “자원(장홍의 자)은 천하의 정의로운 선비이므로 끝까지 근본을 배반하지 않겠지만 단지 원소가 막아서 이곳에 도달하지 못할까 두렵네요.” 장초의 소식을 들은 장홍은 과연 맨발로 뛰쳐나와 통곡했고 군대를 이끌고 원소에게 가서 장초를 구하러 가기를 원했지만 원소는 끝까지 허락하지 않았다. 장초는 결국 조조한테 멸족 당했다. 이 일을 계기로 장홍은 원소에게 원한을 품고 절교하기에 이르렀다. 원소는 군대를 일으켜 장홍을 죽이려고 했다. 그런데 해를 넘기도록 함락에 실패하여 원소는 장홍과 같은 고향 친구인 진림으로 하여금 편지를 써서 저항과 항복 경우의 이해득실을 알려주었으며 은덕과 도의로 장홍을 꾸짖었다. 서신을 받은 장홍은 죽을지언정 투항할 의사가 꼬물만치도 없다는 답장을 보냈다. 장홍의 태도가 완강하게 나오자 원소는 병력을 증가하여 거센 공격을 감행했다. 시간이 하도 많이 흘러 성안의 양식이 다 떨어졌고 바깥의 구원도 받지 못하자 장홍은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음을 알고 관리와 병사들을 불러 모으고 솔직하게 말했다. “원씨(원소)는 도의가 없고 알을 도모할 때 원칙도 없으며 또 군장(장초)을 구하지도 않았소. 나 장홍은 대의를 위해 하는 수 없이 죽으나 여러 분은 아무 관련도 없이 공연히 이런 화를 만나게 되었음을 유념하시오! 성이 함락되기 전에 처자를 데리고 탈출하시오.” 장군, 관리, 병사, 백성들은 모두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명공께서는 원소와 본래 원한이 없었으며 지금은 우리 군수와의 인연 때문에 스스로 이런 파멸과 곤궁에 이르렀는데 저희가 어떻게 차마 명공을 버리고 떠날 수 있겠습니까?” 먹을 것이 다 떨어져 처음에는 다들 쥐를 잡아 죽순을 삶아서 먹었으나 나중에는 더는 먹을 게 없었다. 주부(主簿)가 내주(內廚)를 열어 쌀 서 말을 꺼내 와서 절반을 나눠 죽을 끓이고 장홍에게 조금씩 먹이려 하니 장홍이 긴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 “이것을 나 혼자 먹으면 어찌하겠는가?” 장홍은 죽을 모두에게 나눠 먹이고 그의 애첩까지 죽여 장사(將士)들을 먹였다. 장사들은 모두 눈물을 흘리며 얼굴을 쳐들고 바라볼 수도 없었다. 결국 남녀 모두 7천~8천 명이 서로 베고 죽었으며 성을 떠나거나 배신한 자가 한 사람도 없었다. 당시는 애첩을 잡아 부하들에게 먹인 것이 살인죄는 고사하고 미담으로 찬사를 받을 일이었을 것이다. 그건 그렇고 성이 함락되자 원소는 장홍을 사로잡았는데 워낙 장홍을 좋아하다보니 살려주기로 하고 사면하여 활용하려고 했다. 그런데도 장홍은 기어코 항복하지 않자 결국 죽이고 말았다. 이 때 장홍의 고향사람이자 열렬 팬인 진용(陳容)이 나서 말했다.“장군은 큰일을 일으켜 천하를 위하여 포악한 사람을 제거하려 한다면서 오히려 충성스럽고 정의로운 사람을 먼저 죽이니 어찌 하늘의 뜻에 부합하겠소? 장홍이 군사를 일으킨 것은 군장(장초)을 위한 것인데 어째서 그를 죽이는 것이오?” 원소는 결국 진용도 죽이고 말았다. 그 장소에 있던 모든 사람들이 탄식했다. “어찌하여 하루아침에 충성스런 선비를 둘씩이나 죽이는가?” 원소는 그릇이 작기 때문에 결국 큰일을 도모하지 못하고 조조에게 패해 생을 마감했다. 후세 사람들은 장홍의 죽음에 대해 어떻게 평가를 내렸을까? 중국 고사성어에 이런 말이 있다. 군자는 ‘능굴능신(能屈能申)’ 할 줄 알아야 한다. 뜻인즉 굽혀야 할 때는 굽히고 펴야 할 때는 펼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런 말이 있다. 군자는 ‘감당할 줄도 알아야 하고 내려놓을 줄도 알아야 한다(拿得起, 放得下).’ 아무리 의리를 중히 여기는 관우도 조조에게 잡혀 있을 때 공을 세우는 조건으로 떠나는 길을 선택하여 후일을 도모하기로 했다. 이런 행위를 두고 ‘능굴능신’이라 하고 감당할 줄도 내려놓을 줄도 아는 군자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장홍은 굳이 자신의 목숨뿐만 아니라 애첩까지 죽이고 그를 따르던 7~8천 명의 목숨까지 잃게 한 것이 과연 현명한 처사인가, 새삼 돌아보지 않을 수가 없다. 그래서 장홍은 의리의 사내임에는 틀림없지만 앞에 ‘바보스런’이라는 수식어를 붙여 ‘바보스런 의인의 아이콘’이라는 타이틀을 붙여주고 싶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10-28
  • 국가의 결심, 인민의 호응과 단결 - 코로나 19 전승의 촉매제⑨
    ▲사진은 4월 18일, 헤이룽장성 수분하 시(黑龙江绥芬河市) 도시입구에서 사업일꾼들이 정보검증을 하고 있는 장면이다. (전번 계속)2020년은 중국에서 빈곤탈퇴 공략 결전의 해였고 초요사회를 전면 건설하는 결승의 해이기도 했다. 그러나 돌연적으로 기습해온 코로나 19는 중국의 경제사회발전에 전대미문의 충격을 갖다 주었다. 그럼 어떻게 통일적으로 코로나 19를 예방 통제하는 것과 경제사회 발전을 잘해 내는가 하는 것은 하나의 난제로 되는 문제가 아닐 수 없었다. 코로나 19 예방 통제의 관건 적 시각, 중국공산당 중앙은 인민을 중심으로 하는 과단한 포치를 강행 ㅡ 전국에서 가장 우수한 의료진, 가장 선진적인 설비와 가장 긴급 수요 되는 자원을 집중하여 전심전력으로 제 1선을 지원했다. 전국이 동원되고 전민이 참여, 연합방지 연합통제로 집단 예방, 집단 퇴치하여 가장 엄밀한 예방통제 시스템을 구축했다. 광범한 인민 대중들은 총체를 인식, 전반 국면을 관심하면서 자각적으로 코로나 19와의 예방통제란 대 국면에 배합하여 전염병 예방통제의 강대한 저변의 역량으로 되었다. 경제사회란 하나의 순환시스템으로 장기간 정지상태에 머물 수는 없는 것이다. 해답의 관건은 시간과 추세의 상황에 따라 정확하고도 명중률이 높게 책략을 실행하는 것이었다. 2월 3일, 코로나 19 예방통제가 가장 힘든 시기, 시진핑 총서기는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회를 주최하면서 “코로나 19가 특별히 엄중한 지구에서는 정력을 집중하여 예방통제사업을 잘 해야 하고 기타 지구에서는 예방통제사업을 잘하는 동시에 개혁발전과 안정 등 각항 사업을 잘 해야 하는바 특히 전면적인 초요사회를 건설하는 사업과 관련된 중점 임무를 적극 완성해야 하며 절대 늦추거나 기다린다는 사상을 가져서는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후베이 보위 전과 우한 보위 전(湖北保卫战、武汉保卫战)에서 하나 또 하나의 보루가 공략되면서 코로나 19의 만연추세는 초보적으로 억제되기 시작했다. 2월 21일, 시진핑 총 서기는 재차 중앙 정치국회의를 주최, 코로나 19 예방통제와 상응하는 경제사회 운행시스템을 건립할 것을 요구, 명확한 코로나 19 만연 상황에 따라 구역을 획분 하는 표준을 제정하도록 하였다. 당일, 중국 국가발전개혁 위는 중국의 마스크 단일 생산량이 연속 쾌속 증장, 일반 마스크와 N95 마스크 생산량이 모두 1억 개 라인을 돌파했다고 선포하였다.2월 23일, 베이징의 인민대회당 동쪽 대청- 당일, 참가자가 17만 명에 달하는 방대한 규모의 TV 전화 회의가 열렸으며 시진핑 총 서기는 현 급에 이르기까지의 코로나 19 예방통제 책략에 대하여 세절 적으로 언급했다. “코로나 19의 저 위험지구에서는 하루 속히 예방통제책략을 외지유입 방지에 돌리고 생산과 생활 질서를 전면 회복해야 하고 중 위험지구에서는 예방통제형세에 따라 질서 있게 일터회귀와 생산회복을 해야 하며 고 위험지구에서는 계속 정력을 집중하여 코로나 19의 예방통제사업을 철저히 잘 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중화민족은 수많은 좌절을 겪어왔지만 종래로 굴복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좌절 속에서 더욱 용감해졌다.” 시진핑 총 서기의 연설을 지축을 울리는 듯 박력이 있었다. 이어 “점 대 점 원스톱(点对点、一站式)” 형식으로 된 직통수송 봉사로 농민 공 일터복귀, 대졸생의 취업, 재정세수와 금융, 사회보험 정책의 중소기업 지지하기 그리고 중대 외자항목 낙착하기 등에 대해 시진핑은 구체적으로 포치했다. 봄 파종 철이 다가오자 시진핑은 전문 춘계 농업생산사업에 대해 포치하면서 위험과 도전에 직면할수록 더욱 농업을 안정시키고 식량과 중요 부식품의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3월 2일, 충칭 시 위베이 구의 어느 한 기업에서 의료용 N95 마스크 포장 직장에서 작업하고 있는 장면이다. 3월 6일, 중국공산당 제 18차 당 대회 이래 규모가 가장 큰 빈곤탈퇴 공략회의가 TV 전화 회의 형식으로 열렸고 시진핑 총 서기가 드디어 돌격명령을 내렸다. “2020년까지 현행 표준으로 된 농촌빈곤인구가 전부 빈곤에서 벗어나는 것은 당 중앙이 전국인민들에게 정중하게 승낙한 언약이다. 우리는 반드시 기한 내에 이 승낙을 실현해야 하며 여기에는 그 어떤 후퇴거나 유연성이 있어서는 안 된다.” 위험과 도전이 클수록 견정불이하게 자기의 일을 잘해야 한다.    코로나 19의 발생 후 일부 국가에서는 중국에 있는 자국교민들을 철수하고 중국과의 국제항공편을 중단했으며 중국의 선박에 대해 관제하기 시작했다. 중국의 환절은 주동적으로 변혁을 꾀하고 포위망을 뚫고 자구책을 강구해야 했다. 이는 자기 자신만이 아니라 전 지국적인 공급 고리와 산업 고리의 안정을 위해서도 거대한 기여를 해야 했다. 3월 9일, 미중무역 전국위원회는 다국적 회사들을 향해 일터복귀와 생산회복 커뮤니케이션 핫라인(沟通热线) 긴급구조를 요청, 세계 최대의 원심 과급기(涡轮增压器) 제조기업인 게렛 회사가 생산중지 위험에 직면, 중국 텐진 우칭(天津武清)의 한 핵심부분품 공급 상의 생산회복이 10%도 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러자 3월 11일, 중국 국가 발전개혁 위는 즉시 조정하여 우칭 구 구장으로 하여금 기업을 찾아가 현장 조정회의를 소집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도록 하여 직원 5000여 명이 일터에 나서게 했으며 생산회복이 70%에 도달, 원심 과급기 및 소속 자동차 기업의 산업 고리가 생산중지에 이르는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2월 하순, 여러 갈래의 국제 항공편이 운행을 회복했고 3월 말까지 중국 - 유럽행 화물차가 1941호가 운행을 재개, 그 전달에 비해 15% 증장했고 4월 14일까지 중국 전국적으로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평균 가동률이 99%에 도달했으며 4월분 규모이상 공업생산 증가 데이터와 수출량은 마이너스로부터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코로나 19 대응 형세가 적극 호전되자 시진핑 총 서기의 발걸음은 저장(浙江), 산시(陕西), 산시(山西) 등지로 돌려져 지역 특정에 알맞게 일터복귀와 생산회복, 빈곤탈퇴 공략 전 그리고 생태환경 보호 상황 등을 고찰하기에 이르렀다…… 3월 29일 오후, 저장 닝보 저우산 항 촨산항구(宁波舟山港穿山港区) 부두에는 봄비가 보슬보슬 내렸다. 시진핑 총 서기는 우산을 든 채 멀리 바라보았다. 눈앞의 광활한 수역은 1년 간 드나드는 대형 상업운수선이 4.2만 척으로 명실에 부합되는 ‘골든 수로(黄金水道)’였다. 코로나 19가 발생 이래 닝보 저우산 항은 거의 그 운행을 멈춘 적이 없었다. 3월 1일부터 26일까지 화물 토출 량(货吐量)과 컨터이너 토출 량은 각각 지난해 동 시기의 95%와 99%가 되었다. 시진핑 총 서기는 비 내리기 전에 창문을 수선해야 하듯이 경외 코로나 19 사태를 주시해야 하고 코로나 19의 예방 통제 사업을 틀어쥐는 동시에 각국들에서 코로나 19 때문에 각항 제한조치가 화물항운에 갖다 주는 영향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 19가 많은 나라에서 만연할 때 중국의 지도자들은 여러 차례에 거쳐 세계의 공급 고리와 세계경제의 안정을 수호할 데 관해 견정한 입장을 표하였다. “중국은 계속하여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온건한 화폐정책을 실시하여 견정불이하게 개혁개방을 확대하고 시장 진입을 풀어줌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상업경영의 환경을 최적화하여 수입과 대외투자를 적극 확대하는 것으로 세계경제의 안정을 위해 기여를 할 것이다.” 이는 3월 26일, 온라인으로 거행된 20개 국 그룹 지도 인들이 참가한 코로나 19 대응 특별 정상회의에서 한 시진핑 총 서기의 승낙이었다. 4월 17일, 중국은 제 1분기의 경제데이터를 공개했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1분기 중국경제는 6.8% 하강되었다. 하지만 3월에 들어서는 주요 경제지표의 하강 폭이 현저하게 좁아졌으며 경제가 한창 소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일, 시진핑 총 서기는 자신이 주최한 중앙 정치국회의에서 목전의 경제발전은 전대미문의 도전에 직면했다고 하면서 반드시 애로,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해 충분히 미리 예특하고 긴박감을 절실히 감안하면서 경제사회 발전의 각항 사업을 잘 틀어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성영상을 보면 지난 4월 초, 중국의 야간 등불 밝음도는 2월 초에 비해 200%에 접근, 명멸하는 야간의 등불은 소생하는 야간소비의 상징이었고 연장작업을 하는 제조업 직장의 조명이었다…… 위성의 위치추적 시스템에 따르면 3월 9일 성과 성 사이를 잇는 화물운수 라인은 2월 9일의 300%에 달했고 갈래 갈래의 강력한 곡선은 ‘원료공급이 충족하고 산품출고가 막힘이 없음’을 그려내기도 했다…… 4월 22일, 중국의 베이징, 광둥의 후이저우(广东惠州), 미국의 댈러스의 양국 세 개 곳에서는 5G 영상 방식으로 총 투자 100억 달러에 달하는 엑슨 모빌 후이저우 에틸렌 항목이 착공되었음을 선포하였다. 이는 미국기업이 중국에서 독자적으로 건설하는 중대 석유화학 항목이었다. 통일적으로 코로나 19 예방 통제와 경제사회 발전을 효과적이고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중국은 세계경제를 위해 동력에너지와 따뜻한 색채를 주입하였던 것이다.(다음 계속)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10-28
  • '삼국지' 재해석⑨ 배신의 아이콘 여포
    ●김정룡(다(多)가치 포럼 위원장) 난세의 장수는 용(勇), 지(智), 덕(德) 등 세 가지 기질을 갖추어야 훌륭한 장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세 가지를 다 갖춘 장수는 삼국시대에 조조나 유비 밖에 없을 만큼 매우 드물다. 삼국정립 전 수많은 강호의 장수 중에 무예가 가장 뛰어난 장수는 여포이다. 여포는 무예가 가장 뛰어난데다 인물 또한 잘 생기기로 요명했다. 힘이 세기로 정평이 나 있는 관우나 장비는 키꼴이 장대한데다 얼굴이 구운 수수떡처럼 검붉어 힘이 펄펄 넘쳐나 보인다. 동탁도 무예가 뛰어나기로 유명한데 얼굴형이 사나워 사람을 겁나게 한다. 이들에 비하면 여포는 키도 장수치고는 큰 편이 아니고 얼굴이 미남형인데다 피부색 또한 희어서 여성들이 좋아할 이상형이다. 보통 이런 생김새를 갖고 태어난 사내들은 힘이 부족해서 유명한 싸움꾼이 될 수가 없지만 여포만은 예외였다. 여포는 활쏘기와 말 타기에 능숙했고 남보다 힘이 세서 자신을 비장(飛將, 한 무제 때 명장 李廣은 궁술과 마술에 뛰어나 당시 흉노들은 그를 ‘비장군(飛將軍)’이라 부르고 두려워했다. 여포는 자신을 이광에 비유한 것)이라 불렀다. 진수의 <삼국지> 여포전에 의하면 하진이 죽고 동탁이 궁에 도착했을 때 정원(丁原)이 실세였다. 동탁은 정원을 죽이고 그의 군사를 손에 넣으려고 했는데 정원에게는 천하제일 싸움꾼인 여포가 있어 손을 쓸 수가 없었다. 정원이 병주에서 벼슬할 때 여포를 출세시켜 여포에게는 정원이 인생의 은인이었다. 소설 <삼국연의>에서는 정원과 여포는 부자관계를 맺었다고 되어 있다. 그러니까 정원은 여포의 양아버지가 되고 여포는 정원의 양아들이 된 셈이다. 이 정도로 가까운 관계이니 동탁이 정원을 숙청하는데 있어서 여포가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여포는 싸움에는 뛰어나지만 머리가 모자라 지혜롭지 못해 지장도 아니고, 덕이 부족해서 덕장도 되지 못한 용장일 뿐이었다. 이것이 그의 인생을 결정하는 주요 포인트로 작용했다. 무슨 말이냐면 동탁 진영에서 당대 최고의 전마(戰馬)인 적토마를 여포에게 주고 금은보화를 얹어 주는 조건으로 정원을 죽이게 했는데 눈앞의 하찮은 이익에 넘어가 그만 자신의 양아버지를 죽이고 동탁에게로 귀의한다. 포악무도하기로 끝이 없는 동탁은 황제를 갈아치우는 바람에 천하의 미움과 원한을 사게 되었고 물불 가리지 않고 무고한 백성마저 무리로 살해하는 바람에 전국적으로 반동탁연맹이 생겨났고 조정에서 사도 왕윤이 동탁을 살해하는 기획을 세운다. 소설 <삼국연의>에서는 동탁을 죽인 일등공신이 미녀 초선이라는 스토리를 그럴듯하게 그려냈다. 소설에 의하면 초선은 사도 왕윤의 양녀다. 즉 왕윤이 좋아한 기녀의 사생아인데 어미가 일찍 죽자 왕윤이 양녀로 키우게 되었다는 것이다. 명문가문에 입양된 초선은 어릴 때부터 공부도 하고 비파를 타고 춤과 노래는 물론이고 시까지 지을 만큼 지적으로 성장한 처녀였다. 초선의 용모가 얼마나 아름다웠던지 후대의 중국인은 초선을 역대 4대 미녀 반열에 올려놓았다. 이 4대 미녀들은 얼마나 아름다울까? 당시에는 사진이라는 존재가 없어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가 없지만 그녀들을 비유한 전설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춘추시대 월나라의 서시(西施)를 본 물고기들이 수영하는 걸 잊고 강바닥에 가라앉았다고 한다. 한나라의 왕소군(王昭君)을 본 기러기들이 날갯짓을 멈춰 떨어졌다고 하고, 당나라 양귀비가 꽃을 만지자 꽃마저 부끄러워 잎을 말고 감추었다고 한다. 초선에 대한 일화도 이 세 미녀에 뒤지지 않는다. 하루는 초선이 화원에서 달을 보고 있는데 구름 한 조각이 달을 가렸다고 한다. 이 모습을 지켜본 아버지 왕윤이 찬탄을 금치 못하고 이렇게 말했다. “달조차도 초선을 보니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는구나. 과연 폐월(閉月)이로다.” 이 4대 미녀에 대한 이런저런 얘기가 현재 중국인의 입에 자주 회자되고 있는데 안타깝게도 서시, 왕소군, 양귀비는 역사인물인데 비해 초선은 역사인물이 아니고 문학이 각색해낸 상상속의 인물이다. 역사에 존재하지도 않은 초선을 4대 미녀 반열에 올려놓았으니 나관중이란 작가가 얼마나 위대한지 새삼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 당대에 있어서 잘 생기고 무예가 가장 뛰어난 사내에게 여러모로 걸 맞는 상대 여성을 그려내려면 천하제일 미녀였던 것은 이해가 충분히 가는 일이다. 나관중의 <삼국연의>가 고전 소설 중에 가장 많이 읽힌 이유가 강호의 영웅들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잘 그려낸 것이 크게 한 몫을 했던 것이고 금상첨화로 초선이라는 미녀를 등장시킨 것이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기 때문이었던 것이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포인트로 작용했던 것이다. 사서에 의하면 여포가 동탁을 죽인 것은 초선 때문이 아니고 동탁이 여포에게 안방 문을 지키게 할 만큼 신임했는데 그만 동탁의 여인을 건드려 불륜을 저지른 것이 들통 날까 두려워 전전긍긍 하고 있었다. 게다가 동탁은 여포를 믿으면서도 기분이 안 좋을 때 쩍하면 창을 여포에게 마구 던져 생명의 위험을 느낄 정도로 불안해 왕윤을 찾아 고충을 털어놓아 왕윤은 때가 왔다고 속으로 쾌자를 부르고 여포를 설득하기에 나섰다. 여포도 언제 불행이 닥칠지 몰라 왕윤과 사손서의 동탁 죽이기 기획과 의기투합이 되어 행동에 나섰던 것이다. 사실 왕윤이 여포에게 동탁을 살해하라는 주문을 했을 때 처음에는 여포가 많이 망설였다.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여포가 양아버지 정원을 죽이고 나서 동탁과 또 부자관계를 맺었기 때문이었다. “나와 그는 부자 관계인데 어떻게 그럴 수 있겠습니까!” 왕윤이 말했다. “당신은 성이 여씨(呂氏, 중국인은 남의 성 뒤에 氏를 붙이지 않는다. 이 대화는 한국 작가들의 버전에 등장한 것임을 밝혀둔다)이니 동탁과는 본래 골육이 아니지 않소. 그대는 언제 죽을지 몰라 근심하면서 무슨 부자 관계를 말하시오.” 여포는 이 말을 듣고 드디어 일을 도모할 것을 허락하고 칼을 들어 동탁을 찔러 죽였다. 여포는 인생에서 두 번이나 양아버지를 죽였다. 배신도 이런 배신이 천하에 또 있을까? 배신의 아이콘이라는 불명예를 안고 살아가야 했다. 동탁을 죽이고 나서 세상이 여포의 천하였다면 그나마 괜찮았을 건데 동탁이 죽고 40여 일만에 궁에서 쫓겨나 유랑 길에 오르는 불행을 맞게 되었다. 여포가 가장 먼저 찾아간 곳은 원술이었다. 그런데 원술은 받아주지 않았다. 여포는 할 수 없이 황하 북쪽에 있는 원술의 형 원소를 찾아간다. 여포는 원소를 도와 상산(常山)에 있는 장연을 공격했고 적토마를 갖고 있는 여포가 전장에서 얼마나 뛰어났는지 쉽게 상대를 격파했다. 승리 후 원소에게 군대를 늘려 줄 것을 요구하고 게다가 여포의 장수와 병사들이 약탈을 일삼자 원소도 여포를 두려워 기피했다. 눈치를 챈 여포가 원소를 떠나려 하자 원소가 후일이 두려워 자객을 보내 암살하려고 했는데 성공하지 못해 여포는 달아나 장양(張楊)과 합세했다. 원소는 병사들에게 여포를 추격하도록 명령했으나 다들 여포를 두려워하며 감히 가까이 다가가려는 자가 없었다. 흥평 원년(194)에 여포는 유비를 찾아가서 유비를 동생으로 삼기로 하는데 유비는 여포의 말이 일관성이 없어 겉으로는 받아주는 척하고 마음은 콩밭에 가 있었다. 유비가 동쪽으로 가서 원술을 공격할 때 여포는 하비성을 습격하여 취했다. 유비는 돌아와서 할 수 없이 여포에게 귀의했다. 싸움에서 밀린 원술은 여포와의 관계를 개선하려고 여포의 딸을 며느리로 맞아들여 사돈이 되고 싶어 했지만 여포는 과거에 받아주지 않은 복수를 하려고 거절했다. 조조는 여포를 어떻게 보았을까? 진등이 조조를 만났을 때 “여포 장군을 대하기를 마치 호랑이를 기르듯 해야 합니다. 호랑이는 고기를 먹어 배가 불러야지 배부르지 않으면 사람을 물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하자 조조는 말하기를 “그대가 말한 것과 같지 않소. 비유하자면 매를 기르는 것과 같소. 굶주리면 솜씨를 발휘할 것이고 배부르면 날아가 버릴 것이오.” 난세에는 적도 아군도 임시적인 것으로서 그때그때 이익에 따라 이합집산이 이뤄진다. 어제 원수와 손을 잡을 수도 있고 오늘 동지가 내일 배신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건안 3년(198) 여포는 다시 원술과 힘을 합쳐 모반했다. 고순을 파견해 소패에 있는 유비를 공격하여 쳐부수었다. 조조는 하우돈을 보내어 유비를 구하도록 했으나 고순에게 패했다. 원술이 칭제를 자처하고 나서자 조조는 원솔을 공격한다. 그때 조조는 여포를 끌어들여 힘을 함께 하고자 하자 유비 삼형제는 게거품 물고 반대한다. 조조가 겨우 설득해서야 여포와의 협력, 즉 ‘적과의 동침’이 이뤄진다. 여포는 싸움에는 이골이 나 있으나 궁을 떠난 지 오래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리 잡지 못해 여기저기 몸을 의탁하며 살았다. 아울러 머리가 모자라고 덕이 부족해 어디가도 환영을 받지 못했다. 건안 3년(198) 결국 조조가 직접 여포 정벌에 나섰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상책이다.’ <손자병법>에 있는 전략전술이다. 조조는 여포가 있는 성 아래 이르러 여포에게 편지를 보내 싸움과 항복의 이해득실을 설명해주었다. 여포가 투항하려고 하자 진궁 등은 자신들이 지은 죄가 깊음을 생각하여 그의 계획을 가로막았다. 여포가 싸움을 하려면 병력이 모자라 사람을 보내 원술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원술은 스스로 기병 1천 명을 이끌고 전쟁에 나섰다. 하지만 곧 패배하여 돌아가 성을 지키고 감히 나와서 싸우려 하지 않았으므로 원술 역시 여포를 구하지 않았다. 여포는 비록 날래고 용감했지만 계책이 없고 의심과 질투가 많아 부하를 통제할 수 없었으므로 단지 몇몇 장수만 믿었다. 그러나 장수들마저 저마다 의견이 달라 서로 믿지 않았으므로 싸울 때마다 대부분 크게 패배했다. 조조는 참호를 파고 포위한 지 석 달 만에 상하 간에 마음이 벌어져 장수 몇 명이 조조에게 투항했다. 여포는 직속 부하들과 함께 백문루(白門樓)에 올랐다. 군대의 포위망이 좁혀오자 여포는 하는 수 없이 내려와 투항했다. 포승줄이 너무 단단하게 조여져 여포가 말했다. “너무 꽉 조이게 하지 말고 조금 느슨하게 묶으면 안 되겠소.” 이에 조조가 말했다. “큰 호랑이를 묶었으니 부득이 꽉 조여야 하지 않겠는가.” 여포는 마지막으로 요청했다. “명공(조조)께서 근심거리로 여기던 것 중에서 나 여포보다 더 지나친 것은 없었소. 이제 내가 항복했으니 천하에 근심거리가 될 만한 것은 없소. 명공이 보병을 거느리고 나 여포로 하여금 기병을 거느리게 한다면 천하를 쉽게 평정할 수 있을 것이오.” 이 때 곁에 있던 유비가 말했다. “명공께서는 이 자가 정건양(정원)과 동태사(동탁)를 섬기는 것을 보지 않았습니까?” 뜻인즉 여포는 양아버지 둘씩이나 죽인 인간인데 언젠가 명공(조조)을 배신할지 모를 일인데 살려두다니요. 말이 됩니까? 이 말을 들은 조조는 즉시 여포를 죽이라는 명을 내렸다. 잘생긴데다 무예가 뛰어나 세상의 주목을 받던 여포는 용장의 기질은 충분했지만 지장의 기질도 덕장의 기질도 갖추지 못해 천하를 누비며 달리고 달렸으나 아무 성과도 이루지 못하고 씁쓸하게 역사무대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10-21
  • 국가의 결심, 인민의 호응과 단결 - 코로나 19 전승의 촉매제⑧
    ▲4월 24일, 우한에 있는 화중 과학기술 대학 퉁지의과대학 부속 세허병원(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서원이다. 사진은 의무일꾼들이 핵산검사 결과 음성으로 돌아선 코로나 19 환자를 간호하고 있는 장면이다.ⓒ신화사 (전번 계속)후베이, 우한이 전국의 코로나 19 저격 대응의 주 전장이었고 단계성 승리를 이룩했지만 코로나 19의 잠재적 위협은 여전히 존재했으며 전국 곳곳이 직면한 전염병 예방 통제의 형세는 여전히 낙관할 수 없었다. 3월 27일, 1명의 무증상 감염자가 경외로부터 입국함에 따라 헤이룽장 성 수이펀허시(黑龙江省绥芬河市)의 고요를 깨뜨렸으며 수이펀허는 점차 전국의 ‘대외유입 예방’의 화이라이트(焦点)로 되었다. 각 지의 전문가와 의무일꾼들은 긴급 지원에 나섰고 방역물자 또한 신속히 조달되었으며 후베이에서 귀환했던 백의전사들이 재차 출정, 핵산검사실험실이 신속히 건립되고…이렇게 수이펀허 통상구를 통해 입경한 코로나 19 환자들은 적시적인 구급 치료를 받게 되었고 변경 선에는 한 갈래의 생명 수호선이 구축되었다. 5월 6일, 0시부터 수이펀허시 전염병 위험 등급은 하향 조정되었고 생산과 생활은 점차 그 질서를 회복하기 시작하였다. 폭풍우는 전진의 앞길을 막을 수 없었고 정확하고도 강력한 예방 통제의 대응조치는 코로나 19를 전승할 수 있었다. 수이펀허 외 수도 베이징(北京)의 급작스런 코로나 19 촉발 또한 인심 당황하게 했다. 6월 11일, 중국의 수도 베이징 신파디(新发地)에서 코로나 19가 집중 발생, 이에 베이징 시는 제 1의 시간대에 즉시 전시상태에 진입하면서 한 차례의 ‘반드시 이겨야 하고 져서는 안 되는 전쟁(只能赢不能输)’을 개시했다. 이 전쟁은 ‘물을 등지고 펼치는 싸움(背水之战)’이라 몹시 간고하고도 관건적인 전역이라 우한과 후베이에 이어 규모가 큰 코로나 19와의 한판 승부였다. 베이징의 의료진과 각 사회구역의 책임일꾼들은 단 시일 내에 코로나 19를 효과성 있게 박멸하여 당 중앙과 수도인민들을 지킨다는 사명감으로 신속하게 호응하여 강력하고도 정확하게, 높은 효율 그리고 과학적인 예방과 통제로 26일이란 짧은 기간의 간고한 노력을 통하여 7월 6일 베이징 본지의 코로나 19 사례가 ‘0 증장’으로 되게 만들었다. 7월 19일, 베이징시 정부 해당책임자는 코로나 19 예방 통제 보도 브리핑에서 “2020년 7월 20일 0시부터 베이징 시 공공위생 돌발사태 비상대응 급별을 2급에서 3급으로 하향 조정한다”라고 선포했다. 이로써 한 차례 근 40일간에 거친 베이징시의 코로나 19와의 전쟁은 단계성 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중국 국내의 코로나 19 예방 통제 형세는 여전히 준엄하고도 복잡하였다. 베이징에서 공공위생 돌발사태 비상대응 급별을 2급에서 3급으로 하향 조정한다고 선포하던 당일, 7월 19일, 신장 위그르자치구(新疆维吾尔自治区) 코로나 19 예방 통제 사업 지휘부에서는 연구 끝에 우룸치시(乌鲁木齐市)의 텐산구(天山区)와 사이바커구(沙依巴克区)를 고 위험 지역으로, 우룸치 경제기술개발구, 고신기술 산업개발구, 수이머거우구(水磨沟区)를 중등 위험지역으로 했으며 기타 현(시와 구)를 저 위험구역으로 결정했다. 그리고 7월 22일 새벽, 랴아오닝성 다렌시(辽宁省大连市)에서 1건의 코로나 19 본토사례가 발견, 30분 후 확진사례가 출현한 다련 카이양(大连凯洋) 세계 해산물주식 유한회사 직원과 가족들이 원 지점에서 격리되었고 기업은 전면 봉쇄되었다. 한 쪽은 동쪽이고 다른 한 쪽은 서쪽이었으며 하나는 연해지구였고 다른 하나는 내륙지구였다. 신장과 다렌의 갑자기 들이닥친 코로나 19의 출현에 직면하여 중국은 대응의 경험이 더욱 풍부해졌고 더욱 파악이 있게 됐다. 중국의 다렌과 신장에서는 과학적으로 위험등급을 확정하고 ‘관할 통제권(管控圈)’을 엄하게 틀어쥐는 한편 전면적인 핵산검사를 추진, 이는 일장 바이러스와의 밀고 당기는 ‘조우전’이었다. 드디어 25일이 지난 후인 지난 8월 16일, 다렌 전역이 저 위험지구로 하향 조정되면서 경제와 사회질서가 전면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그리고 같은 희소식이 신장으로부터 전해오기도 했다. 국무원 코로나 19 대응 연합방지, 연합통제 기제의 해당 규정과 신장의 코로나 19 확산형세에 따라 자치구 코로나 19 예방 통제 사업지휘부에서는 8월 29일 0시를 기점으로 우룸치 텐산구, 사이바커구의 위험등급을 고 위험 지구로부터 저 위험 지구로 조정했고 우룸치 경제기술 개발구, 우룸치 고신기술 산업개발 그리고 수이머거우구의 위험 등급을 중등 위험 지구로부터 저 위험지구로 하향 조정하였다. 이렇듯 코로나 19와 대응 전쟁을 펼치는 위대한 실천 중 중국공산당이 이끄는 인민은 한 차례 또 한 차례의 초인간적인 용기와 지혜를 과시하여 한 차례 또 한 차례의 승리를 거두었으며 ‘인민이 첫째이고 생명이 첫째’란 이념을 철저히 이행하였다. 서기 2020년 9월, 우한의 2800여개 소의 중소학교와 유치원이 개학을 맞았고 백만의 학생들이 오랫동안 자리를 비웠던 교당으로 회귀하였다. 중국 대륙 중부의 이 대 도시는 사통 발달한 9개성의 교통요도로서의 본색도 되찾아왔다. 하지만 2020년의 이 도시와 이 국가는 영원히 지울 수 없는 기억을 세상에 남겼다. 시계바늘은 다시 경자 년 춘제로 되돌아가 보기로 한다. 1월 26일, 바로 음력 정월 초이튿날, 만가정의 식구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나날, 바로 장수 옌청(江苏盐城)에서 춘제를 보내던 왠촨워이(袁传伟)은 우한을 지원하라는 한 건의 ‘전선지원 주문서’를 받아 쥐게 되었다. 그가 밤도와 수저우(苏州)에 있는 회사로 돌아갔을 때 그의 수하에는 단 1명의 직원도 없었다. 왠촨워이는 이전에 익혀두었던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라인을 가동했다… 10 후, 왠촨워이의 신근한 노동으로 이 회사에서는 생산된 100세트에 달하는 소독설비가 우한의 제 1선으로 보내 질 수 있었다. 이렇듯 코로나 19 저격전은 실제상에서는 후근 보장전쟁이기도 했다. 당 중앙의 통일적인 인솔 하에 여러 부문에서는 신속하게 연합행동을 개시, 전국이 ‘하나의 바둑판’처럼 되어 각 방면의 자원이 전력으로 공급 조달되었다. 하루 속히 생산을 회복하기 위하여 중점 기업들은 임시생산 관리 제도를 건립하여 기업의 원료, 직원과 물류 문제를 도와주었고 기업의 확대생산의 우려를 해소시키기 위해 국가임시 수납제도(收储制度)를 건립하여 많이 생산한 중점 의료방호물자 기업에 대해서는 정부가 나서서 구입수납을 대리해 주었으며 이런 중점 기업에 대해서는 세수(税收)와 금융의 지지를 주기도 했다. 그리고 단 시일 내 일선의 구급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국가에서는 통일적으로 산품조달을 배치, 엄격한 규정에 따라 의료용 방호복 등을 조달하게 했다… 생산기업들은 단시일 내에 만부하 생산에 돌입했다. 중국 항공공업그룹, 중국석유화학 공사, 비야디 자동차……수천 개 소의 기업들의 계선을 뛰어넘으며 완전히 다른 제품의 생산에 들어가기도 했다. 2월 29일에 이르러 중국의 마스크 단일 생산량은 1억 1600개에 도달, 2월 1일의 12배에 달했으며 4월 5일, 중국의 1차성 방호복 단일 생산량은 150만 건 이상에 달했으며 의료용 95 마스크의 단일 생산량 역시 340만 건에 달해 기본상 국내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우한 ‘봉쇄’후, 900만 명에 달하는 주민들이 자가 격리에 들어가면서 매일 5400톤의 식량, 4000톤의 야채와 1200톤의 육류를 소모했다. 이에 중앙에서는 통일적으로 생활물자를 보장하기로 결정, 1월 27일부터 5월 30일까지 전국에서 후베이 지구로 운송된 방역물자 및 생활물자는 누적으로 173톤을 초과, 석탄과 연료 등 생산물자는 근 395만 톤에 달했다. 중외 역사상 큰 전염병과 재해 등은 흔히 사회질서를 교란시켰고 혼란한 사회질서 또한 전염병 방지 및 재해 방지에서의 설상가상으로 되었다. 코로나 19란 대 고험에 직면하여 중국의 생활필수품, 의료물자, 전력, 수돗물 등 기본공급은 총체적으로 안정했고 국계민생(国计民生)과 관련되는 중점항목은 질서 있게 운행되고 있었으며 14억 인구의 기본민생은 효과적으로 보장되고 경제사회의 발전은 안정을 유지하고 있었다. ‘잠정 건(暂停键)’으로 잠시 나라를 지탱하고 있던 대국은 미구하여 기세 드높은 생산라인을 가동, 막힘이 없는 물류동맥을 유지했으며 크나큰 재난 중 역행에 나선 것은 의사, 간호사와 수많은 화물차 운전기사 그리고 사회구역 사업자, 자원봉사자, 배달원, 청결공과 건축 노동자 등이었다…… “나는 그들의 몸에서 자기의 가정과 자기의 사회구역, 심지어 전 세계 아주 먼 곳의 질병침해에도 관심을 갖고 있는 일종 거대한 책임감을 분명 보아냈다. 또한 남한테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몇 주간 자가 격리에 들어간 사람들도 분명 코로나 19 사태 속에서 나타난 영웅들이었다.” 이는 중국 - 세계위생조직 코로나 19 연합전문가 고찰 팀의 외국 측 팀장 브루스 엘워드가 감격에 젖어 한 말이었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10-19
  • '삼국지' 재해석⑧ 대세를 읽지 못하고 수성만 하다가 자멸한 유표
    ●김정룡(다(多)가치 포럼 위원장) <후한서>에서는 원술과 유표를 묶어 하나의 열전으로 구성했고, 유언, 원술, 여포를 합하여 하나의 열전으로 만들었다. 진수의 <삼국지>에서는 동탁, 원소, 원술, 유표를 하나의 챕터로 묶어놓고 다음과 같이 평을 달았다. “동탁은 사람이 흉악하고 잔인하며 포악하고 비정했으니 문자로 기록한 이래 같은 자는 아마 없었을 것이다. 원술은 사치스럽고 방자하며 음탕했으므로 생을 다할 때까지 영화를 지킬 수 없었던 것은 자업자득이다. 원소와 유표는 모두 위엄과 무용이 있었고 도량과 식견이 있었기에 당시 이름을 떨쳤다. 유표는 한수 남쪽을 지배하고 원소는 황하 북쪽에 세력을 구축했으나 그들은 모두 겉으로는 관대했지만 속으로는 질시했고 모략을 좋아하고 결단력이 없었으며 인재가 있어도 등용하지 않았고 좋은 말을 듣고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적자를 내쫓고 서자를 세웠고 예의를 버리고 편애를 숭상했으니 후계자의 대에 이르러 거꾸러지고 넘어지는 고통을 당하고 사직이 엎어졌어도 결코 불행한 것이 아니다.” 소설 <삼국연의>에서는 유표가 영향력이 있는 중요한 인물로 다뤄지지 않았다. 이에 비해 사서에서의 유표는 비중이 꽤 컸고 영향력도 괜찮은 인물이어서 필자는 진수의 <삼국지> 배열 순서에 따라 이번 편에서 유표를 다루기로 했다. <후한서>에 따르면 유표는 노공왕(魯恭王)의 후예였고 키가 8척(184센티미터) 남짓하고 모습이 온화하고 훤칠했으며 장검(張儉) 등의 사람들과 함께 ‘팔고(八顧, 덕행이 있어 남들을 선도하는 여덟 명의 명사)라고 불렸다. 유표가 황실의 후손이라는 것에 대해 의심의 여지가 없다. 유비의 황실후손 주장은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심을 받은 것과 질적으로 달랐다. 유표는 후한 말기 환관들의 눈에 나 지식인을 탄압한 ‘당고의 화’를 입어 환관집단의 추적을 물리치고 도망하여 목숨을 부지했다. 헌제 초평 원년(190) 장사태수였던 손견이 형주자사 왕예를 죽이자 조정에서는 유표에게 이 직무를 맡겼다. 그러나 원술이 그의 부임을 가로막았고 ‘종적(宗賊)’이 성행하여 직무수행이 매우 어려웠다. 그런 긴박한 상황에서 유표는 인복이 있었는데 그를 도와 준 사람은 괴월과 채모였다. 채모는 비첩(婢妾)이 수백 명이고 별장을 오십여 채나 소유한 대부호였다. 채모는 후일 유표와 동서 사이가 되고 제갈량의 처에게는 이모부가 된다. 괴월은 지혜가 뛰어나고 계략이 많아 조조가 가장 좋아한 형주의 사인(士人)이었다. <후한서> 유표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건안 13년(208) 유종(유표의 차남)이 투항하자 조조는 형주를 차지했는데 이때 그는 순욱에게 편지를 써서 ‘형주를 얻은 것이 기쁜 게 아니라 이도(異度, 괴월의 자)를 얻은 것이 기쁠 뿐이오.” 이는 조조가 얼마나 인재에 목말라 있었는가 하는 좋은 증거이다. 만약 괴월이 없었다면 유표의 형주자사 직무수행이 이뤄지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었을 만큼 상황이 급박했다. 과연 괴월의 계책은 무엇이었을까? “평화로운 상황을 다스리는 사람은 인의를 우선하고 혼란한 상황을 다스리는 사람은 권모를 우선합니다. 군사(軍事)는 그 숫자의 많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적재적소의 인물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시 말해서 형주를 다스리는 데에는 반드시 도덕적인 감화와 무력적인 위협이 필요합니다. 공의 적은 원술과 종적들 아닙니까? 원술의 특징은 대체로 탐욕스럽고 포악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먼저 종적을 멸한 후에 원술을 막아야 합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무도한 자들을 주살하고 그 인재들에게는 등용의 길을 베풀어주는 것입니다. 공이 위엄과 덕행을 행하면 모든 사람들이 귀순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 남으로는 강릉(江陵)에 근거하고 북으로는 양양을 지킨다면 형주 8군은 격문만 돌려도 평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원술이 공격해온다 해도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유포는 괴월의 이 계책을 받아들여 괴월로 하여금 종적 두목 15명을 불러들인 다음 그들을 모두 참수하고 그들의 군대를 습격했다. 결과 강남(후난성과 후베이성에 해당함)을 모두 평정했다. 유표도 양양에 주둔할 수 있게 되었다. 원술은 손견과 손잡고 유표를 습격하자 황조가 유표를 구원했고 손견은 황조의 화살에 맞아 죽었다. 이때부터 원술은 형주 접근을 포기하고 말았다. 양대 주적을 제거한 유표는 훌륭한 정치를 펼쳐 동네방네 소문난 훌륭한 주목(州牧)으로 거듭났다. 땅이 사방 천리에 달하고 병사 10만을 거느렸으며 영토 내에는 만 리가 숙청되었고 모든 사람이 기뻐하며 복종하였으니 실로 명실상부한 ‘독립적인 왕국’이었다. 중원의 선비들이 이를 보고 다투어 형주로 피난을 왔고 유표에게 의탁한 학사들이 모두 1천여 명에 달했으며 유표도 그들을 위로하고 재물로 도와 모두가 구제될 수 있었다. 동시에 그는 학교를 세우고 유학을 진흥시켰으며 형주를 난세 속의 ‘왕도 정치가 시행되는 지상 낙원’이라 불리는 곳으로 만들었다. 유표가 역사에서 중시 받는 이유는 형주라는 곳의 중요성도 한몫 하고 있었다. 형주는 익주와 함께 100개 현을 갖고 있는 규모가 가장 큰 주(州)였고 유비의 세력과 강동의 손씨 세력 및 조조마저 탐내고 있었던 곳이다. 당시 삼대 전투 중 하나인 관도대전도 결국 원소와 조조가 형주를 차지하려고 벌였던 전쟁이었다. 관도대전에서 원소는 사람을 보내 유표에게 원조를 요청했는데 유표는 원소의 청을 허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출병하지 않았으며 그렇다고 조조를 도와주지도 않았다. 후일 조조가 오환을 정벌할 때 유비가 그에게 허현(조조의 근거지)을 습격하자고 권유했지만 그는 역이 요지부동이었다. 결과적으로 좋은 기회를 모두 날려 보내게 되었다. 과도대전에서 산에 앉아 호랑이들이 싸우는 것을 지켜만 보고 있는 유표에 대해 답답함을 느낀 부하 한숭(韓嵩)과 유선(劉先)이 그에게 말했다. “호걸들이 함께 다투어 두 영웅이 서로 대치하고 있으니 천하의 무게중심은 장군에게 있습니다. 장군이 만약 성과를 내시고자 한다면 그들 지친 틈을 타는 것이 좋을 겁니다. 만약 그렇게 하지 않으시려면 그중 한쪽을 선택하십시오. 현재 장군께서는 십만의 군사를 거느리고 편안히 앉아서 관망하고 계십니다. 지지해야 할 사람을 보고서도 돕지 않고 강화를 권하지도 않는다면 결국 양쪽의 원한이 모두 장군에게로 집중될 것입니다.” 괴월마저 이 두 사람의 말에 동조하고 나서자 유표는 한숭을 조조 진영에 보내 정탐하고 상황판단하라고 부탁했다. 조조 진영에 다녀온 한숭은 조조의 위엄과 덕을 자세하게 말하자 유표는 그를 배신자로 낙인찍고 죽이려고 한바탕 조사에 착수했다. 결국 아무 단서도 찾지 못하자 체면 유지차원에서 한숭을 감옥에 처넣었다. 역사학자 진수는 이 사건을 두고 “유표의 외모는 온화하고 품위 있어 보이지만 속마음은 시기심이 많아 일처리가 대체로 이런 식이다.”고 기록했다. 유표는 시기심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큰 뜻도 없었다. 진수의 <삼국지> 곽가전에 의하면 곽가는 “유표는 앉아서 반말이나 해대는 자에 불과합니다.”고 말했다. 조조는 “내가 여포를 공격할 때 유표는 걱정할 필요가 없었으니 그는 관도대전에서 원소를 구원하지도 않았다. 그는 그저 자신만을 지키는 놈이다.” 한숭은 얻기 힘든 인재였다. 이런 인재를 적재적소에 쓰지 못하였으니 유표는 실로 이 면에 있어서 유비나 조조에 견줄 바가 못 되는 속 좁은 인간이었다. 여기서 <후한서>에 기록된 한숭이 유표에게 올린 진실하고도 멋진 간언을 감상해보자. “저의 어리석은 견해에 따르면 조공의 영명함으로 볼 때 앞으로 반드시 천하에서 뜻을 이룰 것입니다. 장군이 만약 조조에게 의탁할 생각이시라면 저를 중원에 파견하여 사신으로 가게 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만약 마음속에 주저하는 바가 있다면 적합하지 않습니다. 폐하는 제가 일단 경사(京師)로 들어갔기 때문에 아마도 저에게 말단 관직이라도 내릴 것입니다. 제가 사양하고 사양하지 않고는 상관없는 것입니다. 만약 제가 사양하지 못하게 된다면 이때부터 저는 천자의 신하가 되어 장군에게는 옛 관리가 됩니다. 천자에게 있을 때에는 천자를 위하게 될 것이며 더 이상 장군을 위해서는 죽을 수 없을 테니 청컨대 장군께서는 심사숙고하십시오.” 한숭을 이렇게 냉대했을 뿐만 아니라 유표는 인재등용에 문제가 많았다. 유표는 유비가 찾아온다는 소식을 듣고 먼 거리까지 나가 마중하였으며 상빈의 예로 대접했고 군대까지 나눠주었다. 그러나 유표는 유비를 항상 경계했고 중용하지 않았다. 뒤늦게 유비가 위협이 되는 인물이라는 것을 알고 연회를 베풀어 유비를 죽이려고 했는데 유비는 소피보러 간다는 핑계를 대고 밖에 나가서 그 걸음으로 도망가 버렸다(홍문연을 연상). 곽가는 유표가 유비를 대한 태도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자신도 유비를 막기에 재주가 부족함을 알기 때문에 유비에게 중임을 맡기면 통제할 수 없을까 염려할 것이고 또 가벼운 임무를 맡기면 유비가 그를 위해 일하지 않을 것입니다.” 유표는 또 그에게 귀의한 1천여 명의 지식인들의 안전을 보장해주고 의식주를 제공했을 뿐 적당히 알맞게 인재로 등용시키지도 않았다. 유표는 후사처리에도 문제가 심각했다. 여기서 말하는 후사처리는 계승자 선정을 뜻한다. 유표에게는 유기와 유종이란 두 아들이 있었다. 둘 다 정실의 소생이다. 그런데 유표의 후처인 채부인은 친정 쪽의 조카딸을 유종에게 시집보냈기 때문에 유종이 후계자가 되기를 바랐고 실제로 유표를 설득하여 일을 성사시켰다. 진시황제부터 시작해 적자가 아닌 서자를 후계자로 세워 성공한 사례가 매우 드물다. 장남은 집안의 전통과 대통을 이으려는 야망이 큰 반면에 차남부터는 대세에 따르는 경향이 있다. 조조가 형주를 공격해오던 건안 13년(208) 유표는 병들어 죽었다. 장남인 유기는 조조를 대항하는 항조파(抗曹派)인데 비해 차남인 유종은 후계자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조에게 투항해 가문에 먹칠하는 항조파(降曹派)였다. 유표가 일궈놓은 강산을 후계자가 조조에게 바쳐버렸다. 이로서 유표의 강산은 역사무대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유표는 보수적인 인물이었다. 큰 뜻이 없고 넓은 흉금과 도량도 없었다. “조그마한 땅 한 뙈기 지키며 부인과 아이들 그리고 집 한 채 정도를 소유하는 것이 그의 바람이었다.” 너무 지나친 평가기이긴 하나 결과적으로 유표는 보수적인 인물임에는 틀림없었다. 하지만 한 때 형주를 천하 난세 속에서도 지상낙원으로 만든 그의 공로는 마멸할 수 없이 역사에 길이 남아 내려오고 있다. ‘삼국지 강의(品三國)’로 유명해진 이중턘은 유표의 생애에 대해 이렇게 요약했다. “난세에 태어나지 않고 치세에 태어났다면 훌륭한 관리였을 것이다. 유표는 실로 불행한 행운아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10-13
  • 국가의 결심, 인민의 호응과 단결 - 코로나 19 전승의 촉매제⑦
    ▲ 4월 12일, 베이징 세허(协和)병원 의료진 성원들이 우한 퉁지병원 의무일꾼들과 함께 코로나 19 환자 1명을 우한 퉁지병원 중파신청원구(中法新城院区) ICU(중환자 실)로 이송하는 장면으로 이송 도중 ECMO(인공막폐) 치료를 계속 하고 있다.ⓒ신화사 (전번 계속) ‘환자가 빈 침대 기다리기’가 마침내 ‘빈 침대 환자 기다리기’로 !   2월 17일까지 코로나 19 환자는 발병으로부터 확진에 이르기까지 전국 평균 소모시간은 4.95일까지 짧아졌다. 그리고 우한의 중증환자 비율은 초기의 38%로부터 18%로 내려갔다. 이는 환자가 인산인해를 이루도록 모여들던 우한의 조기현상이 점차 완화되었음을 설명했다. 치유 율을 높이고 사망 율을 하강시키며 최종 코로나 19를 전승하자면 관건은 과학기술에 의거해야 했다. 3월 2일, 시진핑 총 서기는 전문 군사의학연구원, 칭화대학(清华大学) 의학원을 찾아 코로나 19 예방 통제 과학연구 공략 사업을 고찰하면서 다음과 같이 강조하였다. “현재 코로나 19를 이기자면 인민전쟁, 총체 전과 저격 전 그리고 간고한 노력의 대가를 수요한다. 그러나 이런 국면을 맞을수록 우리는 과학에서 답안과 방법을 찾는 것을 견지해야 한다.” 그리고 코로나 19에 대응하는 관건시기인 3월 10일, 시진핑 총 서기는 전문 후베이(湖北)와 우한을 찾아와 코로나 19 예방 통제 사업을 고찰하면서 코로나 19 예방 통제를 계속 당전의 가장 큰 대사와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삼고서 마비되지 말고 늦추지 말아야 하며 긴밀하고도 세절 적으로 틀어쥐어야 한다면서 기어코 후베이 보위전과 우한 보위 전에서 승리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약 사용은 군사를 사용하는 것과 같고 의사를 채용하는 것 또한 장군을 채용하는 것과 같다. 진료방안은 임상의사의 치료에 달린 것이며 또한 국가 첨단 의료진한테 있어서 하나의 질병에 관한 이해이기도 하다. 의료진은 점차 코로나 19 위급중증환자의 사인은 단지 폐부의 문제만이 아니라 많은 기관의 쇠약에 따른 것이며 전통적 통기(通气), 지어는 ECMO(체외막 산소공급) 등 수단 역시 환자의 쇠약속도를 저지할 방법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렇게 몹시 고난의 모색 중 조기 삽입호스와 부와식(俯卧式) 통풍기기 등 두 가지 구급치료 경험이 수면위로 떠올랐으며 이는 곧바로 환자의 상태 전환에 관건적인 작용을 했다. “관건은 호스를 삽입하는 시기이다.” 중증 전문가들은 한 침에 피는 보는 격으로 ‘호스를 삽입 후 다시 뽑아내기가 어렵’기에 호스 삽입을 근심하는 우려를 없애야 한다고 인정했다. 우한 퉁지병원 중파신성 병원 구(武汉同济医院中法新城院区)에서는 20명으로 구성된 ‘호스삽입 돌격대’을 조직, 동시에 ‘특전 첨도 련(尖刀连)’도 신속히 조직, 여기에는 심장보호 팀, 신장보호 팀, 간장보호 팀, 두뇌 보호팀 등이 포함되었으며 상하이(上海), 칭다오(青岛) 등지에서 온 17개 의료진이 협동작전으로 중증환자들을 구급하기로 했다. 생명을 위해서는 모든 것을 아끼지 않았다. 5월 말까지 중국에서 코로나 19 중증환자 1명이 쓴 치료비용은 평균 15만 위안을 초과, 특히 소수의 위 중증환자의 치료비용은 수십 만 위안 심지어 100만 위안을 초과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으며 그 모두가 의료보험 규정에 따라 처리되었다. 결코 희망이 있어 견지한 것이 아니고 아울러 견지했기에 비로소 희망도 있게 되었다. 중국은 가장 정예한 의료자원을 가장 수요 하는 지방에 집중했으며 중증치료는 ‘일인 일책(一人一策)’의 방침을 실시했다. 결과 지난 5월 말까지 중국에서는 도합 3000여명에 달하는 80 이상의 코로나 19 환자를 성공적으로 완치, 위로는 100세가 넘는 노인으로부터 아래로는 갓 태어난 유아에 이르기까지 완치율은 94%에 달했다. “중대한 전염병 앞에서 우리는 처음부터 인민의 생명안전과 신체건강을 첫 자리에 놓아야 한다고 선명하게 제출했습니다. 우리는 전국 범위에서 가장 우수한 의사, 가장 선진적인 설비, 가장 급히 수요되는 자원을 집중해서는 전력으로 코로나 19 치료에 투입했으며 구급치료 비용은 전부 국가에서 부담했습니다. 인민이 첫 번째이고 생명이 첫 번째였기에 인민의 생명안전과 신체건강을 위해서는 모든 대가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이는 지난 5월 22일, 중국의 ‘양회(两会)’ 기간, 시진핑 총 서기가 네이멍구(内蒙古) 대표단의 심의에 참가했을 때 한 발언이다. 한편 이렇듯 코로나 19와의 사투를 벌이는 기간, 장쉐칭(江学庆), 류즈밍(刘智明), 리원량(李文亮), 샤스스(夏思思), 펑인화(彭银华) 등 이들이 생명으로 사명을 이행, 큰 사랑으로 푸른 생명을 보우했으며 많은 의무일꾼, 간부 직원과 사회구역 사업자들이 공직을 수행하다가 순직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이들의 이름을 절대 잊지 않을 것이다. 중국은 지난 1월 16일에 제 1판의 코로나 19 국가진료 방안이 출범해서부터 50일 기간 동안 그 진료방안이 제 7판까지로 업그레이드가 되었으며 코로나 19 중증환자의 진료방안에 대해서는 3 차례에 거쳐 수정했다. 그리고 무증상 감염자의 전파가능성, 완치 자 회복기간의 혈장치료 등 일련의 새로운 발견에 대해서는 모두 적시 적으로 새로운 수정판에 기입하는 것으로 코로나 19 구급치료 수준을 부단히 개선하였다. 우한은 세계에 희망을 가져다주었다. 4월 8일, 우한은 마침내 ‘봉쇄가 해제’ 되었다. 코로나 19의 기승 중에 사망한 매 한명의 생명은 가정의 비애일 뿐만 아니라 전반 도시가 명기해야 할 아픔이었다. 정보의 공개 투명도와 데이터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코로나 19 확산 초기 수용치료 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환자가 집에서 사망하여 정보등록이 되지 않은 등 원인으로 4월 17일, 우한 시에서는 정정 후의 코로나 19 확진사례와 사망사례를 공포, 이 중 확진사례는 확인 뒤 325건이 증가했고 사망사례는 확인 뒤 1290건이 증가되었다. 당일, 세계위생조직은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 19 확진사례와 사망사례를 정정한 것은 원래 통계했던 데이터의 기초 상 반복해서 통계한 것으로  그 어떤 누락된 확진사례거나 사망사례의 기록도 없다고 표했다. 그리고 코로나 19의 확산진전에 따라 기타 나라에서도 코로나 19 데이터를 정정하는 상황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런 데이터 정정은 합리한 것이라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4월 24일, 후베이의 중증 및 위 중증 환자의 0기록을 실현, 4월 26일, 우한에서 병원 투병중인 코로나 19 환자의 0기록을 실현! 이는 생명이 모든 것보다 귀중하다는 것을 보여준 76일이었고 영웅적 우한인민들이 간고하고도 어렵게 써 온 역사의 한 막이었다. 1800여 시간 ㅡ 용감한 중국인민은 인류문명사상에서 영원히 잊어서는 안 될 세계를 경악하게 한 장거를 창조했던 것이다. (다음 계속)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10-09
비밀번호 :